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럽 교과서에 기술된 '서울'
'Seoul' Described in European School Textbook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3, 2013년, pp.511 - 519  

정재윤 (한국학중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은 유럽 교과서에 기술된 '서울'을 분석하여 오늘날 서울이 유럽 교과서에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유럽 주요국인 영국,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독일 교과서에 기술된 '서울'이 어떤 방식으로 서술되고 있는지 서술경향을 살펴본다. 유럽 교과서에서 서울은 거대도시 중의 하나로 도시문제를 가지고 있는 공간이며 경제중심지로서 다른 대도시들 간의 상호 교류를 담당하고 있는 도시로 소개된다. 이와 함께 서울은 다른 대도시들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낮은 도시로 평가받고 있으며 서울이 보유한 역사 및 문화 자원에 대해서는 주목받고 있지 않다. 그러나 여기서 살펴본 유럽 교과서 중 서울 관련 서술에서 오류가 극히 드물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앞으로 교과서 서술에서 한국의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역사 및 문화에 대한 서술이 증대되어 교과서가 한국을 알릴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콘텐츠가 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European textbooks reflect Seoul nowadays. The study focuses on the trend of textbooks in main European countries, such as England, France, Spain, Italy, and Germany. They tend to describe Seoul as one of the mega cities with urban problems, and introduc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글에서는 일부 유럽 국가들의 교과서를 대상으로 서울 관련 서술을 살펴보았으나,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유럽 국가들의 교과서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서울의 이미지 및 한국에 대한 이미지를 밝히고, 유럽 교과서에 서울 이외의 도시들은 어떻게 서술되며 서울과 비교하여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논의하고자 한다. 나아가 외국 교과서가 한국을 알릴 수 있는 주요 콘텐츠로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 모색하고자 한다.
  • 유럽 교과서에 소개된 서울 관련 서술은 오늘날 서울이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는 유용한 기회가 된다. 유럽 교과서에서 한국은 어떤 방식으로 서술되며 표현되고 있는지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서울의 이미지, 그리고 나아가 한국의 이미지는 어떠한지 분석하고자 한다.
  • 그렇다면 오늘날 서울을 바라보는 외국의 시각은 어떠한가? 이 글에서는 외국의 여러 시선 중 유럽 지역 교과서에 서술된 서울의 모습을 통하여 교과서에서 서울은 어떻게 투영되고 있으며 어떤 모습으로 재현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을 소개하거나 한국을 묘사한 여러 책자와 미디어 그리고 담론들 중에서 교과서를 특별히 주목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이 글에서는 유럽의 주요 5개국-영국,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독일-을 중심으로 이들 국가의 교과서에 서술된 한국 관련 내용 중 서울과 관련된 서술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원래 분석 대상국을 전체 유럽 국가로 설정하였으나 국가별로 내용 편차가 커서 서로 비교를 하거나 공통점을 추출하기가 어려웠다.
  • 이 글에서는 일부 유럽 국가들의 교과서를 대상으로 서울 관련 서술을 살펴보았으나,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유럽 국가들의 교과서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서울의 이미지 및 한국에 대한 이미지를 밝히고, 유럽 교과서에 서울 이외의 도시들은 어떻게 서술되며 서울과 비교하여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논의하고자 한다. 나아가 외국 교과서가 한국을 알릴 수 있는 주요 콘텐츠로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 모색하고자 한다.
  • 교과서에서 도시화와 도시의 비대화로 인하여 발생한 대도시의 문제점은 오늘날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로 강조된다. 이와 함께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오늘날 각국의 도시재생 노력 및 환경에 대응하는 모습을 서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과서란 무엇이라고 할 수 있는가? 교과서는 사회적 산물로서[34], 학생들에게 특정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유효한 것으로 간주된 사항들에 대해 정부, 출판관계자, 학교위원회, 행정전문가들에 의하여 신중하고 엄격하게 검토된 사회적 진술이라 할 수 있다[21]. 오늘날 교과서에 대한 정의 및 활용은 국가마다 다소 차이가 있다.
유럽 교과서에서는 서울은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가? 프랑스 교과서에서 서울은 대규모 인구밀집지역으로 분류되고 있으며[28][그림1], 동아시아의 주요 도시 인구를 표로 정리하여 동아시아의 도시권을 설명하면서 한국의 대표적인 도시로 서울을 제시하였다[26]. 독일 교과서 또한 한국의 주요 도시로 서울을 꼽고 있으며 높은 인구 밀도를 특징적으로 기술하였다. 서울은 도시화 현상이 일어나는 대표적인 도시로 서울의 도시인구 비율, 도시 및 인구밀집지역 그리고 인구변화를 제시하였다[37]. 영국 교과서에서는 인구 천만 이상의 도시를 거대도시로 규정하여 전세계의 거대도시들을 분류하고 있으며[29], 거대도시에서 삶의 질을 주목하여 인구, 학생비율, 상수도 및 전기 시설, 러시아워의 교통 흐름 등의 통계수치를 수록하였다[31]. 이탈리아 교과서 또한 인구 천만이 넘는 도시들을 주목함과 동시에 서울의 높은 인구밀도를 강조하고 있으며[25], 스페인 교과서 또한 세계의 주요 대도시들의 인구증가율을 묘사하면서 서울을 포함시켰다[36][그림 2].
지금까지 외국 교과서에 서술된 한국에 대한 연구는 어떻게 나누어 볼 수 있는가? 지금까지 외국 교과서에 서술된 한국에 대한 연구는 한국전쟁과 일제강점기 역사인식 등 역사인식연구[3][8][11][13][19][20][23][32][35][41-43]를 비롯하여 교과서 서술을 통한 국가이미지 연구[1][10][12] 및 교과 체계와 내용조직을 주목한 연구[2][9]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각각의 연구들은 국가별, 서술 경향별 특성 등 교과서 분석에 대한 다양성을 지니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타자(他者)의 시각에서 한국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어떻게 재현하고 있는지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강선주, 최상훈, "미국 세계사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9학년 이상에서 사용되는 6권의 미국 세계사 교과서 분석", 역사교육연구, 제1호, pp.1-39, 2005. 

  2. 구난희, "외국의 역사교과서 서술 사례 분석 I: 교과체계와 내용조직을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 제15호, pp.51-99, 2012. 

  3. 기계형, "러시아 대학의 역사학 교재와 중등학교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한국전쟁 인식", 역사교육, 제117집, pp.65-111, 2011. 

  4. 김성도, "거대도시화와 디지털 미디어", 사회와 이론, 제20집, pp.67-95, 2012 

  5. 김영훈, "2000년대 관광 홍보 동영상 속의 한국: 그 특성 및 의미", 한국문화인류학, 제44권, 제2호, pp.37-70, 2011. 

  6. 김정섭, 이규황, "서울의 도시경관 이미지 분석 및 시각화 방법: 한국인과 일본인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148-158, 2012. 

  7. 김주연, 안경모, "아시아국가에서의 K-pop 이용 행동과 K-pop으로 인한 국가호감도 및 한국 방문의도 변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516-524, 2012. 

  8. 박소영, "한일강제병합 추진에 관한 일본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의 서술: 山川出版社와 實敎出版발행 교과서를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 제13호, pp.81-113, 2011. 

  9. 손용택, "외국 지리교과서 교수-학습 내용의 조직: 미국, 영국, 프랑스, 한국, 일본, 태국 교과서를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제41권, 제3호, pp.91-108, 2002. 

  10. 손용택, "국가 이미지 개선을 위한 교과서 연구: 성찰과 전망", 사회과교육, 제48권, 제3호,pp.19-34, 2009. 

  11. 안지영, "일본침략 및 강점기에 대한 주변국들의 역사인식: 한국, 중국, 대만 고등학교 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 제13호, pp.45-80,2011. 

  12. 안지영, 박소영, 정재윤, "외국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이미지", 정신문화연구, 제35호, 제1호, pp.343-372, 2012. 

  13. 오만석, 신효숙, "뻬레스뜨로이까 이후 러시아 역사교과서의 한국관련 내용 분석", 비교교육연구, 제16권, 제3호, pp.43-69, 2006. 

  14. 정재윤, 연구보고서KU-CR-07-10 유럽지역 교과서의 한국관련 내용 분석,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15. 정재윤, 연구보고서KU-CR-08-02 유럽, 아프리카 교과서의 한국관련 내용 분석,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16. 정재윤, 연구보고서KU-CR-09-03 러시아, 프랑스, 영국, 아제르바이잔 교과서의 한국관련 내용분석,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17. 정재윤, 연구보고서KU-CR-10-01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 교과서의 한국관련 내용 분석,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18. 정재윤, 연구보고서KU-CR-11-01 이탈리아, 아일랜드, 케냐 교과서의 한국관련 내용 분석, 한국학중앙연구원, 2011. 

  19. 정재윤, "한국에 대한 영국의 시선: 영국 역사교과서 내 한국 관련 서술을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 제13호, pp.7-43, 2011. 

  20. 정재윤, "한국과 터키의 상호인식-한국과 터키사회과 교과서 내 양국에 대한 서술을 중심으로", 지중해지역연구, 제14권, 제1호, pp.81-108, 2012. 

  21. 제임스 M, 블라우트 지음.김동택 옮김, 식민주의자의 세계모델-지리적확산론과 유럽 중심적 역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p.317, 2008( J. M. Blaut, The Colonizer's model of the World: Geographical Diffusionism and Eurocentric History, 1993). 

  22. 통계청, 국제통계연감, 통계청, p.38, 2012. 

  23. 한운석, "독일의 지리 및 역사교과서의 한국 관련 기술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모색", 역사교육, 제100집, pp.161-194, 2006. 

  24. 허재완, "글로벌 경쟁시대, 서울대도시권의 역할과 과제", 서울도시연구, 제10권, 제4호, pp.3-14,2009. 

  25. A. Ardemagni, Planet 2000, Principato,pp.150-151, 2005. 

  26. A. Ciattoni, Geogarphie, Hatier, p.33, p.219,p.224, 2004. 

  27. A. Palmer, Edexcel (A) Advanced Geography, Phillip Allan, p.473, 2005. 

  28. C. Bouvet and J. M. Lambin, Histoire- Geogarphie, Hachette, p.175, p.189, 2003. 

  29. D. Waugh, The New Wider World, Nelson Thornes, p.79, 2003. 

  30. G. Bourel and M. Chevallier, Histoire-Geogarphie, Hatier, p.195, 2007. 

  31. G. Nagle and K. Spencer, AS&A Level Ge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p.119,2003. 

  32. J. Ahn, "Narratives of the Korean War in Chinese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ol.12, No.1,pp.23-39, 2009. 

  33. J. A. G. Ruiz and I. G. M. Askue, Ciencias sociales, geografia e historia ESO 3, Edelvives, p.103, 2007. 

  34. J. Anyon, "Ideology and United States History Textbooks," Harvard Educational Review, Vol.49, No.3, p.361, 1979. 

  35. J. Jeong, "The Korean War in European Social Studies Textbooks,"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ol.12, No.1, pp.59-73, 2009. 

  36. J. S. Sanchez and A. Z. Martin, Ciencias Sociales: Geografia 3, SM, p.121, 2005. 

  37. Klett-Perthes, Haack Weltatlas-Atlas mit CD-Rom, Klett-Perthes, p.141, p.235, 2007. 

  38. M. Dinucci and C. Pellegrini, Geografia del ventunesimo secolo, Zanichelli, pp.56-58, 2010. 

  39. P. Guiness and G. Nagle, IGCSE Geography, Hodder Education, p.44, p.48, 2009. 

  40. S. Bianchi, R. Kohler and S. Moroni, Passaporto per il mondo-Geografia del turismo, DeAgostini, pp.168-169, 2006. 

  41. S. Park, "Perspectives on the Korean War in Japanese High School Textbooks: Research Trends of Japanese Academia and their Reflection in the Textbooks,"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ol.12, No.1, pp.41-57, 2009. 

  42. W. Chang, "Conflicting Images and Lost Perspectives,"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ol.12, No.1, pp.9-22, 2009. 

  43. W. Lee, "History Textbooks of Transitional States in Central Asia,"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ol.12, No.1, pp.75-107, 2009. 

  44. http://policy.smc.seoul.kr/policy/data/data_01_view.jsp?srchSel&srchVal&cp1&brd_no113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