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망막 질환 진단을 위한 베이지안 네트워크에 기초한 데이터 분석
Bayesian Network-based Data Analysis for Diagnosing Retinal Disease 원문보기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16 no.3, 2013년, pp.269 - 280  

김현미 (창원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정성환 (창원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 망막 질환 요인간의 의존도 분석을 위해 효율적인 분류기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여러 베이지안 네트워크 중에서 TAN (Tree-Augmented Naive Bayesian Network), GBN(General Bayesian Network)과 Markov Blanket으로 특징축소된 GBN과의 분류성능과 예측정확률을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처음으로, 높은 성능을 보인 TAN을 망막 질환 임상데이터의 의존도 분석에 적용하였다. 의존도 분석 결과, 망막 질환의 진단과 예후 예측에 활용의 가능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using an efficient classifier for the dependency analysis of retinal disease. First, we analyzed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and the prediction accuracy of GBN (General Bayesian Network), GBN with reduced features by Markov Blanket and TAN (Tree-Aug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높은 성능을 보인 분류기를 선택하여, 망막 질환 요인들의 의존도 관계를 분석해 본다. 그리고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망막 질환의 진단과 예후 예측에 정보 제공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실험결과, 순수 베이지안의 단순함과 네트워크 속성들 사이의 의존성을 표현하는 능력을 결합한 TAN이 높은 예측정확률을 보이며, 질환 요인들 간의 상호의존 관계를 가장 잘 나타내었다. 따라서 망막 질환의 진단과 예후 예측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TAN의 활용을 우선적으로 제안한다. 앞으로 연구는 객관성을 입증하기 위해 더 많은 속성들을 가진 임상데이터의 수집이 필요하다.
  • 현재까지는 망막 질환 데이터 영역에서는 기계학습이나 베이지안 네트워크 적용이 없었고, 주로 SPSS와 같은 통계툴을 이용하여 요소들 간의 분산분석, 상관계수와 클래스별 분포상태 등을 알아보는 수준이었다[10-12].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분류기를 선택하고 망막 질환 요인들 간의 상호의존도를 분석하기 위해, 망막 임상데이터를 대상으로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적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처음으로 시도한다.
  • 따라서 TAN이 망막 임상데이터에 대하여 Markov Blanket된 GBN보다 예측정확성이 우수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높은 성능을 보인 TAN을 적용하여 망막 질환 요인들의 상호 의존도 관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망막 임상데이터 분석에서 효율적인 분류기를 선택하기 위해, TAN이 GBN이나 특징 축소 방법으로 Markov Blanket된 GBN보다 우수한 분류 성능을 보여줄 수 있는지를 실험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TAN은 NBN과는 달리 속성 노드들 간에도 상호 의존도가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이러한 속성 간 상호 의존도를 하나의 일반 베이지안 네트워크 형태로 표현 가능하도록 NBN을 확장한 것이다. 즉, TAN은 그림 2와 같이 NBN을 기반으로 트리구조의 네트워크를 결합하는 형태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베이지안 네트워크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베이지안 네트워크는 확률 값이 모인 집합의 결합확률분포의 결정모델이다. 베이지안 네트워크는 특정분야의 영역지식을 확률적으로 표현하는 대표적인 수단으로, 변수들 간의 확률적 의존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와 각 변수별 조건부 확률로 구성된다[14]. 따라서 하나의 BN은 각 노드마다 하나의 조건부확 률표(CPT: Conditional Probability Table)를 갖는비순환유향그래프(DAG: Directed Acyclic Graph) 로 정의할 수 있다.
TAN이란? 베이지안 네트워크의 여러 유형 중에서 Friedman 등[4]에 의해 소개된 TAN(Tree-Augmented Naive Bayesian Network)은 NBN(Naive Bayesian Network)의 노드 독립성 가정을 완화하기 위해, 자식노드들 사이에 트리형태의 관계가 있음을 가정한 네트워크이다. 기존의 연구들에서 Jiang 등[5]이 TAN이 분류정확성이나 에러비율에서 NBN보다 우수하다고 하였다.
베이지안 네트워크의 단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망막 질환 요인들 간의 상호의존도 분석에 사용된 베이지안 네트워크의 장점은 신경망의 분류기와 비교해서 도메인 지식을 적용하기 쉬우며 결과의 분석이 가능하다. 단점으로는 입력값으로 수치값(numeric value) 이 아닌 범위가 정해진 범주값(categorical value)을 사용함으로써 정확도면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노드수가 많아지면 실험시간이 오래 걸린다. 하지만 의학지식을 적용하여 분석 등이 가능한 의학 도메인에서 도메인 지식 가능성이나 원인분석이 가능하다는 큰 특성이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손호선, 이헌규, 조경환, 류근호, 노기용, "심장 질환 진단을 위한 베이지안 분류기법," 한국정보처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3권, 제1호, pp. 39-42, 2006. 

  2. 정용규, 김인철, "베이지안 망에 기초한 불임환자 임상데이터의 분석,"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제9-B권, 제5호, pp. 625-633, 2002. 

  3. 이제영, 최영진,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활용한 정신장애 질병 섬망의 주요 위험인자와 오즈비,"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제22권, 제2호, pp. 217-225, 2011. 

  4. N. Friedman, M. Geiger, and M. Goldszmidt, "Bayesian Network Classifiers," Machine Learning, Vol. 29, Issue 2-3, pp. 131-163, 1997. 

  5. Liangxiao Jiang, Zhihua Cai, Dianhong Wang, and Harry Zhang, "Improving Tree Augmented Naive Bayes for Class Probability Estimation," Konwledge-Based Systems, Vol. 26, pp. 239-245, 2012. 

  6. A. Chinnasamy, W.K. Sung, and A. Mittal, "Protein Structure and Fold Prediction using Tree-Augmented Naive Bayesian Classifier," Pacific Symposium on BioComputing 9, pp. 387-398, 2004. 

  7. J. Cheng and R. Greiner, "Comparing Bayesian Network Classifiers," Proc. of the 15th Conf. on Uncertainty in Artificial Intelligence, pp. 101-107, 1999. 

  8. I. Tsamardinos, C.F. Aliferis., and A. Statnikov, "Time and Sample Efficient Discovery of Markov Blankets and Direct Causal Relations," The 9th ACM SIGKD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nwledge Discovery and Data Mining, pp. 24-27, 2003. 

  9. 유형곤, 유전성 망막질환,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 2011. 

  10. S. Aizawa, Y. Mitamura, T. Baba, A. Hagiwara, K. Ogata, and S. Yamamoto, "Correlation Between Visual Function and Photoreceptor Inner/outer Segment Junction in Patients with Retinitis Pigmentosa," Eye, Vol. 23, No. 2, pp. 304-308, 2009. 

  11. A. Oishi, A. Otani, M. Sasahara, H. Kojima, H. Nakaura, M. Kurioto, and N. Yoshimura, "Photoreceptor Integrity and Visual Acuity in Cystoids Macular Oedema Associated with Retinitis Pigmentosa," Eye, Vol. 23, No. 6, pp. 1411-1416, 2009. 

  12. Michael A. Sandberg, Robert J. Brockhurst, Alexander R. Gaudio, and Eliot L. Berson, "The Association Between Visual Acuity and Central Retinal Thickness Retinitis Piagmentosa," IOVS, Vol. 46, No. 9, pp. 3349-3354, 2005. 

  13. 김현미, 우용태, 정성환, "망막색소변성 데이터의 예후예측을 위한 패턴 분류,"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제15권, 제6호, pp. 701-710, 2012. 

  14. Jensen F.V., An Introduction to Bayesian Networks, Springer-Verlag, New York, 1996. 

  15. P. Tan, M. Steinbach, and V. Kumar, Introduction to Data Mining, Addison Wesley Longman, California, 2007. 

  16. J. Cheng and R. Greiner, "Learning Bayesian Belief Network Classifiers : Algorithm and System," Proc. the Fourteenth Canadian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No. 2056, pp. 141-151, 2001. 

  17. Weka Manual 3.6.5, http://www.cs.waikato.ac.nz/ml/weka, 2012. 

  18. Michael A. Sandberg, Robert J. Brockhurst, Alexander R. Gaudio, and Eliot L. Berson, "Visual Acuity Is Related to Parafoveal Retinal Thickness in Patients with Retinitis Pigmentosa and Macular Cysts," IOVS, Vol. 49, No. 10, pp. 4568-4572, 2008. 

  19. Hyewon Chung, Jong-Uk Hwang, June-Gone Kim, and Young Hee Yo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n the Diagnosis and Monitoring of Cystoid Macular Edema in Patients with Retinitis Pigmentosa," Retina, Vol. 26, No. 8, pp. 922-927,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