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도움말
검색연산자 기능 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통합검색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상세정보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 행동심리증상의 성별차이

Gender Differences in Behavioral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초록
용어

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연구목적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의 행동심리증상(BPSD)은 임상적인 문제들을 일으켜 결국 기능의 감퇴, 간병인 스트레스, 입원, 사망률의 증가를 가져온다. 최근의 연구는 성별차이가 BPSD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하고 있으나, BPSD와 성별 사이 연관에 대한 국내 연구는 시행된 적이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의 BPSD가 성별 차이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인지를 검증해 보고자 실시하였다. 방 법 면담과 인지기능평가를 통해 DSM-IV 진단기준에 의하여 알츠하이머병으로 진단받은 98명의 환자들이 본 연구에 참가하였다. 간이정신상태검사(MMSE), 임상치매평가척도(CDR), 전반적 퇴화척도(GDS), 한국형 신경정신행동검사(K-NPI)를 사용하여 인지기능 및 BPSD를 평가하였다. 성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독립 t 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MMSE, CDR, GDS와 NPI 사이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 과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의 BPSD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성별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MMSE와 NPI 총점, 그리고 NPI 하위영역인 환각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CDR의 경우 NPI 총점, 무감동/무관심, 과민/불안정과, GDS의 경우 NPI 하위영역인 환각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 론 본 연구결과 우리나라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의 BPSD에서 성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추후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BPSD가 성별 차이에 의한 것인지 혹은 개인 차에 의한 것인지를 더 명확하게 밝혀내기 위한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Objectives :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BPSD) represent significant clinical problems, resulting in functional decline, caregiver distress, institutionalization and increased mortality. A recent study showed gender differences have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BPSD, but relationship between BPSD and gender has never been studied in Korea.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whether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show gender differences i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BPSD). Methods : Ninety-eight subjects with Alzheimer's diseas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history taking and cognitive assessment for the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based on DSM-IV. Cognitive impairment and BPSD were measured using th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MMSE), Global Deterioration Scale (GDS), Clinical Dementia Rating(CDR) and the Korean Neuropsychiatric Inventory(K-NPI).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cross gender in BPS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MSE, CDR, GDS and NPI was perform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 in BPSD. W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MMSE with NPI total score, and with scores of several sub-domains such as hallucination. Conclusions : This study showed that gender differences in BPSD are not significant.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identify whether BPSD affect gender differences or individual differences.

본문요약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알츠하이머병에서 나타나는 치매의 BPSD의 성별 차이를 밝히고자 시행되었다.

    본 논문은 알츠하이머병에서 나타나는 치매의 BPSD의 성별 차이를 밝히고자 시행되었다. 현재까지 치매의 BPSD를 연구한 경우는 많았으나, BPSD의 성별 차이를 밝히고자 한 논문은 거의 없었으며, 국내에서는 한 번도 연구된 적이 없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의 BPSD가 성별 차이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인지를 검증해 보고자 실시하였다.

    최근의 연구는 성별차이가 BPSD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하고 있으나, BPSD와 성별 사이 연관에 대한 국내 연구는 시행된 적이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의 BPSD가 성별 차이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인지를 검증해 보고자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매 환자들의 BPSD가 성별 차이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인지, 개인차에 의한 것인지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BPSD가 성별이 아닌 발병 전의 개인 성격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선행 연구도 있어, 우리나라에서도 임상 실제에서 치매 환자들의 BPSD를 연구해 볼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매 환자들의 BPSD가 성별 차이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인지, 개인차에 의한 것인지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키워드에 따른 질의응답 제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
치매란?
치매는 뇌기능 손상으로 인해 기억력, 언어능력, 실행능력, 사고력 등의 인지기능이 점진적으로 저하되는 상태를 말한다

노인 정신질환 중 대표적인 것이 치매인데, 치매는 뇌기능 손상으로 인해 기억력, 언어능력, 실행능력, 사고력 등의 인지기능이 점진적으로 저하되는 상태를 말한다.2)치매에는 퇴행성 치매인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 전두 측두엽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 FTD), 루이체 치매(dementia with Lewy body, DLB),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 VD)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는데, 그 중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알츠하이머병으로, 전체 치매 환자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성별에 따른 치매 환자의 BPSD 차이
성별에 따른 치매 환자의 BPSD 차이를 밝히고자 한 본 연구의 제한점은?
첫째 표본수가 많지 않으며, 남녀의 사례수에 차이가 크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병원에 방문하여 알츠하이머형 치매로 진단받은 사람들 중 여성의 비율이 높았기 때문에, 현재 분석에서도 여성의 자료가 더 많이 포함되었다. 여성에 비해 남성 표본이 적었기 때문에 결과 해석에 제한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기존 연구에 따르면, BPSD는 치매의 초기나 말기 단계에서는 비교적 드물고 주로 중기의 치매 환자들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1,38) 그러나 병원에 내원하는 환자들의 특성상, 중기나 말기의 환자들보다는 치매 초기 단계의 환자들이 더욱 많았기 때문에 성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BSPD를 보호자에 의해 작성된 신경정신행동척도를 사용하였다. 환자를 가장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 있는 주보호자에게 작성하도록 하였으나, 보호자들이 환자들과 얼마나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면서 환자의 증상을 관찰하는지에 따라 척도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환자가 증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호자가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여 BPSD가 덜 보고되거나, 혹은 더욱 심하게 보고되었을 수 있다. 즉 실제 환자가 보이는 BPSD가 정확하게 평가되지 않고, 보호자 변인에 의해 차이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살펴보면 첫째 표본수가 많지 않으며, 남녀의 사례수에 차이가 크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병원에 방문하여 알츠하이머형 치매로 진단받은 사람들 중 여성의 비율이 높았기 때문에, 현재 분석에서도 여성의 자료가 더 많이 포함되었다. 여성에 비해 남성 표본이 적었기 때문에 결과 해석에 제한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기존 연구에 따르면, BPSD는 치매의 초기나 말기 단계에서는 비교적 드물고 주로 중기의 치매 환자들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1,38) 그러나 병원에 내원하는 환자들의 특성상, 중기나 말기의 환자들보다는 치매 초기 단계의 환자들이 더욱 많았기 때문에 성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BSPD를 보호자에 의해 작성된 신경정신행동척도를 사용하였다. 환자를 가장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 있는 주보호자에게 작성하도록 하였으나, 보호자들이 환자들과 얼마나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면서 환자의 증상을 관찰하는지에 따라 척도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환자가 증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호자가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여 BPSD가 덜 보고되거나, 혹은 더욱 심하게 보고되었을 수 있다. 즉 실제 환자가 보이는 BPSD가 정확하게 평가되지 않고, 보호자 변인에 의해 차이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치료자, 보호자 모두에 의한 측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환자가 보이는 증상에 대한 장기간의 관찰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치매
치매에는 어떠한 유형이 존재하는가?
퇴행성 치매인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 전두 측두엽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 FTD), 루이체 치매(dementia with Lewy body, DLB),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 VD) 등

노인 정신질환 중 대표적인 것이 치매인데, 치매는 뇌기능 손상으로 인해 기억력, 언어능력, 실행능력, 사고력 등의 인지기능이 점진적으로 저하되는 상태를 말한다.2)치매에는 퇴행성 치매인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 전두 측두엽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 FTD), 루이체 치매(dementia with Lewy body, DLB),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 VD)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는데, 그 중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알츠하이머병으로, 전체 치매 환자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3)이렇게 치매 유병률이 증가하면서 치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치료가 쉽지 않아 치매 발병 이전의 예방, 조기 발견 혹은 조기치료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문의하기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Q&A 등록

원문보기

원문 PDF 다운로드

  • ScienceON :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이 논문과 연관된 기능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