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부인과 간호단위의 간호과정과 SNOMED CT를 이용한 간호진단 온톨로지의 구축
Construction of the Nursing Diagnosis Ontology in Obstetric and Gynecologic Nursing Unit using Nursing Process and SNOMED CT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9 no.1, 2013년, pp.1 - 12  

박정은 (경북대학교 의료정보학과) ,  정귀애 (영남이공대학교 간호대학) ,  조훈 (경북대학교 의료정보학과) ,  김화선 (대구한의대학교 IT의료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pose an ontology methodology based on standardized nursing process as framework in obstetric and gynecologic nursing practice. Methods: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nursing diagnosis classification established by North American Nursing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산부인과 간호단위의 EMR에 포함된 간 호기록 자료에 포함된 간호진단진술문을 추출하여, 간호진단 진술문의 진단은 NANDA의 간호진단과 연계하고 관련요인 들은 표준화된 간호용어인 SNOMED CT와 연계하여, 간호진단과 관련요인을 연결한 간호진단 온톨로지를 구축함으로써, EMR 기반에서 산부인과 간호단위의 간호과정을 확장 및 개선시켜 지식을 생산할 수 있는 온톨로지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산부인과 간호단위에서 빈번히 사용하는 간호진단을 확인하고, 간호진단과 SNOMED CT를 연계한 간호진단 온톨로지를 구축하여, 산부인과 간호단위의 간호사들이 표준화된 간호과정을 적용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시도하게 되었다.
  • 본 연구는 산부인과 간호단위에서 빈번히 사용하는 간호진단을 확인하여 산부인과 간호단위의 간호과정 용어를 구축하였으며, 구축된 간호과정 용어에 온톨로지를 도입하여 활용할 것을 제안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D시에 위치한 일개 대학병원의 산부인과 간호단위에서 입원 치료 후 퇴원한 환자 244명의 EMR의 간호기록 자료에서 추출한 141개의 간호진단진술문을 의미한다.
  • 간호기록은 환자 상태와 경과에 대한 간호사의 판단, 환자의 반응과 상태, 환자에게 행해지는 간호의 결과를 기록한 자료이다(Chi, Choi, Park, & Jung, 1999). 본 연구에서는 D시에 위치한 일개 대학병원의 산부인과 간호단위에서 입원 치료 후 퇴원한 환자 244명의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for Nursing Practice (ICNP)와 NNN을 기반으로 한 EMR의 간호기록 자료를 의미한다.
  • 본 연구에서는 NANDA 2009-2011에서 제시한 간호진단중 간호진단진술문의 진단과 연계한 27개의 간호진단을 의미한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진단진술문에서 간호진단과 연계한 관련요인 중 중복을 제거한 총 113개의 관련요인을 의미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산부인과 간호단위의 표준화된 간호과정을 기반으로 한 간호진단 온톨로지를 구축함으로써, EMR 기반에서 산부인과 간호단위의 간호과정을 확장 및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러나 간호기록 중 많은 부분이 텍스트로 제시되고 있어 전산화되고 있는 의료 환경에서 간호와 관련된 다양한 개념들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간호와 관련된 개념 중에서 관련요인을 SNOMED CT와 연계하여 Concept ID라는 고유의 코드를 부여하여 표준화 시키려는 노력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동일한 관련요인이라도 기록한 간호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기 때문에, 추후 문헌고찰에 근거한 다양한 관련요인들이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 업무에서 간호과정의 예시는? 다양한 간호사 업무는 공통적인 핵심 가이드라인으로 간호과정을 사용하고 있으며, 간호과정은 사정, 진단, 계획, 중재, 평가로 이루어져 있다 (von Krogh, Dale, & Naden, 2005). 예를 들어, 골반 부위 통증과 월경과다를 호소하는 32세의 미혼여성 환자에게서 간호사는 간호문제의 예로 ‘불안’이나 ‘통증’의 증상을 발견할수 있을 것이다. 간호사는 ‘불안’, ‘급성 통증’의 진단을 내릴수 있으며, ‘불안 수준’, ‘통증 수준’을 평가한 후, 우선순위에 따른 계획을 세워 중재를 수행하며, 환자의 불안이나 통증의 정도가 완화되거나 변화가 없거나 혹은 더 악화된 상태인지를 평가하게 된다. 문제가 해결되었다면 그 과정을 어떻게 끝내 는지, 또 문제가 해결되지 못하였다면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간호과정을 어떻게 다시 적용하는지에 대한 순환적인 문제 해결 방법이 간호과정이다.
온톨로지란? 간호진단과 관련요인을 연결하는 지식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술로는 온톨로지가 있다. 온톨로지는 특정 분야의 지식 체계를 모델링할 수 있는 기술로서, 온톨로지를 간호용어시스템에 도입하기 위한 선행연구들을 보면, 간호중재 영역의 온 톨로지(Hardiker, 2001, 2003), 통증간호 영역의 온톨로지 (Kim, Lee, Park, Choi, & Kim, 2005), 성인 중환자실 간호 영역의 온톨로지(Kim, Harris, Savova, & Chute, 2008), 간호계획 영역의 온톨로지(Din, Abidi, & Jafarpour, 2010)가보고되고 있으나, 산부인과 간호단위에서 사용되는 간호진단 중심의 온톨로지의 개발과 평가는 국내에서는 보고된 바가 없으며 특히, EMR과 연계하기 위한 표준화된 간호용어 간의 통합적인 접근 방법이 아니므로 간호정보의 일관성을 보장하기는 힘들다. SNOMED CT는 ANA에서 승인한 13개의 표준화된 간호용어 중 가장 최근에 승인된 표준화된 간호용어이자유일한 참조용어이다.
온톨로지를 간호용어시스템에 도입하기 위한 선행연구로는 어떤 것들이 있나? 간호진단과 관련요인을 연결하는 지식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술로는 온톨로지가 있다. 온톨로지는 특정 분야의 지식 체계를 모델링할 수 있는 기술로서, 온톨로지를 간호용어시스템에 도입하기 위한 선행연구들을 보면, 간호중재 영역의 온 톨로지(Hardiker, 2001, 2003), 통증간호 영역의 온톨로지 (Kim, Lee, Park, Choi, & Kim, 2005), 성인 중환자실 간호 영역의 온톨로지(Kim, Harris, Savova, & Chute, 2008), 간호계획 영역의 온톨로지(Din, Abidi, & Jafarpour, 2010)가보고되고 있으나, 산부인과 간호단위에서 사용되는 간호진단 중심의 온톨로지의 개발과 평가는 국내에서는 보고된 바가 없으며 특히, EMR과 연계하기 위한 표준화된 간호용어 간의 통합적인 접근 방법이 아니므로 간호정보의 일관성을 보장하기는 힘들다. SNOMED CT는 ANA에서 승인한 13개의 표준화된 간호용어 중 가장 최근에 승인된 표준화된 간호용어이자유일한 참조용어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enson, T. (2010). Principles of health interoperability HL7 and SNOMED. London: Springer. 

  2. Bluechek, G. M., Butcher, H., & Dochterman, J. M. (Eds.). (2008).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IC) (5th ed.). St louis: Mosby Elsevier. 

  3. Chi, S. A., Choi, K. S., Park, K. S., & Jung, Y. K. (1999). A basic study on improvement and computerization of nursing recor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 21-33. 

  4. Chin, H. J., & Kim, S. G. (2003). Standardization of main concept in chief complaint based on SNOMED CT for utilization in electronic medical record.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9, 235-247. 

  5. Clinical Information Consultancy. (2011). Viewing SNOMED clinical terms with CliniClue Xplore. Retrieved November 15, 2012, from http://www.cliniclue.com/ 

  6. Din, M. A., Abidi, S. S., & Jafarpour, B. (2010). Ontology based modeling and execution of nursing care plans and practice guidelines. Studies in Health Technology and Informatics, 160, 1104-1108. http://dx.doi.org/10.3233/978-1-60750-588-4-1104 

  7. Hardiker, N. R. (2001). Mediating between nursing intervention terminology systems. Proceedings AMIA Annual Symposium, 239-243. 

  8. Hardiker, N. R. (2003). Logical ontology for mediating between nursing intervention terminology systems. Methods of Information in Medicine, 42, 265-270. 

  9. Johnson, M., Moorhead, S., Bulechek, G. M., Butcher, H. K., Maas, M. L., & Swanson, E. (2012). NOC and NIC linkages to NANDA-I and clinical conditions: Supporting critical reasoning and quality care (3rd ed.). St. Louis: Mosby Year Book. 

  10. Kim, H. S. (200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omputerized nursing process program for orthopedic surgery inpatients-NANDA, NOC, and NIC linkag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979-990. 

  11. Kim, H., Harris, M. R., Savova, G. K., & Chute, C. G. (2008). The first step toward data reuse: Disambiguating concept representation of the locally developed ICU nursing flowsheets. Computers, Informatics, Nursing, 26, 282-289. http://dx.doi.org/10.1097/01.NCN.0000304839.59831.28 

  12. Kim, J. A. (2000). Development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of nursing process for clinical applic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3. Kim, J. H., Lee, J. H., Park, H. A., Choi, H. W., & Kim, M. K. (2005). Development of ontology for nursing statement.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11, 63-65. 

  14. Kim, P. J. (2006). Application model of the nursing process to electric medical records for cardiovascular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5. Kim, S. H., Han, S. B., & Choi, J. (2005). The expressive power of SNOMED-CT compared with the discharge summaries.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11, 265-272. 

  16. Lee, E., & Park, H. (2008). Korean nurse's experiences: The influence of NNN (NANDA-I, NIC, NOC) terminologies on nursing workflow. AMIA Annual Symposium Proceedings, 1083. 

  17. Moorhead, S., Johnson, M., Mass, M., & Swanson, E. (Eds.). (2008).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NOC) (4th ed.). St Louis: Mosby Elsevier. 

  18. NANDA International. (2009). Nursing diagnoses: Definitions & classification, 2009-2011. West Sussex: Wiley-Blackwell. 

  19. Park, H. J. (200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computerized nursing process program using nursing diagnosis-outcome intervention (NANDA-NOC-NIC) link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0. Park, M. J. (2010). Identification of nursing diagnosis-outcomeintervention (NANDA-NOC-NIC) linkage in MICU in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1. Scroggins, L. M. (2008). The developmental processes for NANDA international Nursing diagnos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Terminologies and Classifications, 19, 57-64. http://dx.doi.org/10.1111/j.1744-618X.2008.00082.x 

  22. Stanford University. (2011). Protege 3.4.7. Retrieved October 20, 2012, from http://www.stanford.edu/ 

  23. von Krogh, G., Dale, C., & Naden, D. (2005). A framework for integrating NANDA, NIC, and NOC terminology in electronic patient record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7 , 275-281. http://dx.doi.org/10.1111/j.1547-5069.2005.00047.x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