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에서 α-2A 아드레날린 수용체 유전자의 MspI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메칠페니데이트 치료 전후 뇌관류 비교
Regional Brain Perfusion before and after Treatment with Methylphenidate According to the MspI Polymorphism of the Alpha-2A Adrenergic Receptor Gene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4 no.1, 2013년, pp.21 - 27  

박수빈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배정훈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김재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양영희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오승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홍순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박민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김붕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신민섭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유희정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조수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Dysregulation of the central noradrenergic system may be involved in the pathophysiology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re- and post-treatment cerebral perfusion according to the MspI polymorphisms of the alp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ADRA2A MspI 유전자 다형성이 ADHD 아동의 메칠페니데이트 치료 전후 뇌관류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첫 번째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MspI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치료 전 뇌관류의 차이는 없었다.
  • 14) 하지만 ADHD 환아들에서 ADRA2A 다형성과 연관하여 메칠페니데이트 치료 전후의 뇌관류를 비교한 연구들은 지금까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DRA2A의 MspI 다형성에 따른 메칠페니데이트 치료 전후 뇌관류의 차이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6)본 연구자들의 이전 SPECT 연구에서 메칠페니데이트에 비반응군이 반응군에 비해 대상회로와 창백핵에서 높은 뇌혈류량을 보인 바 있다.27) 이러한 소견들은 ADHD가 전두엽 자체의 이상이라기보다, 전두엽-선조체-소뇌 회로(fronto-striato-cerebellar circuit)의 이상에 기인하며, 메칠페니데이트 치료가 이러한 이상을 교정한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2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DHD의 주요 병태생리에 관여하는 것은 무엇인가? 1) 이 질환의 유전율(heritability)은 약 80%이고 복잡하고 다유전자가 관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도파민 시스템의 장애와 함께 노르아드레날린 시스템의 조절장애가 ADHD의 주요 병태생리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4) 노르아드레날린은 도파민 뉴런의 α-2-아드레날린 수용체를 자극함으로써 이 뉴런들의 신호 잡음비(signal-to-noise ratio)를 증가시켜 주의력을 증가시킨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란 무엇인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부주의함, 충동성, 그리고 과잉활동의 특성을 보이는 질환으로 전세계적으로 5.3%의 유병률을 보인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유전율은 어떻게 되는가? 3%의 유병률을 보인다.1) 이 질환의 유전율(heritability)은 약 80%이고 복잡하고 다유전자가 관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도파민 시스템의 장애와 함께 노르아드레날린 시스템의 조절장애가 ADHD의 주요 병태생리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olanczyk G, de Lima MS, Horta BL, Biederman J, Rohde LA. The worldwide prevalence of ADHD: a systematic review and metaregression analysis. Am J Psychiatry 2007;164:942-948. 

  2. Faraone SV, Biederman J. Neurobiology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Biol Psychiatry 1998;44:951-958. 

  3. Biederman J, Spencer T.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as a noradrenergic disorder. Biol Psychiatry 1999;46:1234-1242. 

  4. Pliszka SR, McCracken JT, Maas JW. Catecholamines i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urrent perspective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6;35:264-272. 

  5. Arnsten AF. Stimulants: Therapeutic actions in ADHD. Neuropsychopharmacology 2006;31:2376-2383. 

  6. Arnsten AF, Steere JC, Hunt RD. The contribution of alpha 2-noradrenergic mechanisms of prefrontal cortical cognitive function. Potential significance for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rch Gen Psychiatry 1996;53:448-455. 

  7. Greene CM, Bellgrove MA, Gill M, Robertson IH. Noradrenergic genotype predicts lapses in sustained attention. Neuropsychologia 2009;47:591-594. 

  8. Lario S, Calls J, Cases A, Oriola J, Torras A, Rivera F. MspI identifies a biallelic polymorphism in the promoter region of the alpha 2A-adrenergic receptor gene. Clin Genet 1997;51:129-130. 

  9. da Silva TL, Pianca TG, Roman T, Hutz MH, Faraone SV, Schmitz M, et al. Adrenergic alpha2A receptor gene and response to methylphenidate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predominantly inattentive type. J Neural Transm 2008;115:341-345. 

  10. Polanczyk G, Zeni C, Genro JP, Guimaraes AP, Roman T, Hutz MH, et al. Association of the adrenergic alpha2A receptor gene with methylphenidate improvement of inattentive sympto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rch Gen Psychiatry 2007;64:218-224. 

  11. Cheon KA, Cho DY, Koo MS, Song DH, Namkoong K. Association between homozygosity of a G allele of the alpha-2a-adrenergic receptor gene and methylphenidate response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Biol Psychiatry 2009;65:564-570. 

  12. Durston S. Converging methods in studying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what can we learn from neuroimaging and genetics? Dev Psychopathol 2008;20:1133-1143. 

  13. Rauch SL, Renshaw PF. Clinical neuroimaging in psychiatry. Harv Rev Psychiatry 1995;2:297-312. 

  14. Kim BN, Kim JW, Kang H, Cho SC, Shin MS, Yoo HJ, et al. Regional differences in cerebral perfusion associated with the alpha-2A-adrenergic receptor genotypes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 Psychiatry Neurosci 2010;35:330-336. 

  15. Kim YS, Cheon KA, Kim BN, Chang SA, Yoo HJ, Kim JW, et al.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iddie-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s and Schizophrenia-Present and Lifetime Version- Korean version (K-SADS-PL-K). Yonsei Med J 2004;45:81-89. 

  16. So YK, Noh JS, Kim YS, Ko SG, Koh YJ.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parent and teacher ADHD Rating Sca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2;41:283-289. 

  17. Cho SC, Kim JW, Kim BN, Hwang JW, Park M, Kim SA, et al. Possible association of the alpha-2A-adrenergic receptor gene with response time variability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m J Med Genet B Neuropsychiatr Genet 2008;147B:957-963. 

  18. Chang LT. A method of attenuation correction in radionuclide computed tomography, IEEE Trans. Nucl Sci 1978;25:638-643. 

  19. Berquin PC, Giedd JN, Jacobsen LK, Hamburger SD, Krain AL, Rapoport JL, et al. Cerebellum i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morphometric MRI study. Neurology 1998;50:1087-1093. 

  20. Mostofsky SH, Reiss AL, Lockhart P, Denckla MB. Evaluation of cerebellar size i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 Child Neurol 1998;13:434-439. 

  21. Schweitzer JB, Faber TL, Grafton ST, Tune LE, Hoffman JM, Kilts CD. Alterations in the functional anatomy of working memory in adul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m J Psychiatry 2000; 157:278-280. 

  22. Kim BN, Lee JS, Shin MS, Cho SC, Lee DS. Regional cerebral perfusion abnormalities in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analysis. Eur Arch Psychiatry Clin Neurosci 2002;252:219-225. 

  23. Bush G, Frazier JA, Rauch SL, Seidman LJ, Whalen PJ, Jenike MA, et al. Anterior cingulate cortex dysfunction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revealed by fMRI and the Counting Stroop. Biol Psychiatry 1999;45:1542-1552. 

  24. Schulz KP, Fan J, Tang CY, Newcorn JH, Buchsbaum MS, Cheung AM, et al. Response inhibition in adolescents diagnosed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during childhood: an event-related FMRI study. Am J Psychiatry 2004;161:1650-1657. 

  25. Volkow ND, Wang GJ, Fowler JS, Logan J, Angrist B, Hitzemann R, et al. Effects of methylphenidate on regional brain glucose metabolism in humans: relationship to dopamine D2 receptors. Am J Psychiatry 1997;154:50-55. 

  26. O'Gorman RL, Mehta MA, Asherson P, Zelaya FO, Brookes KJ, Toone BK, et al. Increased cerebral perfusion in adul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s normalised by stimulant treatment: a non-invasive MRI pilot study. Neuroimage 2008;42:36-41. 

  27. Cho SC, Hwang JW, Kim BN, Lee HY, Kim HW, Lee JS,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and response to methylphenidate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omparison between non-responders to methylphenidate and responders. J Psychiatr Res 2007;41:459-465. 

  28. Levy F, Swanson JM. Timing, space and ADHD: the dopamine theory revisited. Aust N Z J Psychiatry 2001;35:504-511. 

  29. Volkow ND, Fowler JS, Wang GJ, Ding YS, Gatley SJ. Role of dopamine in the therapeutic and reinforcing effects of methylphenidate in humans: results from imaging studies. Eur Neuropsychopharmacol 2002;12:557-566. 

  30. Belfer I, Buzas B, Hipp H, Phillips G, Taubman J, Lorincz I, et al. Haplotype-based analysis of alpha 2A, 2B, and 2C adrenergic receptor genes captures information on common functional loci at each gene. J Hum Genet 2005;50:12-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