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망막 세포 특성에 의한 영상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age Recogni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Retinal Cells 원문보기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aritime Information & Communication Sciences, v.11 no.11, 2007년, pp.2143 - 2149  

조재현 (부산가톨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김도현 (부산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김광백 (신라대학교 컴퓨터정보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시각 장애인을 위한 인공망막 모델 구현에 관한 연구 중 시피질 자극기 기술은 시각 자극 전달의 중간 단계를 생략하고 직접 뇌세포를 자극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망막에서 시각 피질로 시각정보를 전달할 때 발생하는 시각 피질의 특성, 즉 방향성에 대한 반응 특성을 특징 데이터로 구성하여 인식함으로써 인간 시각 정보 처리와 유사한 영상 추출 및 인식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영상의 특징을 추출 한 후 Delta-bar-delta 기반 오류 역전파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영상의 특징들을 인식한다. 제시된 방법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양한 숫자 패턴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안된 망막 세포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방향성에 대한 민감성을 고려하여 영상의 특성을 추출하여 인식하는 모델이 기존의 영상 추출 및 인식 모델보다 인식률에 있어서는 별 차이가 없지만 다양한 실험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인간 시각과 같이 인식 성능이 민감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isual Cortex Stimulator is among artificial retina prosthesis for blind man, is the method that stimulate the brain cell directly without processing the information from retina to visual cortex. In this paper, we propose image construction and recognition model that is similar to human visual pro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방법은 시 각 자극전달의 중간단계를 생략하고 직접 뇌세포를 자극하는 것 이 다[12]. 본 논문에서는 시피 질자극 방법에 기 반하여 기존의 시피질자극 방법에서 배제되고 있는 중간단계를 망막과 시각피질의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영상으로 표현하여 영상인식에 적용하고자한다. 인간의 시각 정보 처리과정은 여러 단계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일차적인 정보처리는 인간의 망막에서 이루어진다.
  • 본 논문은 인공망막 구현 시 효율적 정보처 리를 위하여 인공망막의 여러 방법 중 시각피 질자극 방법에 기반하여 인간시각처리와 유사하게 시각피질의 특성을 고려하여 좀더 인간시각의 정보처리에 의해 영상을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추후 시각피질과 망막의 특성을 결합하여 좀 더 인간시각의 정보 처리과정과 유사한 모델링을 제시하여 인식 성능을 개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L. Schwiebert, 'A Biomedical Smart Sensor for the Visually Impaired,', IEEE Sensors 2002, no. 62-2, 2002 

  2. Martin fisxhler, Intelligence: The eye, the brain and the computer, Addison-Wesley, 1987 

  3. 뇌과학연구소, '뇌정보처리에 기반한 인공 시청각 시스템 연구,' 학국과학기술원연구보고서, 과학기술부, 2001 

  4. Rafael C. Gonzalez, Richard E. Woods, Digital image processing, Second edition, Prentice Hall, 2001 

  5. 정찬섭외 공역, 감각과 지각, 시그마프레스, 1995 

  6. 이인식, '사람과컴퓨터', 까치 글방, 1992 

  7. 김광백, 박충식, '퍼지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률 자동 조정 방법에 의한 개선된 역전파 알고리즘',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논문지, 제8권, 2호, pp.464-470, 2004 

  8. D. Hubel and T.N Wiesel,'Receptive Fields Binocular Interaction and Functional Architecture in the Cat's Visual Cortec', Journal of Physiology, pp106-184,1962 

  9. 오창석, '뉴로컴퓨터', 내하출판사, 2000 

  10. 김성우, '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한 문자 인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논문,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