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이비부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Baby Boomer's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10, 2014년, pp.73 - 86  

이성규 (서울시립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노부모와 성인자녀를 동시에 부양하는 샌드위치세대인 베이비부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있어서 성별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중년층(46-59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2010)" 데이터파일 가운데 1,152건을 분석 표본으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베이비부머의 성별에 따라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베이비부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배우자부모부양부담(${\beta}=-.205$), 자녀관계만족도(${\beta}=.202$), 부부관계만족도(${\beta}=.200$), 주관적 건강상태(${\beta}=.155$), 10년 후 경제생활수준에 대한 기대(${\beta}=.143$)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남성 베이비부머의 경우 여성 모형에서 유의하지 않았던 인터넷활용도(${\beta}=.247$)의 영향력이 크고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양부담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결과는 남성의 삶의 만족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여성의 경우, 배우자부모에 대한 부양부담이 삶의 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부모와 자녀를 동시에 부양해야하는 베이비부머들에게 시부모부양은 여전히 부담스럽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Korean Baby Boomers' life satisfaction. Using data from Demographic Profiles and Welfare Needs of Middle Aged Persons(2010), this study focuses on whether there is a gender difference in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Analysis result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베이비부머는 2010년 약 712만 명으로 총 인구의 14.6퍼센트를 차지할 정도로 거대한 인구집단으로서 이들의 은퇴가 이미 시작되었고 또 노년기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는 이 시점에서 본 연구는 샌드위치 세대로서의 베이비부머들이 노부모를 부양하고, 동시에 성인이 된 자녀도 부양하게 되는 생애주기에 처했을 때, 이 부담이 어떻게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특히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규명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중년층(46-59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2010)⌟ 전체 응답자 가운데 출생연도가 1955년부터 1963년 사이이면서 노부모에게 경제적 지원을 한다고 응답하고 동시에 성인자녀에게도 경제적 지원을 한다고 응답한 1,152건이 본 연구의 분석표본이다.
  • 본 연구는 삶의 만족도의 분포양상을 조사하고 응답자의 제 특성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후 특히 샌드위치 세대로서의 베이비부머들이 본인의 노부모뿐만 아니라 배우자의 노부모에 대해 경제적으로 지원하면서 느끼는 부양부담과 성인이 된 자녀에 대해 경제적으로 지원하면서 느끼는 부양부담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2010년에 46세에서 59세 사이 성인 4,0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중년층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응답자들 가운데 출생연도가 1955년에서 1963년 사이인 베이비부머 가운데노부모도 경제적으로 부양하고 동시에 20세 이상의 성인자녀도 경제적으로 부양한다고 응답한 1,152건을 본 연구를 위한 분석 표본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 부머 세대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 하는 것이다. 특히 노부모도 부양하고 성인자녀도 부양 하는 샌드위치세대로서의 베이비부머가 느끼는 부양부담의 정도가 베이비부머의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성별 차이에 초점을 맞춘다.
  • 컴퓨터나 인터넷활용이 청소년들에게는 긍정적인 영향보다 부정적인 영향이 더 큰 반면 중년층에게는 그 반대의 경우가 적용될 수 있다. 주관적 행복감에 컴퓨터와 인터넷 활용이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월가구소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긴 하지만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연구문제 1) 응답자의 제 특성(성별, 연령, 월가구소득, 주관적 건강상태, 가족관계 만족도, 라이프스타일, 가족에 대한 부양부담)에따라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삶의 질이란? 삶의 만족도는 한마디로 주관적 행복감이다. 삶의 질은 개인이 느끼는 행복감, 심리적인 안녕상태 (well-being), 등을 의미하며 삶의 질은 주로 삶의 만족도나 삶의 만족도 수준을 통하여 측정하게 된다[12]. 삶의 만족도는 개개인이 매일의 생활에서 느끼는 전반적인 삶의 주관적 평가이며 과거의 삶뿐만 아니라 현재 처해 있는 상황에 대한 종합적이고 보편적인 만족을 의미 하는 종합적인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13].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의 상관관계는? 선행연구에서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고하고 있다. 만성질환의 수가 적을수록, 복합 상병(comorbidity)이 적을수록, 일상생활수행기능이 양호할수록, 삶의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31, 32]. 또한 주관적 건강상태가 양호할수록 삶의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30, 33, 34].
50대 여성의 행복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요소는 무엇인가? 6%는 빚으로 인한 이자 때문에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0대 여성의 행복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요소는 아이러니칼하게도 그들이 삶을 바쳐 뒷받침해온 가족에 대한 부담이 깊게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1]. 이는 베이비 부머 세대 내에서도 성별에 따라 가족에 대한 부담이 다르게 나타나고 따라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도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Ha-Nam Bang, Dong-Kyun Shin, Seong-Kyun Lee, June Han, Ji-Kyung Kim, In-Chul Shin, Research on labor life span of Korean Baby Boomer Generation, Institute of Korean Labor, 2010. 

  2. Gyeong-Hee Chung, So-Jeong Lee, Yun-gyeong Lee, Su-bong Kim, Deok Sunwoo, Yeong-Hui Oh, Gyeong-Rae Kim, Bo-Mi Park, Hye-Yeong Yoo, Eun-Jin Lee, Baby boomer's demographic profiles and welfare need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0. 

  3. Soon-Dool Chung, Mi-Jung Koo,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 Comparison among Baby boomers, the Pre-elderly, and the Elderly, Korean Society of Welfare for the Aged, Vol. 52, 2011. 

  4. Gyeong-Hye Han, Seok-jin Woo, Hye-Gyeong Choi, Jeong-Hwa Ha, Sandra Timmermanns, Forgotten Generation at the Crossroads, 2010 

  5. Youn-Hee Shin, Kyung-Hye Han, Ho-Ki Kim, Byung-Hu Kim, Hye-Young Kim, Kyung-Suk Park, Baby Boomer generation at Risk: Are Social Solutions Possible? Korean Institute of Family Law, 2010 

  6. Gyeong-Hye Han, Seok-jin Woo, Hye-Gyeong Choi, Jeong-Hwa Ha, Sandra Timmermanns, Changes and continuities in korean baby boomer's lives, 2010-2012, 2012 

  7. The Chosun ilbo, 2011/01/14 

  8. The Chosun ilbo, 2011/01/14 

  9. Gwang-Hui Park, Gyeong-Hye Han,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Persons Who Reside in the Rural Area,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Vol.11, 2002 

  10. Seong-Jae Choi,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asuring Scale of he Concept of Life Satisfaction,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culture, Vol. 49, pp. 233-258, 1986. 

  11. Mal-Hee Seo, Ka-Hyo Yoo, A Study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Rural Olders near Taeg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 37, No. 12, pp. 29-41, 1999. 

  12. Seung-Hwan Oh, Dong-Seong Yoon, A Comparative Study on Quality of Life on the Elderly among urban, farm and island area,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 32, pp. 119-147, 2006. 

  13. Palmore, E, and Kivett, V, Change in life satisfaction : A Longitudinal study of persons aged 46-70, Journal of Gerontology, Vol. 32, pp. 311-326, 1977. 

  14. Gi-Nam Park, Gender Differences in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Vol. 24, NO. 3, pp. 13-29, 2004. 

  15. Jun-Su Heo, Life Satisfaction of Community Resident Elderly Person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 24, pp. 127-151, 2004. 

  16.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5. 

  17. Chen, C, Aging and life satisfac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 54, No. 1, pp. 57-82, 2001. 

  18. Yeong-Hui Oh, Jae-Eun Seok, Jung-Don Kwon, Jeong-Seok Kim, Yeong-Ran Park, Jeong-Gi Lim, Old person's quality of life and policy implication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5. 

  19. Hyun-Sook Yoon, So-Young Heo,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 on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Vol. 27, No. 3, pp. 649-666, 2007. 

  20. Soon-Dool Chung, Sun-Hee Lee, Change in Life Satisfaction of Korean Elderly: Comparisons of 1994, 2004, 2008 National Survey Results on the Elderly Life Conditions and Welfare Need,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Vol. 31, No. 4, pp. 1229-1246, 2011. 

  21. Woon-Young Jeong, Se-Eun Jeong,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Life Satisfaction by Income Levels among Single Elderly Households,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Vol, 31, No. 4, pp. 1119-1134, 2011. 

  22. Myeong-Suk Kim, Jong-Wook Ko,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 An Integrative Approach,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13, No. 6, pp. 246-259, 2013. 

  23. Jeong-Yeon Kim, Sok-Goo Lee, Sung-Kook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s,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Vol. 30, No. 2, pp. 471-484, 2010. 

  24. Chang-Hwan Shin, The Study on Effects of Objective Life Attributes on Depression of Elderly Mediated by Life-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Vol. 30, No. 2, pp. 453-469, 2010. 

  25. Soon-Mi Park, Ji-A Son, Sung-Woo Bae, A longitudinal analysis on the prospective change of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 Focusing on the socio demographic variables, Social science research, Vol. 25, No. 3, pp. 1-24, 2009. 

  26. Dong-Ho Lee, The Effects of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s Health Condition,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Vol. 30, No. 1, pp.93-108, 2010 

  27. Mee-Ae Lee, Their Effects on the Probability of Nursing Home Admission Caregiver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Vol. 18, No. 2, pp. 80-96, 1998. 

  28. Gyeong-Hye Han, Ju-Hyeon Kim, Gyeong-Min Kim, Does It Vary by Gender? Supportive and Conflictual Social Networks and Mental Health of the Middle-aged in Korea,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Vol. 23, No. 2, pp. 155-170, 2003. 

  29. Mee-Ae Lee, Their Effects on the Probability of Nursing Home Admission Caregiver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Vol. 18, No. 2, pp. 80-96, 1998. 

  30. Dong-Bae Kim, Seo-Young Park,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and Suicidal ideation: Verifying of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Center For Social Welfare Research Yonsei University, Vol. 24, pp. 109-129, 2010. 

  31. Su-Jie Chang,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of Social Network in Old Age, and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Focusing on the Comparison according to Age and Gender, Social science research, Vol. 26, No. 1, pp. 75-100, 2010. 

  32. Havighurst, Robert J, "A Seminar Report": Human Development, Societal Change and Adult Moral Character, Religious education, Vol. 68, 1973. 

  33. Lawton, J, Due-Diligence Assessment A Specialized Audit to Manage Liabilities Associated With Property Transfers, Annual technical and business exhibition and symposium, Vol. 7, 1991. 

  34. Mee-Ae Lee, Their Effects on the Probability of Nursing Home Admission Caregiver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Vol. 18, No. 2, pp. 80-96, 1998. 

  35. Mee-Ae Lee, Their Effects on the Probability of Nursing Home Admission Caregiver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Vol. 18, No. 2, pp. 80-96, 1998. 

  36.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1. 

  37. Horowitz, A, Family caregiving to the frail elderly. In Carl Eisdorfer, Annual review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 5, pp. 194-246, 1985. 

  38. Malonebeach, E.E, Zarit, S.H, Current research issues incaregiving ti the eld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 32, No. 2, pp. 103-114, 1991. 

  39. Miller, B, Cafasso, L, Gender differences in caregiving: Fact or artifact?, The gerontologist, Vol.32, pp. 498-507, 1992. 

  40. Mee-Ae Lee, A Study on the Level of Agreement between Impaired Elders and their Primary Family Caregivers: Problems in Family Proxy Assessments, The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Vol. 10, No. 1, pp. 61-72, 2007. 

  41. Gyeong-Hee Chung, So-Jeong Lee, Yun-gyeong Lee, Su-bong Kim, Deok Sunwoo, Yeong-Hui Oh, Gyeong-Rae Kim, Bo-Mi Park, Hye-Yeong Yoo, Eun-Jin Lee, Baby boomer's demographic profiles and welfare need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0. 

  42. Mee-Ae Lee, Their Effects on the Probability of Nursing Home Admission Caregiver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Vol. 18, No. 2, pp. 80-96, 1998. 

  43. Gyeong-Hee Chung, So-Jeong Lee, Yun-gyeong Lee, Su-bong Kim, Deok Sunwoo, Yeong-Hui Oh, Gyeong-Rae Kim, Bo-Mi Park, Hye-Yeong Yoo, Eun-Jin Lee, Baby boomer's demographic profiles and welfare need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0. 

  44. Gyeong-Hee Chung, So-Jeong Lee, Yun-gyeong Lee, Su-bong Kim, Deok Sunwoo, Yeong-Hui Oh, Gyeong-Rae Kim, Bo-Mi Park, Hye-Yeong Yoo, Eun-Jin Lee, Baby boomer's demographic profiles and welfare need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0. 

  45. The Chosun ilbo, 2011/01/14 

  46. Jin-Hui Bae, Focusing on the Function of Support by Their Children and Neighbors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Rural Elderly, Korean association of social welfare policy, Vol. 20, pp. 197-216, 2004. 

  47. Mee-Ae Lee, Relative Effects of health and family factors on Geriatric Depression, Korean association of social welfare policy, Vol. 22, pp. 623-635, 2011 

  48. Jin-Hui Bae, Focusing on the Function of Support by Their Children and Neighbors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Rural Elderly, Korean association of social welfare policy, Vol. 20, pp. 197-216,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