$\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영화 <부러진 화살>의 정서적 이중성
Movie 's Emotional Ambivalenc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3, 2013년, pp.65 - 75  

김길훈 (전북대학교 인문대학 프랑스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화는 색(色)과 음(音), 그리고 연상 작용에 의한 향(香)을 공감각화한 비쥬얼 스토리텔링이며, 관객이 감각적으로 영화적 사건을 체험하게 한다. 관객은 영화적 이야기에 몰입함으로써 현실세계에서 분리된 객석의 자아를 통해 영화적 세계, 즉 압축된 시 공간의 장(場)에서 억압되고 병치된 인간의 원형적 감정, 쾌락, 공포, 두려움을 재경험하게 된다. 본 연구는 영화 <부러진 화살>을 통해 관객의 쾌감과 두려움의 감정을 볼 것이다. 먼저 쾌감은 니체의 "힘에의 의지"의 관점에서 볼 것이다. 니체는 숨 쉬고, 움직이며, 의지가 있는 것이 살아있는 생명적 존재라고 정의하고, 그것의 동력은 힘에의 의지라고 주장한다. "인간은 힘을 요구하고, 얻고자 하고, 증대시키려 하며 소망한다. 이것이 인간행위와 현상의 원인이다. 또한 인간은 자기보존충동이 있고, 그것은 심적 동기인 쾌감추구로서 작동한다". 우리는 힘의 관점에서 일반적인 심적 동기로서의 쾌감을 <부러진 화살>의 관객의 기쁨과 연계시켜 볼 것이다. 관객은 개념적 약자로서 가난한 자, 여성, 성적 소수자 등등의 도전과 승리에서 자기 보존적 본능을, 즉 쾌감을 느낀다. 이어 관객의 불안, 공포, 두려움의 징후들을 라캉의 정신분석학에 나오는 '아버지의 이름 Name-of-the-Father'의 관점에서 분석할 것이다. 라캉은 프로이트이드, 자아, 초자아의 개념을 실재계, 상상계, 상징계로 확장하고, 이 계(界)들 가운데 상징계(질서세계)에서 '아버지의 이름'을 언급한다. 익히 알려진 것처럼 소쉬르가 "일반 언어학 강의"에서 언어의 기본적 구조로서 기표와 기의를 규명하였고, 이에 근거하여 라캉은 '아버지의 이름'을 사회화의 기본적 기표로, 그리고 연결장치로서 제시한다. 아버지의 이름은 법의 상징이자 은유로서, 그의 부재와 그에 대한 항거는 사회의 불안으로 직결된다. 마지막으로 자기 보존적 본능에서 촉발되는 저항의 쾌감과 법(질서)의 부재에서 오는 두려움, 이러한 본래적 감정이 진보와 보수의 가치관에 연계되어 있음도 함께 고찰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vie captured audience's whole sense organs to the screen which is made up of visual story-telling decorated by color, sound, and smell. The audience rediscovered native emotions(pleasure, fear, terror) suppressed and left in the compressed world of space and time, that is to say a movie world se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지막으로 자기 보존적 본능에서 촉발되는 저항의 쾌감과 법의 부재에서 오는 두려움이 진보와 보수의 가치관에 연계되어 있음도 함께 고찰하고자 한다. 본고에서 철학, 정신분석학, 사회학의 힘에 대한 고찰들이 일견 상관성의 결여로 비추어질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니체의 “힘에의 의지”의 관점에서 관객의 쾌감의 감정을 볼 것이다.
  • 본 연구는 법의 담론을 라캉의 ‘아버지의 이름’과 연계 하여 상징적 아버지에 대한 반란을 저항의 기쁨으로, 상징적 아버지의 대체/제거로 실재적 아버지에 대한 미지의 공포와 두려움을 고찰하였다.
  • 사회적 약자의 저항 속에서 쾌감과 불쾌감, 그리고 다가올 미지세계에 대한 공포와 두려움이 그렇다. 영화는 시민으로서 관객이 주체가 되어 권력집단에 대한 미미한 힘을 모으고, 대항할 수 있도록 저항을 형상화시키는 것이다. 관객은 현실세계에서의 무력감을 제거하고 미지세계에 대한 흥분을 고취시키기 위해 영화에 열광하는지도 모른다.
  • 둘째, 외면화는 사법제도이다. 중세 서구의 왕은 신권을 대행[18]함으로써 강력한 왕권과 동시에 지상에 신적질서를 세우고자 하였다. 여타의 권력집단들도 불교, 이슬람, 범교, 등의 신들을 통해 권력을 강화하고 사회 질서를 유지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화는 무엇인가? 영화는 색(色)과 음(音), 그리고 연상 작용에 의한 향(香)을 공감각화한 비쥬얼 스토리텔링이며, 관객이 감각적으로 영화적 사건을 체험하게 한다. 관객은 영화적 이야기에 몰입함으로써 현실세계에서 분리된 객석의 자아를 통해 영화적 세계, 즉 압축된 시 공간의 장(場)에서 억압되고 병치된 인간의 원형적 감정, 쾌락, 공포, 두려움을 재경험하게 된다.
니체가 말하는 강자에 대한 도전, 생존을 위한 힘겨루에서 발생하는 자신을 지키려는 힘에의 의지의 동력은 무엇인가? 니체에 따르면 약자의 저항, 강자에 대한 도전은 생존을 위한 힘겨루기이며, 이때 자신을 지키려는 힘에의 의지가 발생한다. 이 의지의 동력은 자기보존의 일반적인 심적동기로 촉발되는 쾌감이다. 삶의 투쟁 속에서 힘에의 의지는 승리의 쾌감도 주지만 패배의 고통과 불쾌한 감정도 경험하게 한다.
영화적 이야기에 몰입한 관객은 어떤 것을 재경험하는가? 영화는 색(色), 음(音), 그리고 연상작용에 의한 향(香)을 공감각화한 비쥬얼 스토리텔링이며, 관객이 감각적으로 영화적 사건을 체험하게 한다. 영화적 이야기에 몰입한 관객은 현실세계에서 분리된 객석의 자아를 통해 영화적 세계, 즉 압축된 시․공간의 장(場)에서 억압되고 병치된 인간의 원형적 감정, 쾌락, 공포, 두려움을 재경험하게 된다. 본 연구는 니체의 “힘에의 의지”의 관점에서 <부러진 화살> 관객의 쾌감의 감정을 볼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영화진흥위원회, "2012년 상반기 한국영화 산업보고서", 영진위(2013.01.31). 

  2. 백승영, 니체, 디오니소스적 긍정의 철학, 책세상, p.316, 2006. 

  3. 프리드리히 니체(김미기 역), 인간적 너무나 인간적인 I, 니체 전집 7, 책세상, p.116, 2002. 

  4. Malcolm Bowie(이종인 역), 자크 라캉, 시공사, pp.135-179, 2003, 

  5. 경향신문, 2012.08.02. 

  6. 백승영, 니체, 디오니소스적 긍정의 철학, 책세상, p.335, 2006. 

  7. 서형, 부러진 화살 대한민국 사법부를 향해 석궁을 쏘다, 후마니타스, 2009년(서문). 

  8. 백승영, 니체, 디오니소스적 긍정의 철학, 책세상, p.344, 2006. 

  9. 졸고, "클로드 괴와 위고의 민중", 불어불문학연구, 가을호, 2012. 

  10. Scott, James C, "Everyday Forms of Resistance," The Copenhagen Journal of Asian Studies 4, pp.33-62. 1989. 

  11. Foucault, Michel, The History of Sexuality: An Introduction, Vol.1, New York: Vintage, 1978. 

  12. 박명림, "박정희시대 재야의 저항에 관한 연구 1961-1979:저항의 제의 등장과 확산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0, No.1, 2008. 

  13. 강정구, "1970년대 민중-민족문학의 저항성 재고", 국제어문, 46집. 

  14. 김상희, "사이코드라마에서 주인공의 저항과정에 대한 분석", 한국드라마사이코학회지, pp.35-36, 2010. 

  15. Francesco Casetti, Les Theories du cinema depuis 1945, Nathan, pp.182-183, 1993. 

  16. Bruno Bettlhiem, Psychanalyse des contes de fees, Pluriel, 1976. 

  17. Colin Jones(방문숙외 역), 게임브리지 프랑스사, 시공사, p.106, 2001. 

  18. 이성식(2인), "지역무질서, 집합효율성, 범죄두려움의 관계: 세모델 의 검증", 피해자학연구, Vol.20, 2012. 

  19. 졸고, "전래동화 와 영화 에 나타난 아버지의 기표", 한국콘텐츠학회, Vol.12, No.7, p.67, 2012. 

  20. M. Foucault(이정우 역), 담론의 질서(L'ordre du discours), 새길, p.112, 2011. 

  21. Malcolm Bowie(이종인 역), 자크 라캉, 시공사, pp.29-30, 2003, 

  22. Jacques-Alain Miller(맹정현,이수련 역), 자크라캉의 정신분석의 네 가지 개념, 새물결, p.62, 2009. 

  23. C. Moony(이지연 역), The Republican Brain(똑똑한 바보), 동녘사이언스, pp.50-54, 2012. 재인용. See Josepy LeDoux, The Emotional Brain, New York, Simon& Schuster, 1996. Leda Cosmides&John Toody, Evolutionary Psychology and the Emotions, Handbook of Emotions, 2nd Edition, M.Lewis&J.M.Haviland Jones, Eds.New York. Guifond, 2000. 

  24. Leon Festinger, A theory of cognitive Dissonance, Evanston, Illinois, 1957. Aronson. E & Leon Festinger, "A Theory of Cognitive Dissonance,"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Vol.110, No.1,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97. 

  25. C. Moony(이지연 역), The Republican Brain(똑똑한 바보), 동녘사이언스, p.58, 2012. 재인용. See Josepy LeDoux, The Emotional Brain, New York, Simon& Schuster, 1996. Leda Cosmides&John Toody, Evolutionary Psychology and the Emotions, Handbook of Emotions, 2nd Edition, M.Lewis&J.M.Haviland Jones, Eds.New York. Guifond, 2000. 

  26. 김지형, "색깔론의 가해자와 피해자", 내일을 여는 역사, 제30호, p.35, 2007. 

  27. F. Birren(김화중 역), 색채심리, 동국출판사, p.186, 1993. 

  28. 이강형, "유권자의 정치후보에 대한 감정이 정치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6-5호, p.75, 2002. 

  29. Francesco Casetti, Les Theories du cinema depuis 1945, Nathan, p.179, 1993. 

  30. Francesco Casetti, Les Theories du cinema depuis 1945, Nathan, p.185, 1993. 

  31. Francesco Casetti, Les Theories du cinema depuis 1945, Nathan, p.181,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