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인지손상을 위한 몬트리올인지평가의 신뢰도
A Reliability th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on Cognitive impairment Following Strok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3, 2013년, pp.1228 - 1233  

송창순 (충남도립청양대학, 작업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판 만성 뇌졸중 환자의 신경심리학적 평가도구를 결정하기 위하여 한국판 몬트리올인지평가 및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의 신뢰도를 알아보고, 두 평가도구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는 만성뇌졸중환자 5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인지손상 진단 여부에 따라서 정상인지 뇌졸중군(20명)과 인지손상 뇌졸중군(32명)으로 구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한국판 몬트리올인지평가 및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를 평가받았으며, 연구기간은 2012년 10월 2일부터 2012년 11월 30일까지 이었다. 연구결과 정상인지 뇌졸중군은 한국판 몬트리올인지평가에서 중등도 이상의 신뢰도를 보여주었으며,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에서 중등도의 신뢰도를 보여주었다. 인지손상 뇌졸중군은 한국판 몬트리올인지평가 및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에서 모두 중등도 이상의 신뢰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정상인지 뇌졸중군과 인지손상 뇌졸중군은 한국판 몬트리올인지평가의 점수가 높을수록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의 점수도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판 몬트리올인지평가 및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 모두 뇌졸중으로 인한 인지손상을 진단하는데 적합하다고 사료되어, 연구 및 임상환경에서 신경심리학적 평가도구로 사용할 것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K) and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and correlation between MoCA-K and MMSE-K to detect cognitive impairment following stroke determined by a neuropsyc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인지손상을 검증할 수 있는 임상평가도구의 신뢰도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급성 및 아급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의 대상이 만성 뇌졸중 환자였다는 것은 뇌졸중 환자의 인지손상을 이해하는데 근거가 되는 체계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고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정상인지를 보이는 환자와 인지손상을 보이는 환자를 구분하여, 몬트리올인지평가와 간이정신상태검사의 신뢰도와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상인지 뇌졸중군은 한국판 몬트리올인지평가와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가 인지손상 뇌졸중군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지는 무엇인가? 5%가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인지장애를 호소한다고 보고하였다[3,4]. 인지(cognition)는 인간이 움직일 때 바람직하고 숙련된 기술을 수행할 수 있는 내적 과정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인간을 촉진하고 지지하는 목적-지향적이며 의식적으로 조절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인지손상은 뇌졸중 환자의 독립적인 일상생활동작 수행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작업수행능력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뇌졸중 환자의 사회통합을 위하여 재활과정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손상 중 하나이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인지손상을 검사하는 평가도구는 무엇인가? 대부분의 인지손상을 검사하는 평가도구는 손상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짧은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뇌졸중 후 발생하는 인지손상은 전체적이기 때문에 한 평가 도구가 가장 적합하다고 하기에는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인지손상 평가도구는 간이정신상태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이다[3].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간이정상상태검사는 경증 인지손상에는 민감하지 못하고, 뇌혈관질환과 관련된 인지손상을 평가하는데는 최선이 될 수 없다고 제언한다[3,6-8].
몬트리올인지평가는 무엇을 평가하는가? 최근에 개발된 몬트리올인지평가(Montreal cognitive assessment)는 경증인지손상에 민감하게 설계된 평가도 구로 실행과제와 주의집중과제로 구성되어 있다[6-8]. 몬트리올인지평가는 주의력, 집중력, 실행력, 기억력, 어휘력, 시각 공간력, 추상력, 계산 및 지남력과 같은 인지기 능을 평가한다. 몬트리올인지평가는 경증인지손상을 진단하는데 간이정신상태검사보다 더 분별력이 높은 도구이며, 민감도(sensitivity)와 특이도(specificity)가 높다고 소개되었다[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G. M. Nys, M. J. van Zandvoort, P. L. de Kort, et al, "Cognitive disorders in acute stroke: prevalence and clinical determinants", Cerebrovasc Dis, 23(5-6), 408-416, 2007. DOI: http://dx.doi.org/10.1159/000101464 

  2. V. Teoh, J. Sims, J. Milgrom, "Psychosocial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in a sample of comminity-dwelling stroke survivors: a lingitudinal study", Top Stroke Rehabil, 16(2), 157-166, 2009. DOI: http://dx.doi.org/10.1310/tsr1602-157 

  3. G. M. Nys, M. J. Zandvoort, P. L. de Kort, et al, "Restrictions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in acute stroke", Arch Clin Neuropsychol, 20(5), 623-629, 2005. DOI: http://dx.doi.org/10.1016/j.acn.2005.04.001 

  4. A. Jaillard, B. Naegele, S. Trabucco-Miguel, et al, "Hidden dysfunctioning in subacute stroke", Stroke, 40(), 2473-2479, 2009. 

  5. N. E. Mayo, S. Wood-dauphinee, L. Durcan, et 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6 months poststroke", Arch Phys Med Rehab, 83(8), 1035-1042, 2002. DOI: http://dx.doi.org/10.1053/apmr.2002.33984 

  6. A. W. Wind, F. G. Schellevis, G. Staveren, et al, "Limitations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in diagnosing dementia in general practice", Int J Geriatr Psychiatry, 12(1), 101-108, 1997. DOI: http://dx.doi.org/10.1002/(SICI)1099-1166(199701)12:1 3.0.CO;2-R 

  7. O. Godefroy, A. Fickl, M. Roussel, et al, "Is th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superior to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to detect poststroke cognitive impairment: a stroke with neuropsychological evaluation", Stroke, 42(6), 1712-1716, 2011. DOI: http://dx.doi.org/10.1161/STROKEAHA.110.606277 

  8. J. Toglia, K. A. Fitzgerald, M. W. O'Dell, et al,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nd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in persons with mild subacute stroke: relationship to functional outcome", Arch Phys Med Rehabil, 92(5), 792-798, 2011. DOI: http://dx.doi.org/10.1016/j.apmr.2010.12.034 

  9. Z. S. Nasreddine, N. A. Phillips, V. Bedirian, et al, "Th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 a brief screening tool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J Am Geriatr Soc, 53(4), 695-699, 2005. DOI: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05.53221.x 

  10. T. B. Cumming, J. Bernhardt, T. Linden, "Th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short cognitive evaluation in a large stroke trial", Stroke, 42(9), 2642-2644, 2011. DOI: http://dx.doi.org/10.1161/STROKEAHA.111.619486 

  11. Z. S. Nasreddine, J. Y. Lee, "Korean version of th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arch 1, 2006, Available from: http://www.mocatest.org. 

  12. Y. K. Kwon, J. H. Park,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or Neurol Psychol Med, 28, 125-135, 1989. 

  13. S. E. Mcewen, M. P. J. Huijbregts, J. D. Ryan, et al, "Cognitive strategy use to enhance motor skill acquisition", Brain Injury, 23(4), 263-277, 2009. DOI: http://dx.doi.org/10.1080/02699050902788493 

  14. K. Schultz-Larsen, S. Kreiner, R. K. Lomholt,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mixed Rasch model item analysis derived two different cognitive dimensions of the MMSE", J Clin Epidemiol, 60)3), 268-279, 200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