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보육이 아동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영유아보육 정책의 실태와 전망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on Children's Mental Health (I) - Status and Prospects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ies of Korea -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4 no.1, 2013년, pp.3 - 12  

반건호 (경희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홍민하 (경희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연정 (경희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곽영숙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정유숙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소영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부천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봉석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손석한 (연세신경정신과-소아청소년정신과의원) ,  정운선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양재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방수영 (강남을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황준원 (강원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오소영 (서울시립아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한재현 (경희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  이종원 (경희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preschool children in Korea attend kindergarten (KG) or a child care center (CCC). CCCs, which focus on caring for the child, belong to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n the other hand, KGs are responsible for education, and belo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 당시 사업 구상단계에서는 다자녀로 인한 부모의 경제활동 제약 및 노동시간의 감소를 줄이고자 하였다.
  • 이에 대한 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기획팀에서는 정신건강재단과 함께 영유아보육과 관련하여 우리나라는 물론 외국의 실태를 알아보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무상보육제도가 영유아의 정신건강발달에 미칠 효과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원고에서는 우선 우리나라의 영유아보육의 역사 및 2013년부터 확대실시되는 무상보육 실태에 대해 검토하였다.
  • 지금까지는 이들 두 기관이 서로 다른 역할을 맡고 있었으며, 발전 과정도 차이가 있었으나, 2013년부터 양대 기관의 통합과 통합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시작된다. 본론에서는 이들 두 대표기관의 발달과정을 알아보고 새로이 시작되는 누리과정의 흐름을 검토하며, 소아청소년정신의학과 전문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영유아무상교육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즉, 가족계획사업과 기생충박멸 사업은 목표를 숫자로 계상할 수 있고, 종료가 가능한 사업이지만 보육사업은 완성해야 할 목표가 분명치 않고 지속적인 투자만 있고 달성 시점이 불분명하다. 이에 대한 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기획팀에서는 정신건강재단과 함께 영유아보육과 관련하여 우리나라는 물론 외국의 실태를 알아보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무상보육제도가 영유아의 정신건강발달에 미칠 효과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원고에서는 우선 우리나라의 영유아보육의 역사 및 2013년부터 확대실시되는 무상보육 실태에 대해 검토하였다.

가설 설정

  • 1) 생산인구의 축소와 부양인구의 기형적 증가는 인구 구성의 역피라미드를 형성할 것이며 경제는 물론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것이다.
  • 셋째, 무상보육의 효과 및 부작용에 대한 예측이 가능한가? 어느 나라에도 0-5세를 아우르는 일괄적인 무상보육 사례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나라의 영유아무상보육사업은 유래를 찾아보기 힘든 좋은 선례가 될 수 있을 것이지만, 영유아무상보육사업의 목표가 출산율 증가인지 아니면 평등한 교육기회 제공인지, 혹은 건강한 아동을 육성하자는 것인지 등에 따라 향후 사업 방향이 결정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치원 교육은 언제 시작되었는가? 유치원 교육은 1897년 최초의 유치원인 부산유치원이 설립 되면서 유아들의 발달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반일반 위주로 교육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으며, 1908년 구한말 대한제국의 학부가 학부령 제10호로 관립 한성고등여학교의 학칙 내에 부속 유치원 교육 항목으로 유희, 창가, 담화, 수기를 제정한 기록이 있다.8)일제 시대에는 1922년 총독부령으로 ‘소학교령’ 속에 유치원 규정을 제정하였고 그에 따라 유치원 교육을 실시하였다.
우리나라의 유치원 교육과정은 어떻게 개정되어 왔는가? 우리나라의 유치원 교육과정은 1969년에 처음으로 제정·공포된 이후, 여섯 차례에 걸쳐 개정이 이루어져, 2007년에 ‘제7차 유치원 교육과정’으로 개정되어 왔다.13) 7차 교육과정은 “사람과 자연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한국인 육성”을 기본 방향으로 하며, 건강생활, 사회생활, 표현생활, 언어생활, 탐구생활의 5개 영역으로 구성한다.
우리나라의 유치원 교육과정의 7차 교육과정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우리나라의 유치원 교육과정은 1969년에 처음으로 제정·공포된 이후, 여섯 차례에 걸쳐 개정이 이루어져, 2007년에 ‘제7차 유치원 교육과정’으로 개정되어 왔다.13) 7차 교육과정은 “사람과 자연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한국인 육성”을 기본 방향으로 하며, 건강생활, 사회생활, 표현생활, 언어생활, 탐구생활의 5개 영역으로 구성한다. 현재 전국에는 8,538개의 유치원이 있으며, 그 중 4,522개가 공립, 4,013개가 사립 유치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Kim JY. A study on the causes of lowering birth-rate and their counter- measures. Seoul: Kyung Hee Univ.;2004. 

  2. Song SY. 2013 budget for child care and education. Child care and education forum 2013;34:42-45. Available from URL: http://www. kicce.re.kr/kor/publication/03.jsp?modeview&idx6667&startPa ge0&listNo34&codejournal01&search_item&search_order&order_list10&list_scale10&view_level0 

  3. Kim MJ. 2013 budget for infant education. Child care and education forum 2013;34:46-49. Available from URL: http://www.kicce.re.kr/kor/publication/03.jsp?modeview&idx6667&startPage0&listNo34&codejournal01&search_item&search_order&order_list 10&list_scale10&view_level0 

  4. Planned Population Federation of Korea. Available from URL: http:// www.ppfk.or.kr/Default.aspx?MenuNo1050300 

  5. Statistics Korea. 2012. Available from URL:http://kosis.kr/metadata/ main.jsp?c_id1962004 

  6. History of the parasite eradication. Available from URL: http://www. kahp.or.kr/cms/doc.php?tkind6&lkind31&mkind63 

  7. Lee MH, Yuh JI, Eom JW. Mid- and Long-term developmental plans of child care policies:2013-2017.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Research report 2012-19, 2012. Available from URL: http://www.kicce.re.kr/kor/publication/02.jsp?modeview&idx6371&startPage0&listNo59&codereport01&search_item&search_order&order_list10&list_scale10&view_level0 

  8. Bang IO, Park CO, Lee KH, Kim EH.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aju:Jeongmin Publishing Co.;1999. 

  9. Chang ML, Hwang SO, Kim MN. A study on mid-long term development direc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2013-2017.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Research report 2012-18;2012. Available from URL: http://www.kicce.re.kr/kor/publication/02.jsp?modeview&idx6370&startPage0&listNo58&codereport01&search_item&search_order&order_list10&list_scale10&view_level0 

  10. An SH. A Study of Awareness between the Teachers and Parents of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on the University Syste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Day Care. Seoul: Dongguk Univ.;2012. 

  11. Park IG.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Japan for the Unification Issue of Preschool Education and Nurture. Seoul: Dongguk Univ.; 2007. 

  12. Lee JS. A Research on Childcare Center Directors' Perception of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Childcare. Seoul: Kookmin Univ.;2010. 

  13. Her OH. A Study of the Integration Ways betwee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in 3 to 5-Year-Old Children. Daegu: Daegu Catholic Univ.;2011. 

  14.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2012. Available from URL:http://cesi. kedi.re.kr. 

  15. Kong IS, Han MH, Kim YJ. Educare for Young Children. Paju: Kyoyookbook;2002. 

  16. Central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 2012. Available from URL: http://central.childcare.go.kr/ccis/community/data/DataSl.jsp? BBSGB40&BID39901&flagSl 

  17. Bowman BT, Donovan MS, Burns MS. Eager to Learn: Educating Our Preschooler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2012. 

  18. Nah J. OECD country not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licy in the republic of Korea,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04. p.104-105. Available from URL: http://oecd.kedi.re.kr/Report/Oecd/Report01_viw.php?LstCodeB_DATA&LstCaryB00316&LstNum11354 

  19.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Youngcha Project. Seoul: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2012. 

  20.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Available from URL: http://www.kicce.re.kr 

  21. Yoo HJ, Ahn JJ. An overview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licy trends in OECD countries.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Occasional research projects-02 report;2008. Available from URL: http://www.kicce.re.kr/kor/objective/02_02.jsp?modeview&idx2963&startPage0&listNo0&code&search_item &search_orderOECD&order_list10&listScale5&view_level0 

  22. Kim HS. Plans to Improve the Public Character and Transparency of Childcare Policy. Seoul: Ministry of the Gender Equality and Family;2007. 

  23. Presidential Committee on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Policy. Available from URL:http://precap.pa.go.kr 

  24. Kim NS. A Study o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Edu-care Policy in Korea. Korean Journal of 21 Century Social Welfare 2009;6;1;1-18. Available from URL: http://m.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befc7964dba753f7ffe0bdc3ef48d419 

  25. Presidential committee on ageing and future society. Social security in Finland. 2004 Oct; p.55-57. Available from URL: http://dams.pa.go.kr:8888/dams/ezpdf/ezPdfReader.jsp?itemID/PUBLICATION/2009/08/04/DOC/SRC/0204200909210949700009497012457.pdf 

  26.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vailable from URL:http://www.mogef.go.kr/korea/view/news/news03_01.jsp?funcview& idx164670 

  27. Seo MH. Aisarang plan. Child care and education forum 2013;34:6-13. Available from URL: http://www.kicce.re.kr/kor/publication/03.jsp?modeview&idx6667&startPage0&listNo34&codejournal01&search_item&search_order&order_list10&list_scale 10&view_level0 

  28. Jee HJ. A study on daycare teacher's cognition on 5-years old children Nuri curriculum operation. Cheongju:Seowon Univ.;2012. 

  29. NURI curriculum for 3-5 years old.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KICCE). 2012. Available from URL: http://www.kicce.re.kr/kor/reference/01.jsp?modeview&idx1002&startPage0&listNo0&code&search_item&search_order누리&order_list 10&listScale5&view_level0 

  30. Bahn GH.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Attachment Theory. J Korean Med Assoc 2008;51:357-362. 

  31. Bahn GH. Study of Anna Freud's life. Psychoanalysis 2011:22:83-94. 

  32. Bowlby J. Attachment and loss: Vol. 1. Attachment. New York: Basic Books;1969. 

  33. Lee JM, Song YS. A study on the satisfaction by expansion implementation of the fee for infants Care-Education Policy. Korean J Child Care Educ 2012;72:379-399. 

  34. Kim HK, Ryu WH. A study on the stress of the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time extended care program in children care centers. Korean J Child Care Educ 2006;45:207-225. 

  35. Cote SM, Mongeau C, Japel C, Xu Q, Seguin JR, Tremblay RE. Child Care Quality and Cognitive Development: Trajectories Leading to Better Preacademic Skills. Child Dev 2012. [Epub ahead of print]. 

  36. Li W, Farkas G, Duncan GJ, Burchinal MR, Vandell DL. Timing of High-Quality Child Care and Cognitive, Language, and Preacademic Development. Dev Psychol 2012. [Epub ahead of print]. 

  37. Institute of Education, University of London. Effective pre-school and primary education 3-11 project (EPPE 3-11): a longitudinal study funded by the DfES (2003-2008). Available from URL: http://eppe.ioe.ac.uk/eppe3-11/eppe3-11intro.htm 

  38. Seo H, Yun KA. A study on the adjustment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receiving time extended care. Korean J Early Child Educ Stud 2012;32:347-373. 

  39. Miller S, Maguire LK, Macdonald G. Home-based child development interventions for preschool children from socially disadvantaged familie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1:CD008131. 

  40. KEIS 2010. Available from URL:http://survey.keis.or.kr/survey_keis/m_fget/fget_u.php 

  41. Manual for the introduction of health examination for infants and preschoolers. Available from URL: http://hi.nhic.or.kr/flash/ebook/05/hwell/EBook.htm 

  42. Bhang SY, Yoo HK, Kim JH, Kim B, Bahn GH, Ahn D, et al. Revision of adolescent mental health and problem behavior screening questionnaire: development of adolescent mental health and Problem Behavior Screening Questionnaire-II.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11;22:271-2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