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츠하이머 치매 및 경도인지기능장애 환자에서 나이, 성별, 유전자형을 고려한 뇌 회백질 부피와 표준신경심리검사와의 상관관계 연구
Investig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Scores and the Gray Matter Volume after Correction of Covariates of the Age, Gender, and Genotypes in Patients with AD and MCI 원문보기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 v.17 no.4, 2013년, pp.294 - 307  

이승연 (경희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 ,  윤수영 (경희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 ,  김민지 (경희대학교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이학영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신경과) ,  류창우 (경희대학교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장건호 (경희대학교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신경심리검사를 통해 알츠하이머 치매경도인지장애 환자군과 정상 노인 대조군에서 뇌회색질 부피와 신경심리검사 (SNSB) 결과의 복셀 기반분석을 이용한 상관관계를 알아내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 총 피험자는 75명으로, 정상노인 25명, 경도인지장애 환자 25명, 그리고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25명이었다. 모든 피험자로부터 유전자검사, 표준신경심리검사 (SNSB), 해부학적인 삼차원 T1 강조영상을 자화준비 고속경사에코 시퀀스를 이용하여 얻었다. 각 피험자군에서 뇌 회색질의 용적변화와 신경심리검사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관찰하기 위하여, 복셀기반과 관심영역 기반 방법을 이용하여 분할한 회색질 영상을 다중회기방식 (multiple regression)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이때 피험자 각각의 성별과 나이 및 유전자 보유형태를 공변량 (covariate) 값으로 넣어 그 차이를 고려하였다. 결과 : 알츠하이머 환자군에서는 레이 복합도형 그리기 지연회상 검사 (RCFT delayed recall) 점수가 낮을수록 뇌 회색질 용적이 감소했다. 경도인지 장애군에서는 서울 언어학습 검사 (SVLT) 점수가 낮을수록 뇌회색질 용적이 감소했다. 정상 피험자 군에서 한국형 보스턴 이름대기 검사 (K-BNT) 점수 및 한국형 간이정신상태 검사 (K-MMSE) 점수와 뇌 회색질 부피가 음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였고, 레이 복합도형 그리기 검사 (RCFT) 점수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결론 : 나이, 성별, 유전자형태를 공변량으로 사용하였을 때 뇌에서 신경심리검사 결과와 3D T1 강조영상에서 얻은 뇌 회색질 부피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이들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는 종적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한다고 생각이 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between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SNSB) scores and the gray matter volumes (GMV)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D)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cognitively normal (CN) elderly subjects with correcting the genotypes. Ma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최근 연구논문에 따르면 뇌 회색질의 변화가 유전자형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보고가 되어 있어, 이를 공변량으로 포함을 시켜야 실제 신경심리검사와 뇌 회색질의 부피변화를 보다 정확 하게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에서 다양한 신경심리검사를 통해 알츠하이머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환자군과 정상 노인 대조군에서뇌 회색질 부피와 신경심리검사 결과의 복셀 기반분석을 이용한 상관관계를 알아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상관관계를 복셀 기반으로 평가하는데 함께 사용된 공변량은 나이, 성별, 유전자 형태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나이, 성별, 유전자형태를 공변량으로 사용하였을 때 알츠하이머, 경도인지장애, 정상노인 피험자 군의 뇌에서 신경심리검사 결과와 3D T1 강조영상에서 얻은 뇌 회색질 부피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복셀 기반분석을 이용하여 알아내는 것이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알츠하이머 환자 군의 뇌 회색질 용적과 RCFT delayed recall 점수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혔으며, 경도인지장애 피험자 군에서는 SVLT 점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Table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뇌 검사 소견은 어떠한가? 알츠하이머 (Alzheimer’s Disease, AD) 치매는 퇴행성 뇌 질환으로, 초기에는 주로 최근 일에 대한 기억력 저하로 시작하여 병이 진행되면 여러 인지기능의 이상을 동반하게 된다 (1). 이들 환자의 뇌 조직을 검사하면 신경반 (neuritic plaque)과 신경섬유다발이 (neurofibrillary tangle) 관찰 되고 (1), 자기공영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장치를 이용한 뇌 구조 영상에서는 신경세포 소실로 인해 전반적 뇌 위축 (brain atrophy) 소견이 보인다 (2, 3). 질병 초기에는 주로 기억력을 담당하는 주요 뇌 부위인해마(hippocampus)와 내후각 뇌피질 (entorhinal cortex) 부위에 국한되어 나타나지만 점차 두정엽, 전두엽 등을 거쳐 뇌 전체로 퍼져나간다 (4).
알츠하이머 치매란 무엇인가? 알츠하이머 (Alzheimer’s Disease, AD) 치매는 퇴행성 뇌 질환으로, 초기에는 주로 최근 일에 대한 기억력 저하로 시작하여 병이 진행되면 여러 인지기능의 이상을 동반하게 된다 (1). 이들 환자의 뇌 조직을 검사하면 신경반 (neuritic plaque)과 신경섬유다발이 (neurofibrillary tangle) 관찰 되고 (1), 자기공영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장치를 이용한 뇌 구조 영상에서는 신경세포 소실로 인해 전반적 뇌 위축 (brain atrophy) 소견이 보인다 (2, 3).
알츠하이머 치매는 어떤 유전자를 가질 때 유병률이 높은가? 질병 초기에는 주로 기억력을 담당하는 주요 뇌 부위인해마(hippocampus)와 내후각 뇌피질 (entorhinal cortex) 부위에 국한되어 나타나지만 점차 두정엽, 전두엽 등을 거쳐 뇌 전체로 퍼져나간다 (4). 특히 알츠하이머 치매는 apolipoprotein E (APOE) epsilon (ε) 4 allele 유전자를 가지는 경우에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6). APOE ε유전자중에서 ε4를 제외하고는 아밀로이드 베타단백질 (amyloid beta protein)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7, 8), APOE ε4와 측두엽 위축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가 보고되었다 (9, 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Jack CR, Jr., Knopman DS, Jagust WJ, et al. Hypothetical model of dynamic biomarkers of the Alzheimer's pathological cascade. Lancet Neurol 2010;9:119-128 

  2. Dickerson BC, Salat DH, Bates JF, et al. Medial temporal lobe function and structure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n Neurol 2004;56:27-35 

  3. Karas GB, Scheltens P, Rombouts SA, et al. Global and local gray matter loss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lzheimer's disease. Neuroimage 2004;23:708-716 

  4. Hampel H, Burger K, Teipel SJ, et al. Core candidate neurochemical and imaging biomarkers of Alzheimer's disease. Alzheimers Dement 2008;4:38-48 

  5. Corder EH, Saunders AM, Strittmatter WJ, et al. Gene dose of apolipoprotein E type 4 allele and the risk of Alzheimer's disease in late onset families. Science 1993;261(5123):921-923 

  6. Hyman BT, Gomez-Isla T, West H, et al. Clinical and neuropathological correlates of apolipoprotein E genotype in Alzheimer's disease. Window on molecular epidemiology. Ann N Y Acad Sci 1996;777:158-165 

  7. Nicoll JA, Savva GM, Stewart J, et al. Association between APOE genotype, neuropathology and dementia in the older population of England and Wales. Neuropathol Appl Neurobiol 2011;37(3):285-294 

  8. Vemuri P, Wiste HJ, Weigand SD, et al. Effect of apolipoprotein E on biomarkers of amyloid load and neuronal pathology in Alzheimer disease. Ann Neurol 2010;67:308-316 

  9. Filippini N, Rao A, Wetten S, et al. Anatomically-distinct genetic associations of APOE epsilon4 allele load with regional cortical atrophy in Alzheimer's disease. Neuroimage 2009;44: 724-728 

  10. Liu Y, Paajanen T, Westman E, et al. Effect of APOE epsilon4 allele on cortical thicknesses and volumes: the AddNeuroMed study. J Alzheimers Dis 2010;21:947-966 

  11. Gauthier S, Reisberg B, Zaudig M, et al. Mild cognitive impairment. Lancet 2006;367(9518):1262-1270 

  12. Davatzikos C, Bhatt P, Shaw LM, et al. Prediction of MCI to AD conversion, via MRI, CSF biomarkers, and pattern classification. Neurobiol Aging 2011;32:2322 e2319-2327 

  13. Shin JH. Diagnosis of dementia: neuropsychological test. Korean J Fam Med 2010;31:253-266 

  14. Bonekamp D, Yassa MA, Munro CA, et al. Gray matter in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voxel-based morphometry. Neuroreport 2010;21:259-263 

  15. Choi SH, Moon WJ, Chung EC, et al. Optimized VBM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gray matter loss and its correlation with cognitive function. J Korean Radiol Soc 2005;53:323-329 

  16. Kim S, Youn YC, Hsiung GY, et al. Voxel-based morphometric study of brain volume changes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ssessed according to the Clinical Dementia Rating score. J Clin Neurosci 2011;18:916-921 

  17. Lim HK, Choi EH, Lee CU. A Voxel-based morphometry of gray matter reduction in patients with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Korean J Biol Psychiatry 2008;15:118-125 

  18. Ashburner J, Friston KJ. Voxel-based morphometry--the methods. Neuroimage 2000;11(6 Pt 1):805-821 

  19. Yoo B, Hahn C, Lee CU, et al. A voxel-based morphometry of gray matter volume reduction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Korean J Biol Psychiatry 2011;18:232-238 

  20. Kim MJ, Jahng GH, Lee HY, et al. Development of a Korean standard structural brain template in cognitive normals and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lzheimer's disease. J Korean Soc Magn Reson Med 2010;14:103-114 

  21. Ahn HJ, Chin J, Park A, et al.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dementia version (SNSB-D): a useful tool for assessing and monitoring cognitive impairments in dementia patients. J Korean Med Sci 2010;25:1071-1076 

  22. Mortimer JA, Gosche KM, Riley KP, et al. Delayed recall, hippocampal volume and Alzheimer neuropathology: findings from the Nun Study. Neurology 2004;62:428-432 

  23. Bigler ED, Mortensen S, Neeley ES, et al. Superior temporal gyrus, language function, and autism. Dev Neuropsychol 2007;31:217-238 

  24. Whitney C, Kirk M, O'Sullivan J, et al. The neural organization of semantic control: TMS evidence for a distributed network in left inferior frontal and posterior middle temporal gyrus. Cereb Cortex 2011;21:1066-1075 

  25. McFarland NR, Haber SN. Convergent inputs from thalamic motor nuclei and frontal cortical areas to the dorsal striatum in the primate. J Neurosci 2000;20:3798-3813 

  26. Vidoni ED, Honea RA, Burns JM. Neural correlates of impaired functional independence in early Alzheimer's disease. J Alzheimers Dis 2010;19:517-527 

  27. Packard MG, Knowlton BJ. Learning and memory functions of the Basal Ganglia. Annu Rev Neurosci 2002;25:563-593 

  28. Molinuevo JL, Gomez-Anson B, Monte GC, et al. Neuropsychological profile of prodromal Alzheimer's disease (Prd- AD) and their radiological correlates. Arch Gerontol Geriatr 2011;52:190-196 

  29. Duarte A, Hayasaka S, Du A et al. Volumetric correlates of memory and executive function in normal elderly,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lzheimer's disease. Neurosci Lett 2006;406:60-6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