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베이비부머의 사회활동참여유형에 따른 삶의 만족도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Baby Boomers' Social Activity Typ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3, 2013년, pp.1090 - 1099  

김윤정 (한서대학교 노인복지학과) ,  강현정 (한서대학교 다문화교육복지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부머의 사회활동 유형 별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55년에서 63년에 태어난 남녀 베이비부버 1,115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1년 8-10월에 성별과 지역에 따른 할당표본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베이비부머의 사회활동 유형은 3집단으로 나타났다. 36.8%가 속한 소극적 사회참여형은 소득활동이나 시민단체활동은 전혀 하지 않고 종교활동이나 가정내 활동을 하는 경우는 소수가 포함되었다. 주로 여성이 많고 후기베이비부머가 많고, 학력수준이나 가정소득이 다른 군집에 비해 낮으며 삶의 만족도 중간정도이다. 둘째. 33.8%가 속한 활동적 사회참여형은 소득활동을 포함하여 모든 사회활동에도 적극적이다. 여성이 많고 후기베이비부머가 많다는 점은 소극적 사회참여형과 유사하나 학력이나 가정 내 월평균 소득, 삶의 만족도 수준이 다른 군집에 비해서 가장 높다. 셋째, 29.4%가 속한 경제활동 중심형은 소득활동에는 참여하지만 문화활동, 시민단체활동, 교육활동, 혼자 시간보내기 등의 사회활동에는 참여하지 않는다. 전기와 후기베이비부머의 분포나 학력의 분포, 가정내 월소득은 다른 군집의 중간 수준이지만, 다른 군집과는 달리 남성이 많고 삶의 만족도 수준은 가장 낮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형별로 베이비부머의 사회활동참여와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by social activity type in baby boomers. Sampling 1,115 baby boomers, gender and region were assigne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August to October in 2011. As a result of research, first, the typology of soci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부머의 사회활동을 다양한 차원에서 측정하여 유형화 하고 각 유형에는 어떠한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가진 베이비부머가 포함되며, 또한 사회참여의 유형에 따라 베이비부머의 삶의 만족도가 달라지는가를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부머의 사회활동 참여 유형은 어떠한가? 둘째, 사회활동 참여 유형에 따라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차이가 나는가? 셋째, 사회활동 참여유형에 따라 삶의 만족도는 차이가 나는가?
  • 베이비부머가 거대 노인인구가 될 것이라는 인구학적 전망과 함께 한국만이 아니라 미국 일본 등 여러 나라에서 베이비부머의 다양한 특성에 대한 연구가 발표되었으며, 베이비부머의 사회활동은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사회활동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삶의 만족도를 파악함으로서, 베이비부머의 보다 나은 노후의 삶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 본 절에서는 3가지의 연구결과를 통합하여 베이비부머의 사회활동 유형 별로 요약하면서 논의 및 제언을 하겠다.
  •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의 현재 사회활동 참여유형에 따라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를 살펴봄으로서 어떤 유형의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와 관련된 학문적 관심에 하나의 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성과 지역적 할당을 통한 전국적 규모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보다 일반화된 연구결과를 도출했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갖는다.
  •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의 현재 사회활동 참여유형에 따라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를 살펴봄으로서 어떤 유형의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와 관련된 학문적 관심에 하나의 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성과 지역적 할당을 통한 전국적 규모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보다 일반화된 연구결과를 도출했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갖는다. 또한 적극적인 사회참여가 삶의 만족도가 높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의 확인과 더불어 가정내 활동이나 종교활동과 같은 소극적 활동 역시 생산적 활동일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부머의 사회활동을 다양한 차원에서 측정하여 유형화 하고 각 유형에는 어떠한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가진 베이비부머가 포함되며, 또한 사회참여의 유형에 따라 베이비부머의 삶의 만족도가 달라지는가를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부머의 사회활동 참여 유형은 어떠한가? 둘째, 사회활동 참여 유형에 따라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차이가 나는가? 셋째, 사회활동 참여유형에 따라 삶의 만족도는 차이가 나는가?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부머의 사회활동을 다양한 차원에서 측정하여 유형화 하고 각 유형에는 어떠한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가진 베이비부머가 포함되며, 또한 사회참여의 유형에 따라 베이비부머의 삶의 만족도가 달라지는가를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부머의 사회활동 참여 유형은 어떠한가? 둘째, 사회활동 참여 유형에 따라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차이가 나는가? 셋째, 사회활동 참여유형에 따라 삶의 만족도는 차이가 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베이비붐이란 무엇인가? 베이비붐은 전쟁, 경제공황 등 사회혼란이나 불안요소로 인하여 정상적인 가정생활이 불가능해져 출생아수가 급격히 줄었다가 그 원인이 해소되면서 출산율이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1]으로, 일반적으로 2차 세계대전 후 출생률이 급격히 상승한 시기에 태어난 이들을 베이비부머라 한다[2]. 이러한 현상은 세계적으로 일어난 것으로 미국의 베이비부머는 1946년부터 1964년 사이에 출생한 집단으로 전체인구의 30%를 차지한다.
베이비부머는 어떤 세대를 뜻하는가? 베이비붐은 전쟁, 경제공황 등 사회혼란이나 불안요소로 인하여 정상적인 가정생활이 불가능해져 출생아수가 급격히 줄었다가 그 원인이 해소되면서 출산율이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1]으로, 일반적으로 2차 세계대전 후 출생률이 급격히 상승한 시기에 태어난 이들을 베이비부머라 한다[2]. 이러한 현상은 세계적으로 일어난 것으로 미국의 베이비부머는 1946년부터 1964년 사이에 출생한 집단으로 전체인구의 30%를 차지한다.
활동이론에서 강조하는 '노후를 성공적으로 지내는 방법'은 무엇인가? 베이비부머의 고용문제나 경제활동만큼 미국과 일본에서 관심을 갖고 추진한 프로그램은 은퇴 후에도 사회에서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사회활동을 하면서 길어진 노후를 성공적으로 지내는 방법에 관한 것이었다. 활동이론(activity theory)에서는 노년기에도 중년기와 똑같은 심리 사회적 욕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년기와 같은 욕구를 유지할 때 성공적인 노화를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노년기의 사회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Rohr와 Lang[5]은 사회활동을 통한 성공적인 노화과정이 바로 사회통합에 기여한다고 하였다. 이에 미국은 베이비부머의 사회활동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중앙정부에서 국립 창의적 노화센터(The National Center for Creative Aging)를 운영하고, 친노화(Aging friendly)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E. Y. Kim, The Inter-generation and Intra-generation Differrences in Family Ideology among three generations, Sangmyung University, 2004. 

  2. Y. S. An, Analysis of acknowledgement and utilization purpose of silver industry according to lifestyle of baby boom generation. Sangmyung University, 2009. 

  3. KIHASA, Baby Boomer' Demographic Profiles and Welfare Needs, KIHASA, 2010. 

  4. S. J. Lee, S. H. Hur, Developing Strategy Facilitate Leisure Consumption for the Retiring Baby-boom Generation,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11. 

  5. Rohr, M. K., Lang, F. R. "Aging Well Together-A Mini-Review", Gerontology, Vol.55, pp.333-343, 2009. DOI: http://dx.doi.org/10.1159/000212161 

  6. L .N. Byon, Y. S. Kim, T. S. Hyun, "A Comparative Study of Politicies for the Social Participation of Baby-boomer Retirees in Korea and Japan",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1, No.4, pp.315-344, 2011. 

  7. H. N. Bang, D. G. Shin, S. G. Lee, J. Han, J. K. Kim, I. C. Shin, Study on Korea Baby boomer lifestyle, Korea Labor Institute, 2010. 

  8. K. H. Jung, "Characteristics and Welfare Needs of the Korean Baby Boom Generation",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Vol.174, pp.5-10, 2010. 

  9. G. U. Jo, J. S. Lee, S. G. Bark, The entry of the baby boom generation, a policy paradigm shift is needed, Jeonbuk development Institute, 2011. 

  10. S. N. Park, G. H. Shim, The status and retirement benefit analysis of the baby boomers. Statistics Research Institute in Korea, Research report, 1, 2010. 

  11. S. B. Kim, "Consumption Patterns of the Baby Boom Generation and Policy Implications for Age friendly Businesse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Vol.174, pp.28-37, 2011. 

  12. H. N. Kim, Life Style With Consumer Values and Consumer Behaviors of Baby-Boom Generation. Ewhawomen University, 2010. 

  13. Y. H. Kim, S. E. Lim, "A Critical Review on Definition of the Baby-boom years, Labor market shocks, and Inter-generational income transfer",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1, No.2, pp.36-59, 2011. 

  14. Y. M. Son, C. H. Kim, Study of Job Creation and Support for Baby boomers, KRIVET, 2011. 

  15. S. J. Woo, Y. S. Lee, "Retirement-related Subjective Expectations and the Capital Accumulation of the Korean Baby-boom Generation", Journal of Korean Gerontology, Vol.31 No.4, pp.855-870, 2011. 

  16. S. J. Lee, "The Characteristics of Economic Activities of the Baby Boom Generation and Policy Implica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Vol.174, pp.11-18, 2010. 

  17. Y. M. Son, C. H. Kim, Study of Job Creation and Support for Baby boomers, KRIVET, 2011. 

  18. J. S. Lee, A Study on Baby Boomers' Retirement Life: Focused on Their Housing Types, Hanyang University, 2007. 

  19. C. H. Kang, C. S. Park, "The Effects that Residential Satisfaction has on the Housing Decision of Baby Boomer", Journal of korea cadastral information, Vol.11, No.2, pp.99-116, 2009. 

  20. H. Y. Kim, Y. S. Lee, H. G. Yun, "The Study on Housing Characteristics Preferred by Baby boomer After Retirement - Focusing on Apartment's Residents of Gangnam Region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ol.21, No.5, pp.83-92, 2010. 

  21. E. Y. Baek, S. H. Joung, "BabyBoomers' Financial Status and the Effects of Housing Equity on Retirement Preparation", Jounal of korea consumer, Vol.15, No.1, pp.141-160, 2012. 

  22. W. S. Byeon, "The Influenced Factors of Housing after Baby Boomers' Retirement", Korean Review of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Vol.8, No.2, pp.238-266, 2012. 

  23. C. J. Park, "Factors Affecting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of the Baby Boomers in Korea", Social Security Research, Vol.27, No.4, pp.327-351, 2011. 

  24. S. H. Jo, J. H. Kim, "Analyses on Personal Financial Attitudes and Behaviors : Comparisons of N-, X-, Baby Boomer-, and War-Generations",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Vol.7, No.3, pp.123-146, 2011. 

  25. S. H. Nam, "Assets and Implications of Korea Babyboom Generation", Issue & Forcus, Vol.115, pp.1-8, 2011. 

  26. J. H. Ha, A Study on the Financial Consumption Behavior of Baby-Boomer and Service Quality in Financial Planning. Ewhawomen University, 2012. 

  27. J. Y. Lee, Pension Benefits on Retirement Income Security of Korean Baby Boomer Household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1. 

  28. Y. B. Kim, S. H. Lee, "Social Particip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of Elderly in Seoul and Chuncheon Are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y, Vol.28, No.1, pp.1-18, 2008. 

  29. S. H. Kim, Y. J.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and Recognition of Successful Aging",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15, No.4, pp.3-23, 2011. 

  30. J .I Kim, Y. J. Kim, "Effects of Farming and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at Rural Areas upon Life Satisfaction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15, No.1, pp.251-269, 2010. 

  31. S. S. Shin, S .I. Choi, "The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Leisure Activities, Soci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Studies, Vol.12, No.3, pp.173-186, 2010. 

  32. M .H. Ya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ctivities participation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Ewhawomen University, 2008. 

  33. J. Y. Ju, The impact of self-efficacy and social participation in the retirement preparation of the baby boomers, Korea university, 2011. 

  34. L. N. Byon, Y. S. Kim, T. S. Hyun, "A Comparative Study of Policies for the Social Participation of Baby-boomer Retirees in Korea and Japan",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Vol.31, No.4, pp315-344, 2011. 

  35. J. I. Kim, Study on baby boomer's desire on community participation after retirement. Hanseo University, 2012. 

  36. H. J. Kang, "A study o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ocial integration to whether the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of baby boom",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57, pp.429-448, 2012. 

  37. Diener, E., Emmons, R., Larsen, J., Griffin, S,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9, No.1, pp.71-75, 1985. DOI: http://dx.doi.org/10.1207/s15327752jpa4901_13 

  38. G. H, Han, H. J. Choi, K. S. Eun, J. H. Lee, S. H. Joo, J. H. Kim, Korean Baby Boomers in Transition. Snu Institute on Aging, 2011. 

  39. B. S. Jung, The impact of rural women's leisure activities upon self-esteemed feeling and living quality, Chung-ang university, 2007. 

  40. K .H. Lee, "An Analysis on the Actual State of Elderly's Educational Participation", The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Vol.10, No.2, 49-77, 2004. 

  41. S. M. Yang, S. R. Hong, S. J. Hong, "Social Activity and Self-Esteem of the Rural Elderly" Journal of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 Vol.14, No.2, pp.145-178, 2004. 

  42. S. C. Lee, "Social Participation of Korean Older Persons" Korean journal population studies, Vol.32, No.1, pp.71-91,2009. 

  43. J. H. Chun, "The Motivation for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Elderly: A Test of Causal Mode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5. 

  44. A. R. Moon, The Study on influence to life satisfaction of family relationship in elderly, chungang university, 2007. 

  45. H. J. Kang, Y. J. Kim, "Life Satisfaction of Older Women Focused on Household Types and Poverty Levels",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ol.20, No.1, pp.71-80, 2009. 

  46. S. H. Kim, S. S. Lee, "A Study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Focused on whether the Elderly Participated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motion Project or not-", Journal of Korean Gerontology, Vol.9, No.1, pp.309-327, 2009. 

  47. S. R. Kim, A study on Family values, Preparation for old age and Life Satisfaction for Baby-boom generation. Daegu University, 2010. 

  48. S. D. Jung, H. H. Lee, "Life Satisfaction for Baby-boomers: Compare 1998 with 2008",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55, pp.105-131, 2012. 

  49. Y. H. Ka, "The effects of adults' work-family conflicts on satisfaction in the domains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Vol.11, No.2, pp.163-186, 2006. 

  50. Rowe, J. W., Kahn, R. L. Successful Ageing. NY: Pantheory House, 1998. 

  51. O. H. Kwon, A comparative study on senior persona' satisfaction of life in city and country. Woonkwang university, 2010. 

  52. Y. R. Kim, J. S. Joo, A Study on gender differences in Baby Boom Generation,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0. 

  53. Statistics Korea, Social Research 2010, Statistics Korea, 2011 

  54. D. B. Kim, E. Y. Park,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Elderly Females` Productive Activities on their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38, pp.339-358, 2007. 

  55. Y. J. Choi, S. H. Lee, "Elderly Women's Subjective Well-Being Differences participating in Productive Activities: An application of Demand-Control-Support Model",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12, No.1, pp.119-1451, 2007. 

  56. H. S. Yoon, M. J. Lee, Gender, "Residential Areas, Retirement Transi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welfare, Vol.58, No.4, pp.197-217, 2006. 

  57. H. J Gwon, The Effects of cultural capital on the cultural activities of the baby boom generation, Gangnam University, 2008. 

  58. Cultler, S. J, Hendricks, J, "Age differences in voluntary association memberships: Fact or artifact", Journal of Gerontology, Vol.55, No.2, pp.98-107, 2008. 

  59. S. D. Yun, G. H. Han, "Productive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Rural Elderly in Kore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y, Vol.24, No.2, pp.57-77, 2004. 

  60. Hooyman, N. R., Kiyak, H. S, Social Gerontology: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8th ed, Pearson: US,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