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간 근력 강화 운동이 경직성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의 앉은 자세 균형 수행력과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unk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on Balance Performance of Sitting Posture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of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c Cerebral Palsy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8 no.1, 2013년, pp.117 - 125  

최영철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박수진 (선린대학교 물리치료과) ,  이명효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김진상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unk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on balance performance of sitting posture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targeting the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c cerebral palsy. METHODS: 20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c cerebral palsy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간의 근력 약화로 인해 앉은 자세에서의 균형 유지와 상지의 기능에 제한을 가지고 있는 보행이 불가능한 경직성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체간 근력 강화 운동이 균형 수행 능력과 상지 기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성마비란 무엇인가? 뇌성마비는 뇌의 미성숙한 시기에 가해진 비진행성 뇌손상으로 발생되는 기능 장애로 비정상적인 반사와근 긴장도 이상, 비대칭 자세 변형, 비정상적 흔들림, 균형 장애 등을 초래하여 운동 조절의 어려움을 유발한다(Bobath, 1980). 여러 가지 뇌성마비 양상 중에서 경직성 양하지 뇌성마비는 일반적으로 상지의 기능이 하지 기능보다 우수하다고 하나, 체간의 안정성 부족과 균형 능력 결여로 인해 불안정한 자세를 보이며, 이를 보상하기 위해 등을 앞으로 구부리고 어깨를 움츠려 상지의 기능이 다소 제한되는 경향이 있다.
뇌성마비는 무엇을 유발하는가? 뇌성마비는 뇌의 미성숙한 시기에 가해진 비진행성 뇌손상으로 발생되는 기능 장애로 비정상적인 반사와근 긴장도 이상, 비대칭 자세 변형, 비정상적 흔들림, 균형 장애 등을 초래하여 운동 조절의 어려움을 유발한다(Bobath, 1980). 여러 가지 뇌성마비 양상 중에서 경직성 양하지 뇌성마비는 일반적으로 상지의 기능이 하지 기능보다 우수하다고 하나, 체간의 안정성 부족과 균형 능력 결여로 인해 불안정한 자세를 보이며, 이를 보상하기 위해 등을 앞으로 구부리고 어깨를 움츠려 상지의 기능이 다소 제한되는 경향이 있다.
체간의 안정성을 위해 필요한 것은? 체간의 안정성은 작은 운동을 하거나 움직임의 방해가 나타날 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근골격계의 능력이다(Granata 등, 2005). 이를 위해서는 체간 근육들의 조화로운 활동이 필요한데, 순간적인 자세 변화와 다양한 운동 속도, 척추에 부과되는 부하 변화에 대해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척추 앞과 뒤, 측면에 있는 근육들이 안정된 수축력을 생산하고, 협력 수축을 해야 한다 (McGill 등, 2003). 하지만, 대부분의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들은 태내에서의 경험 부족과 발달 지연으로 인해 근위부 근육의 동시 수축이 유발되지 않는 불안정한 움직임을 하게 되고(Kwon과 Lee, 1995), 머리 조절 능력과 체간 안정성이 감소되어 올바른 자세 유지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Bobath,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lundell SW, Shepherd RB, Dean CM et al. Functional strength training in cerebral palsy: a pilot study of a group circuit training class for children aged 4-8 years. Clin Rehabil. 2003;17(1):48-57. 

  2. Bobath B. Adult hemiplegia: evaluation and treatment. 2nd ed. Oxford. England. William Heinemann Medical Books Ltd. 1991. 

  3. Bobath K. A neurophysiological basis for the treatment of cerebral palsy. 2nd ed. London. England. William Heinemann Medical Books Ltd. 1980. 

  4. Brogren E, Forssberg H, Hadders-Algra M. Influence of two different sitting positions on postural adjustments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Dev Med Child Neurol. 2001;43(8):534-46. 

  5. Case-Smith J.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C.V. Mosby. 2004. 

  6. Damiano DL, Abel MF. Functional outcomes of strength training in spastic cerebral palsy. Arch Phys Med Rehabil. 1998;79(2):119-25. 

  7. DeMatteo C, Law M, Russell D et al.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uality of upper extremity skills test. Phys Occup Ther Pediatr. 1993;13(2):1-18. 

  8. Eek MN, Tranberg R, Zugner R et al. Muscle strength training to improve gait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2008;50(10):759-64. 

  9. Gilfoyle EM, Grady AP, Moore JC. Children adapt. 2nd ed. Slack. 1990. 

  10. Givon U. Muscle weakness in cerebral palsy. Acta Orthop Traumatol Turc. 2004;43(2):87-93. 

  11. Granata KP, Lee PE, Franklin TC. Co-contraction recruitment and spinal load during isometric trunk flexion and extension. Clin Biomech. 2005;20(10):1029-37. 

  12. Haga N, van der Heijden-Maessen HC, van Hoorn JF et al. Test-retest and inter and intrareliability of the quality of the upper-extremity skills test in preschool-ag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rch Phys Med Rehabil. 2007;88(12):1686-9. 

  13. Han TR, Bang MS. Rehabilitation Medicine. 3rd ed. Koonja. 2008. 

  14. Jo SJ. The effects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postural control exercise program on trunk muscle control ability and gross motor function movement for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ankook University. Doctor's thesis. 2006. 

  15. Kim MY. A study of manual functional test for C.V.A. J Kor Soc Occu Ther. 1994;2(1):19-26. 

  16. Kim SH. Effects of correcting sitting posture on the functional movements of upper-extremities for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ankook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4. 

  17. Kim CS, Lee JS. The Comparison Between Blind and Normal Children in Standing Position. J Kor Soc Phys Ther. 2003;15(1):119-54. 

  18. Kwon HC, Lee CH. Advanced physical therapy I. Hyunmoon. 1995. 

  19. Kerr HM, Eng JJ. Multidirectional measures of seated postural stability. Clinical Biomechanics. 2002;17(7):555-7. 

  20. Lee YS. The effects of a strengthening exercise of trunk muscles on upper extremity performance and postural control in hemiplegic patients. Daegu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0. 

  21. Lee EJ, Park RJ, Ro HL. The effects of thera-band for gross motor function and balance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2009;17(4):249-67. 

  22. Lee JH. The effects of strengthening trunk muscles using water exercises on sitting postures and muscle tone in lower extremities for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ankook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6. 

  23. Liao SF, Yang TF, Hsu TC, Chan RC, Wei TS. Differences in seated postural control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and children who are typically developing.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2003;82(8):622-626. 

  24. McBurney H, Taylor NF, Dodd KJ et al.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benefits of strength training for young people with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2003;45(10):658-63. 

  25. McCormack DJ. The Effects of keyguard use and pelvic positioning on typing speed and accuracy in a boy with cerebral palsy. Am J Occup Ther. 1990; 44(4):312-5. 

  26. McGill SM, Grenier S, Kavcic N et al. Coordination of muscle activity to assure stability of the lumbar spine. J Electromyogr Kinesiol. 2003;13(4):353-9. 

  27. Morton JF, Brownlee M, McFadyen AK. The effects of progressive resistance training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linical Rehabilitation. 2005;19(3):283-9. 

  28. Oh JL. The effects of trunk muscle strength training on sitting balance of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J Kor Soc Phys Ther. 2004;16(1):87-102. 

  29. Ostensjo S, Carberg EB, Vollestad NK. Motor impairments in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Relationship to gross motor function and everyday activities. Dev Med Child Neurol. 2004;46(9):580-9. 

  30. Palisano RJ, Rosenbaum PL, Russell DJ et al.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a system to classify gross motor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l. 1997;39(4):214-23. 

  31. Park SW. The effect of eilateral coordination training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ith emphasis on spastic diplegia. Daegu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 Degree. 2009. 

  32. Sackley CM, Baguley BI. Visual feedback after stroke with the balance performance monitor: two single-case studies. Clin Rehabil. 1993;7(3):189-95. 

  33. Song BH, Yoon JY. The effects of trunk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therapeutic ball on the gross functional movements for the cerebral palsy children with spastic type. Special Education Research. 2003;2(2):125-46. 

  34. Stevens VK, Coorevits PL, Bouche KG et al. The influence of specific training on trunk muscle recruitment patterns in healthy subjects during stabilization exercises. Man Ther. 2007;12(3):271-9. 

  35. Taylor NF, Dodd KJ, Larkin H. Adults with cerebral palsy benefit from participating in a strength training programme at a community gymnasium. Disabil Rehabil.2004;26(19):1128-34. 

  36. Unger M, Faure M, Frieg A. Strength training in adolescent learners with cerebral pals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006;20(6):469-477. 

  37. van der Heide JC, Otten B, van Eykern LA et al. Development of postural adjustments during reaching in sitting children. Exp Brain Res. 2003;151(1):32-45. 

  38. Vera-Garcia FJ, Grenier SG, McGill SM. Abdominal muscle response during curl-ups on both stable and labile surfaces. Phys Ther. 2000;80(6):564-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