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파 파치 추출물이 유기농 양파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fective Onion Extract on the Onion Productivity by Organic Farming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v.46 no.1, 2013년, pp.40 - 48  

이춘희 (생명농업연구소) ,  이상대 (경남농업기술원) ,  이성호 (국립경상대학교) ,  민영봉 (국립경상대학교) ,  김혜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이영한 (경남농업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양파는 2모작 작물로써 소득이 큰 작물이면서 건강에 좋은 기능성분이 많이 함유하고 있어 생산자와 소비자에게 인기가 높은 식품이다. 최근 건강과 환경을 중시하는 생활패턴 때문에 소비자는 유기농 양파를 더 선호할 것으로 예상되나 자연생태계를 고려하면서 안정적이고 건강한 먹거리를 생산하기는 매우 어렵다. 유기농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양파 잔재물에서 증류법으로 양파 추출액을 채취하여 유기농양파 재배기간 중에 500배로 희석하여 7번 되돌려 주고 생산성과 관련된 생육, 수량, 양분 및 토양미생물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양파의 생육은 대체로 대조구<순환구<관행구 순으로 좋았으며, 초기에는 순환구가 관행구보다 현저히 불량하였으나 후기에 갈수록 처리간 차이가 줄어져 비슷하였다. 2. 양파의 수량은 순환구가 대조구보다 9.3% 증가되었고 관행구보다 11.0% 감소되었으며, 300 g 이상 구중 분포비율이 높을수록 수량도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3. 양파의 무기성분 함량은 순환구가 대조구와 관행구보다 많았으며, 특히 인산, 철, 아연 함량 등은 관행구에 비하여 47%, 78%, 172% 현저히 증가되었다. 4. 양파의 유기성분 함량은 순환구가 대조구와 관행구보다 많았으며, 퀘세틴 함량은 순환구가 대조구와 관행구에 비하여 각각 33.9%, 44.0% 증가되었다. 5. 토양의 내생 균근균은 순환구가 대조구와 관행구에 비하여 각각 40%, 31.7% 더 많았고 미생물 스트레스 지표는 순환구가 대조구와 관행구에 비하여 15%, 20% 감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close crop recycling method by using the extract from defective onions. The mixture of the diluted extract (1/500) and nutrients was applied seven times on the onion leaves without spilling it onto the field. The yield and quality of the onions produced by this method (recy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양파 잔재물에서 추출한 수액은 열분해 후 추출된 물질로서 각종 미네랄과 활성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양파 재배시 영양제나 천연농약과 혼용하여 토양에 관주하거나 엽면 살포하면 지력이 향상되어 연작피해를 경감할 수 있고, 각종 양분공급으로 양파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양파 추출 수액의 특성을 조사하고 양파 추출 수액이 양파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행하여 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종순환농법이란? 동종순환농법은 한 작물에서 나온 잔재물, 즉 잔사와 파지를 이용하여 수액을 채취한 다음 숙성시켜 그 산물을 다시 동종 작물에 되돌려 주는 농법이다. 동종의 작물체에서 추출한 수액이기 때문에 각종 미네랄과 생리활성물질 등이 알맞게 함유되어 있을 것이라 생각되며, Park and Lee(2007)는 이 농법으로 풋고추를 대상으로 시험한 결과 생산성 및 기능성 향상과 병해충 방제에 탁월한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동종순환농법으로 풋고추를 대상으로 시험한 결과, 동종순환농법의 효과는? 동종순환농법은 한 작물에서 나온 잔재물, 즉 잔사와 파지를 이용하여 수액을 채취한 다음 숙성시켜 그 산물을 다시 동종 작물에 되돌려 주는 농법이다. 동종의 작물체에서 추출한 수액이기 때문에 각종 미네랄과 생리활성물질 등이 알맞게 함유되어 있을 것이라 생각되며, Park and Lee(2007)는 이 농법으로 풋고추를 대상으로 시험한 결과 생산성 및 기능성 향상과 병해충 방제에 탁월한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동종수액은 안전성과 기능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재활용 물질로써 이용가치가 높지만 일반 농가에서 동종수액을 직접 제조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관련된 각종 과학적 실증 연구가 극히 부족한 실정이다.
양파의 잔재물이란 어떤 것인가? 특히 양파는 재배기간 중에 잔재물이 가장 많이 발생하지만 이들은 대부분 수분이 많아 퇴비화하기 어렵고 병에 노출된 잔재물은 농가에서 매몰하기도 쉽지 않았다. 양파의 잔재물이라 하면 양파 재배 기간에 발생되는 분구나 추대되어 버려진 양파, 저장 중에 부패된 양파 등을 말하며, 특히 연작지에 발생되기 쉬운 노균병과 잎마름병 등은 양파 수확 후에 절단한 줄기를 방치하면 전염성 병원균의 밀도가 높아 다음 작기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따라서, 양파의 잔재물은 250-300℃에서 열분해 추출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병해충으로부터 안전하고, 특히 양파 부산물에서 추출한 천연물질이기 때문에 인축에 해가 거의 없어 재활용 가치가 높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PHA, AWWA, WCF.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rwater (19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p. 4-112. 

  2. Gutfinger, T. 1981. Polyphenol in olive oil. J. Am. Oil Chem. Soc. 58:966-968. 

  3. Hamel, C., K. Hanson, F. Selles, A.F. Cruz, R. Lemke, B. McConkey, and R. Zentner. 2006. Seasonal and long-term resource-related variations in soil microbial communities in wheat-based rotations of the Canadian prairie. Soil Biol. Biochem. 38:2104-2116. 

  4. Joa, J.H., K.H. Moon, S.C. Kim, D.G. Moon, and S.W. Koh. 2012. Effect of temperature condition on nitrogen mineralization of organic matter and soil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in non-volcanic ash soil. Korean J. Soil Sci. Fert. 45(8):377-384. 

  5. KSFSN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00. Food nutrition experiment's handbook. Hyoilmunwhasa. Korea. 

  6. Lee, Y.H., B.K. Ahn, and Y.K. Sonn. 2011. Relationship of topography and microbial community from paddy soils in gyeongnam province. Korean J. Soil Sci. Fert. 44(6):1158- 1163. 

  7. Lee, Y.H. and H.D. Yun. 2011. Changes in microbial community of agricultural soils subjected to organic farming system in Korean paddy fields with no-till management.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4(3):434-441. 

  8. Lee, Y.H. and H. Kim. 2011. Response of soil microbial communities to different farming systems for upland soybean cultivation.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4(3):423-433. 

  9. Moreno, M.I.N., I. Isla, A.R. Sampietro, and M.A. Vattuone.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r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109-114. 

  10. NIAST. 2000. Method of soil and plant analysi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Suwon, Korea. 

  11. Park, Y.D. and S.D. Lee. 2007. Study on return and circular method of cultivation and production of high quality and safe agricultural products by method. Research paper of Korean Agriculture Ministry. Korea. 

  12. Park, Y.H. and B.S. Seo. 2009. Changes in nitrate assimilation and ascorbic acid content of spinach plants treatmented with nutrient solutions containing high nitrogen and low potassium. Korean J. Soil Sci. Fert. 42(4):301-306. 

  13. RDA. 1995. Standard of agricultural research. RDA, Suwon, Korea. 

  14. Schutter, M.E. and R.P. Dick. 2000. Comparison of fatty acid methyl ester (FAME) methods for characterizing microbial communities. Soil Sci. Soc. Am. J. 64:1659-1668. 

  15. Seo, J.K. 2000. Onion cultivation. RDA, Suwon, Korea, p. 177-193. 

  16. Shaw, L.J. P. Morris, and J.E. Hooker. 2006. Perception and modification of plant flavonoid signals by rhizosphere microorganisms. Environ. Microbiol. 8(11):1867-1880. 

  17. Sheo, H.J. 1999. The antibacterial action of garlic, onion, ginger and red pepper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1):94-98. 

  18. Yun, H.B., J.S. Lee, Y.J. Lee, M.S. Kim, and Y.B. Lee. 2012. Effect of different colored polyethylene mulch on the change of soil temperature and yield of chinese cabbage in autumn season. Korean J, Soil Sci. Fert. 45(4):511-5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