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기성 폐기물 장기시용 후 토양에서 무 (Raphanus sativus cv. sodamaltari)의 중금속 흡수
Uptake of Heavy Metals by Radish (Raphanus sativus cv. sodamaltari) from the Soils after Long-Term Application of Organic Waste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v.46 no.1, 2013년, pp.65 - 72  

권순익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장연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계훈 (서울시립대학교) ,  정구복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민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황해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채미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권래 (경남과학기술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long-term effects of organic waste treatments on the fate of heavy metals in soils originated from the organic wastes and consequent uptake of heavy metals by plant, together with examination of changes in soil properties and plant growth performance.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1994년부터 2000년까지 유기성 폐기물을 장기시용하였던 토양에서 유기성 폐기물 시용 중지 후, 10년이 경과한 노지상태의 토양을 대상으로 작물을 재배하 였을 때,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작물의 생육 및 토양의 중금 속에 따른 작물 내 중금속 흡수 특성을 살펴보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과거 유기성 폐기물 (생활하수슬러지, 주정슬 러지, 돈분퇴비)을 장기간 (1994~2000년) 시용하였던 토양에서 작물재배를 통해 작물의 생육반응 및 작물체로의 중금속 흡수 이행 등을 살펴보고자 수행하였다. 식물체의 생육 반응은 생활하수슬러지와 주정슬러지 처리에서 시용량의 증가에 따라 수량은 줄어들었고, 초장 및 뿌리의 직경 등 생육에 있어 저해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금속의 식물체 흡수에 관한 문헌을 정리하여 중금속을 세 가지 그룹으로 분류하면? Logan (1992)은 중금속의 식물체 흡수에 관한 문헌들을 정리하여 중금속을 세 가지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즉, 중금속을 함유한 하수슬러지의 시용량 증가에 따라 식물체 흡수 량이 가장 많이 증가하는 Cd, Mo, Zn, 식물체의 흡수량이 다소 증가하는 Hg, Ni, Se, 그리고 슬러지 시용량 증가에도 식물체 흡수량이 거의 증가하지 않는 Cu, Cr, Pb 그룹 등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Jung et al.
유기성 폐기물에 의해 발생하는 분뇨, 음식물쓰레기, 하수슬러지 등을 처리하는 방법은? 유기성 폐기물의 발생량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폐기물로서 발생되는 주된 형태에는 분뇨, 음식물쓰레기, 하수슬러지 등이 포함되며 육상매립, 소각, 해양투기, 자원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되어 왔다 (NIAST, 2003). 그러나 2012년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되면서 해양투기에 의존해 왔던 유기성 폐기물들의 육상처리가 더욱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유기성 폐기물을 토양에 적용 시 얻을 수 있는 이점은? Epstein et al. (1976)과 Smith (1996)는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유기성 폐기물을 토양에 적용하면 토양의 수분 보유력 및 공극률의 증가, 밀도 감소 등 물리성이 개선되며, 토양 pH, 양이온치환능력 등이 증가되면서 유익한 작용을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유기성 폐기물이 유용한 자원으로 재활용될 수 있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유기성 폐기물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유해물질로 인해 자원화 하는 데 많은 제약이 따르며, Nichols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lloway, B.J. and A.P. Jackson. 1991. The behaviour of heavy metals in sewage sludge-amended soils. Sci. Total Environ. 100:151-176. 

  2. Bolton, J. 1975. Liming effects on the toxicity to perennial ryegrass of a sewage sludge contaminated with zinc, copper and chromium. Environ. Pollut. 9:295-304. 

  3. Chang, A.C, A.L Page, J.E. Warneke, and E. Grgurevic. 1984. Sequential extraction of heavy metals following a sludge application. J. Environ. Qual. 13:33-38. 

  4. Chang, K.W., I.B. Lee, J.S. Lim, Y.H. Kim, S.S. Lee, and H.T. Lim. 1996. Effect of application of water treatment sludge on the yields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ybean (Glycine max) and Carrot(Daucus carota). Korean J. Soil Sci. Fert. 29:275-281. 

  5. Chang, K.W., S.D. Kim, and Y.H. Kim. 1993. Effect of water treatment sludge application on the growth of Altari Radish(Raphanus sativus L.). Korean J. Soil Sci. Fert. 26:78-84. 

  6. Choi, J., D.H. Lee, M. Park, C.R. Choi, and K.S. Kim. 2002. Effect of municipal sewage sludge o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growth of rose (Ross hybrida L.). Korean J. Environ. Agric. 21:117-121. 

  7. Dijkshoorn, W., J.E.M. Lampe, and L.W. van Broekhoven. 1981. Influence of soil pH on heavy metals in ryegrass from sludge-amended soil. Plant and Soil 61:277-284. 

  8. Epstein, E., J.M. Taylor, and R.L. Chaney. 1976. Effects of sewage sludge and sludge compost applied to soils on som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J. Environ. Qual. 5:422-426. 

  9. Ferreiro-Dominguez, N., A. Rigueiro-Rodriguez, and M.R. Mosquera-Losada. 2012. Sewage sludge fertiliser use:Implication for soil and plant copper evolution in forest and agronomic soils. Sci. Total Environ. 424:39-47. 

  10. Jung, B.G., J.W. Choi, E.S. Yun, J.H. Yoon, and Y.H. Kim. 2001. Monitoring on chemical properties of bench marked upland soils in Korea. Korean J. Soil Sci. Fert. 34:326-332. 

  11. Jung, G.B., W.I. Kim, and I.S. Ryu. 2000. Fractionation and availability of heavy metals in paddy soils near abandoned mining areas. Korean J. Environ. Agric. 19:319-323. 

  12. Jung, G.B., W.I. Kim, J.S. Lee, and S.G. Yun. 2002. Effects of liming on uptake to crops of heavy metals in soils amended with industrial sewage sludge. Korean J. Environ. Agric. 21:38-44. 

  13. Kim, J.G., K.B. Lee, S.B. Lee, D.B. Lee, and S.J. Kim. 2000. The effect of long-term application of different organic material sources on chemical properties of upland soil. Korean J. Soil Sci. Fert. 33:416-431. 

  14. Koo, B.J., W. Chen, A.C. Chang, A.L. Page, T.C. Granato, and R.H. Dowdy. 2010. A root exudates based approach to assess the long-term phytoavailability of metals in biosolidsamended soils. Environ. Pollut. 158:2582-2588. 

  15. Kwon, S.I. 2003. Soil pollution assessment on heavy metals with long-term application of organic wastes. Ph. D. Thesis. The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16. Kwon, S.I., Y.A. Jang, K.H. Kim, G.B. Jung, M.K. Kim, H. Hwang, M.J. Chae, S.C. Hong, K.H. So, S.G. Yun, and K.R. Kim. 2012. Heavy metal chemistry in soils received long-term application of organic wastes. J. Agric. Chem. Environ. 1(1):1-9. doi:10.4236/jacen.2012.11001 

  17. Lee, H.J., J.S. Cho, W.K. Lee, and J.S. Heo. 1997. Effects of municipal sewage and industrial wastewater sludge composts on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growth of corn plant. Korean J. Environ. Agric. 16:220-226. 

  18. Lee, S.H., M.H. Park, S.H. Yoo, and K.H. Kim. 2000. Effect of sewage sludge application on growth of corn and Chinese Cabbage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Korean J. Soil Sci. Fert. 33:463-471. 

  19. Logan T.J. 1992. Review and revision of the technical support document for beneficial reuse under the 40 CFR parts 257 and 503 comprehensive sludge rule. 

  20. Luo, X.S., J. Ding, B. Xu, Y.J. Wang, H.B. Li, and S. Yu. 2012. Incorporating bioaccessibility into human health risk assessments of heavy metals in urban park soils. Sci. Total Environ. 424:88-96. 

  21. McBride, M.B. 1995. Toxic metal accumulation from agricultural use of sludge : Are USEPA regulations protective? J. Environ. Qual. 24:5-18. 

  22. NIAST. 2000. Methods of soil and plant analysi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Suwon, Korea. pp.67-128 (In Korean). 

  23. NIAST. 2003. Agricultural utilization of organic wastes and its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Suwon, Korea. pp.49-103. 

  24. Nicholson, F.A., B.J. Chambers, and B.J. Alloway. 1997. Effect of soil pH on heavy metal bioavailability. Proceeding of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biogeochemistry of trace element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California. pp.499-500. 

  25. Rigueiro-Rodriguez, A., M.R. Mosquera-Losada, and N. Ferreiro-Dominguez. 2012. Pasture and soil zinc evolution in forest and agriculture soils of Northwest Spain three years after fertilisation with sewage sludge. Agric. Ecosyst. Environ. 150:111-120. 

  26. Sims, J.T. and J.S. Kline. 1991. Chemical fractionation and uptake of heavy metals in soils amended with co-composted sewage sludge. J. Environ. Qual. 20:387-395. 

  27. Smith, S.R. 1996. Agricultural Recycling of Sewage Sludge and the Environment.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UK. pp.382. 

  28. Smith, S.R. 2009. A critical review of the bioavailability and impacts of heavy metals in municipal solid waste composts compared to sewage sludge. Environ. Int. 35:142-156. 

  29. Sposito, G., L.J. Lund, and A.C. Chang. 1982. Trace metal chemistry in arid zone field soils amended with sewage sludge: I. Fractionation of Ni, Cu, Zn, Cd and Pb in solid phases. Soil Sci. Soc. Am. J. 46:260-264. 

  30. Yoo, S.H., J.R. Lee, and K.H. Kim. 1995. Sequential extraction of Cd, Zn, Cu, and Pb from the polluted paddy soils and their behavior. Korean J. Soil Sci. Fert. 28:207-217. 

  31. Zhao, F.J., S.J. Dunham, and S.P. McGrath. 1997. Lessons to be learned about soil-plant metal transfers from the 50-year swage sludge experiment at woburn, UK.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Biogeochemistry of Trace Element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California. pp.693-69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