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910년대 만화의 전개와 내용적 특질: 『매일신보』 게재 만화를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Content Characteristics of Cartoons in the 1910s: focusing on cartoons published in Maeilsinbo 원문보기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no.30, 2013년, pp.139 - 168  

서은영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고는 1910년대 "매일신보"에 게재되었던 만화를 수집 발굴하여, 기존 만화사에서 간과되었던 이 시기 만화의 의미와 가치를 해명하고자 했다. "매일신보"에 실렸다는 이유로 외면했던 기존 연구사에 문제를 제기하고, 다소 유연한 태도로 접근하여 1910년대 만화의 다양한 층위를 보여주고자 했다. 1910년대 전체적으로는 신문관 간행 잡지에 게재된 '다음엇지'와 "매일신보"가 모두 아우러져서 서술되어야 하겠지만, 본고에서는 "1910년대 만화사 재고"라는 목표로 "매일신보"만을 우선 대상으로 삼았다. 1910년대는 한국 만화의 시초라 일컬어지는 1909년의 "대한민보"'삽화'의 등장과, 신문 만평이 본격화되고 최초로 코믹스가 실렸던 1920년대를 이어주는 교량적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총독부 기관지라는 "매일신보"의 특수성과 대중문화의 주체가 태동한다는 시기적 특수성이 중층적으로 존재하는 시기이다. 본고에서는 강점 직후의 특수성 안에서 만화가 "매일신보"지면에 배치되게 된 배경과 전개 상황을 서술했다. 초기에는 근대적 만화양식이 모호한 상태였지만 후기로 갈수록 양식상의 정립이 이루어졌다. 이 시기의 만화는 하나의 란(欄)으로 고착되어 지속되지는 않았지만, 기사의 내용을 압축적으로 재현해 가장 극적인 부분을 만화로 시각화하는 방법으로 독자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등 다양한 만화가 시도되었다. 본고에서는 게재된 만화 가운데 대표성을 띠는 것을 분류하여 "매일신보"만화의 성격을 대략 세 가지로 구분했다. 조선의 일상 풍경과 풍속을 통해 '가장 조선적인 것'을 재현하는 동시에 반문명의 조선의 모습을 배치하는 제국의 이중적 시선을 담지한 것, 조선인의 부의 축적을 공익의 관점에서만 타당한 것으로 재현한 것, "경성"이라는 공간에서도 생활고를 겪는 조선인과 호화로운 연말을 보내는 진고개의 일본인을 대별함으로써 공간을 차별적으로 구분하는 시선을 담지한 것으로 분류했다. 이처럼 "매일신보"는 만화를 통해 피식민지인을 규율하고 식민지 권력의 담론을 자연스럽게 노출하기도 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cartoons in the 1910s which were largely passed unnoticed in the preceding cartoon studies by scrutinizing cartoons published in Maeilsinbo in the 1910s. Until now, Korean cartoons in the 1910s has been neglected just because it were publis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근대 만화의 시작은? 한국 근대 만화의 시작은 1909년 『대한민보』의‘삽화’이다. 이도영의 ‘삽화’는 1년 여 가까이 연재되었지만, 불행히도 『대한민보』의 폐간과 함께 그 자취를 감추었다.
대한민보에 연재되던 이도영의 삽화는 어떻게 자취를 감추게 되었는가? 한국 근대 만화의 시작은 1909년 『대한민보』의‘삽화’이다. 이도영의 ‘삽화’는 1년 여 가까이 연재되었지만, 불행히도 『대한민보』의 폐간과 함께 그 자취를 감추었다. 그리고 많은 만화사가들은 『대한민보』‘삽화’의 다음 장을 1920년대 만화로 서술하고 있다.
무단통치기의 만화사 서술에서 매일신보만 제외했다는 것은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가? 그러나 무단통치기의 만화사 서술에서 ‘다음엇지’와 『신한민보』에 게재된 만화는 서술하면서 『매일신보』만 제외했다는 것은 만화사를 민족/혈연/종족 중심, 더 나아가서 조선인에 의해 발간된 매체로 한정했다는 의구심이 들게 한다.3) 이는 “한국만화사”에서 “한국”에 방점을 두고 민족 혹은 네이션(nation)의 정의 자체를 자의적으로 해석함으로써 한국만화사에서 1910년대를 “암흑기”로 만들어버리는 결과를 가져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매일신보 

  2. 만세보 

  3. 권보드래, 1910년대, 풍문의 시대를 읽다,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8. 

  4. 손상익, 한국만화통사상, 시공사, 1999. 

  5. 시미즈 이사오, 장영순 역, 풍자 만화로 보는 근대일본, 소명출판, 2011. 

  6. 신인섭, 일본의 광고, 나남, 1993. 

  7. 유모토 고이치, 정선태 외 역, 일본근대의 풍경, 그린비, 2004. 

  8. 윤영옥, 韓國新聞漫畵史 1909-1995, 열화당, 1995. 

  9. 정진석, 한국언론사, 나남, 1990. 

  10. 한상일.한정선, 일본, 만화로 제국을 그리다, 일조각, 2008. 

  11. 강민성, "한국근대신문소설 삽화연구; 1910-1920년대를 중심으로",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2002.7. 

  12. 김영근, "일제하 일상생활의 변화와 그 성격에 관한 연구 ; 경성의 도시공간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1999) 

  13. 문경연, "한국 근대초기 공연문화의 취미담론 연구", 경희대학교박사학위논문(2008.2) 

  14. 손상익, "한국신문시사만화사 연구; 풍자성과 사회비판적 역할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04.12) 

  15. 이주라, "1910-1920년대 대중문학론의 전개와 대중소설의 형성", 고려대학교박사학위논문(2010.12) 

  16. 최병택, "1908-1945년 일제의 임야소유권 정리와 민유림운영",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08) 

  17. 함태영, "1910년대 매일신보소설 연구", 연세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08.12) 

  18. 권보드래, 1910년대의 새로운 주체와 문화; 매일신보가 만든, 매일신보에 나타난 대중, 민족문학사연구, 36집(2008.04), pp.147-169 

  19. 김동노, 일본제국주의의 조선 지배의 독특성, 동방학지, 133호(2006), pp.199-242. 

  20. 김현주, 1910년대 초 매일신보의 사회담론과 공공성, 현대문학의 연구, 제39집(2009. 10), pp.235-273. 

  21. 서은영, 한국 '만화' 용어에 대한 문제제기 및 제언, 인문콘텐츠, 제26호(2012.9), pp.101-128. 

  22. 서은영, 1920년대 매체의 대중화와 만화-1920년대 초, 동아일보와 동명의 만화를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28집 (2012.12), pp.123-155. 

  23. 서은영, 최남선의 근대잡지 기획과 '다음엇지', 만화애니메이션학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2012.12, pp.3-20. 

  24. 윤상길, '식민지 공공영역'으로서의 1910년대 매일신보, 한국 언론학보, 55호(2001), pp.56-76. 

  25. 정희정, 한국 근대초기 시사만화 연구 ; 1909-1920년, 한국근대미술사학, 제10권(2002), pp.119-151 

  26. 주윤정, 조선물산공진회와 식민주의 시선, 문화과학, 통권 제33호 (2003 봄), pp.145-160. 

  27. 하세봉, 20세기 전환기 박람회에서 동아시아 각국의 인식과 시선, 동아시아 문화와 사상, 6집(2001. 6), pp.61-82 

  28. 한기형, 근대잡지와 근대문학 형성의 제도적 연관; 1910년대 최남선과 竹內錄之助의 활동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24집(2004.12), pp.33-7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