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리가중회귀모델을 이용한 역세권 공간구조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Subway Influence Areas Using a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Model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6 no.1, 2013년, pp.67 - 79  

심준석 (부산대학교 공간정보협동과정) ,  김호용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남광우 (경성대학교 도시공학과) ,  이성호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대두되는 대중교통지향형 도시개발을 위해서는 대중교통 결절점 주변의 공간구조에 대하여 국지적 차원의 해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별 필지 단위에 지리가중회귀모델을 적용하여 역세권 주변의 공간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역세권마다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같은 역세권 안에서도 공간적 이질성이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AIC값을 이용하여 모델을 비교한 결과 지리가중회귀모델이 일반회귀모델보다 적합한 모델로 판정되었으며 모델의 설명력도 향상되었다. 지리가중회귀모델을 통하여 분석된 결과는 GIS 환경에서 지도화함으로써 국지적 차원의 공간구조 해석이 가능하였다. 역세권마다 모델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개별적 공간구조 특성을 고려하여 대중교통 중심개발이 이루어진다면 정책 운용시 보다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sake of the Transit-Oriented Development that has been prominent recently, an analysis of the spatial structures of transit centers, above all, should be carried out at a local level. This study, thus, analyzes the spatial structures of subway influence areas by applying a Geographically We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역세권 주변 도시공간구조의 특성파악과 같이 공간정보가 요인이 되어 영향력을 분석하는 과정에서는 분석에 사용되는 공간적 변인 간의 연관성과 상호작용으로 분석결과의 신뢰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지적 모수추정방법인 지리가중회귀모델(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을 이용하여 역세권 내의 공간구조를 분석하고자 한다.
  • 이 과정에서 모델 적용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검토하고, 모델 적용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모델의 분석결과는 GIS 환경에 연계함으로써 국지적 차원의 역세권 공간구조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중교통 지향형 도시개발을 위하여 지하철 역세권 주변공간의 공간구조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TOD는 Calthope(1993)의 저서 『The Next American Metropolis』에서 처음 정립한 용어로 대중교통 역을 중심으로 자동차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며 대중교통이용률을 높임으로써 교통 혼잡과 도시에너지 소비를 경감시키는 기법으로 정의되고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 역세권 주변공간을 대상으로 접근성과 공간적 연관성이 모든 지역에 동일하게 적용되지 않는 공간적 변이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지리가중회귀모델을 개별 필지 단위로 분석함으로써 역세권 주변의 공간구조를 해석하고 한다. 이 과정에서 모델 적용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검토하고, 모델 적용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모델의 분석결과는 GIS 환경에 연계함으로써 국지적 차원의 역세권 공간구조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대중교통 결절점인 역세권 TOD 계획의 선행요건으로 지하철 역세권 주변의 공간구조 특성을 분석하였다. 역세권 공간구조는 공간적 연관성이 모든 지역에서 동일하게 적용되지는 않기 때문에 변수의 독립성과 오차의 등분산성을 기본 전제로 하는 일반 회귀분석의 적용은 적합하지 않았다.
  • 성현곤 등(2006)은 고밀도시에서 근린지구단위의 토지이용과 교통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통행패턴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런 분석을 통해 역세권 위주의 토지이용에 대한 차별적 전략을 도출하는 한편 역세권의 유형을 주거중심 역세권과 고용 중심 역세권으로 분류하여 각 특성에 맞는 도시개발전략을 수립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창무 등(2007)은 수도권의 공간적 확장은 토지가격이 낮은 곳부터 개발밀도가 높아지는 특성이 있는데, 수도권의 고용 중심성이 유지되는 상황에서 주변 택지개발은 수도권 전체의 주택가격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야기한다고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 역세권 주변공간을 대상으로 접근성과 공간적 연관성이 모든 지역에 동일하게 적용되지 않는 공간적 변이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지리가중회귀모델을 개별 필지 단위로 분석함으로써 역세권 주변의 공간구조를 해석하고 한다. 이 과정에서 모델 적용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검토하고, 모델 적용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커널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커널의 타입은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까지의 거리(d)와 대역폭 (θ: bandwidth)에 따라 달라지며, 대역폭의 고정 여부에 따라 고정된 커널(fixed kernel)과 적응적 커널(adaptive kernel))이 있다. 또한,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에 따라 가우시안 함수(Gaussian function)와 바이스퀘어 함수(Bisquare function)가 있다.
역세권이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 역세권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역세권은 역을 일상적으로 이용 하는 주변 거주자가 분포하는 범위로, 역세권의 범위는 접근성, 이용세력권, 공간적 특징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역세권의 범위를 결정하는 기준은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유승환과 강준모, 2012). 역세권의 공간구조 분석을 위한 공간적 범위는 분석의 목적에 따라 다르게 정의하고 있으며 현행법에서도 명확하게 권역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TOD의 목적은 무엇인가? TOD는 대중교통 결절점(A Transit Center)을 중심으로 주변지역 토지이용의 고밀 복합화와 보행 및 자전거 수단 중심의 친화적인 도시설계를 바탕으로 한 자동차 통행 배제, 쇼핑시설이나 기타 편의시설 입지 유발을 통한 지역수요 창출 그리고 통행수요 집중을 통한 대중교통수단의 효율성 향상에 목적이 있다(Europeon Union, 1990). 외국은 TOD 효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대부분 사례가 중·저밀도 도시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우리나라의 서울, 부산 등 고밀화 도시들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미리. 2000. 지하철 역세권 지가변화에 관한 연구-서울시 8호선 잠실역, 송파역, 문정역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1쪽. 

  2. 김원경과 이미영. 2002. 김해시 CBD의 지가 패턴. 한국도시지리학회지 5(1):15-33. 

  3. 김유호. 2012. 도시철도 개통에 따른 광주시 역세권 지가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7(1):171-180. 

  4. 김호용. 2010.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도시 교통량 예측의 정확성 향상.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4):138-147. 

  5. 김호용, 김지숙, 이성호. 2012. 도심경계설정을 위한 공간통계학적 접근.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4):42-54. 

  6. 서경천. 2003. 부동산 가격 추정에 있어서 비 모수적 헤도닉 방법을 도입한 공간적 변동성 측정: 부산광역시 서부산권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5(2):183-204. 

  7. 성현곤. 2011. 대중교통 중심의 개발(TOD)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 지역연구 27(2):63-76. 

  8. 성현곤, 노정현, 김태현, 박지형. 2006. 고밀도시에서의 토지이용이 통행패턴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역세권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1(4):59-75. 

  9. 유승환, 강준모. 2012. 역세권 공간구조특성이 지가에 미치는 영향요인분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D 32(1):61-69. 

  10. 유형식. 1996. 역세권개발개념 도입을 통한 시 가지정비.개발계획안-경기도 수원시 수원역 일대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32쪽. 

  11. 윤시운, 이광국. 1999. 지하철 역세권의 상세계획구역 설정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1(3):89-103. 

  12. 이광국. 2004. 부산시 지하철 역세권의 상업용도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건설환경연구 3(1):35-51. 

  13. 이응현, 오덕성. 2008. 도심재생 측면에서 본 고속철도 역세권 개발(계획)분석. 대한건축학회지 24(6):253-264. 

  14. 이창무, 김흥순, 김미경. 2007. 역세권개발과 수도권 공간구조 재편. 국토계획 42(6):67-88. 

  15. 전병운. 2011. 환경적 형평성과 도시 삶의 질의 공간적 관계에 대한 탐색.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3):223-235. 

  16. 조동기. 2009. 지역 단위 조사연구와 공간정보의 활용: 지리정보시스템과 지리적 가중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조사연구 10(3):1-19. 

  17. 조영진. 2008. 보행접근 특성을 고려한 지하철 역세권 지가 입지특성 분석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9쪽. 

  18. 허윤경. 2007. 도시별 주택가격의 공간적 영향력 검증: 서울과 부산의 아파트 가격을 중심으로. 주택연구 15(4):5-23. 

  19. 허윤경, 이주영. 2009. 울산의 도시공간구조 변화분석: 1995-2005년 인구밀도.고용밀도.지가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44(2): 111-121. 

  20. 허창무. 2010. 복합민자역사 개발로 인한 주변 상업시설 지가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9쪽. 

  21. Anselin, L.. 1995.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 LISA. Geographical Analysis 27(2):258-306. 

  22. European Commission. 1990. Green Paper on the Urban Environment. Brussels, EC. 

  23. European Union. 1990. Green Paper on the Urban Environment Communication from the Commission to the Council and Parliament. COM(90) 218pp. 

  24. Fotheringham A.S., C. Brunsdon and M. Charlton. 2002.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the Analysis of Spatially Varying Relationships. Chichester, Wiley. 

  25. Fotheringham A.S., M. Charlton and U. Demsar. 2008. Looking for a relationship? Try GWR. In: Miller, H.and Han J. (2nd ed.). Geographic Data Mining and Knowledge Discovery. Taylor & Francis, London, pp.227-254. 

  26. Sa, A.C.L., J.M. Pereira, M.E. Charlton, B. Mota, P.M. Barbosa and A.S. Fotheringham. 2011. The pyrogeography of sub-Saharan Africa: a study of the spatial non-stationarity of fire-environment relationships using GWR. Journal of Geographical Systems 13(3):227-248.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