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산부에서 발생한 원발성 후복막 점액낭샘암종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1예 보고
MR Imaging of Primary Retroperitoneal Mucinous Cystadenocarcinoma in Pregnant Woman 원문보기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 v.17 no.3, 2013년, pp.243 - 248  

이지선 (충북대학교병원,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 ,  조범상 (충북대학교병원,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 ,  김육 (충북대학교병원,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 ,  이경식 (충북대학교병원,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 ,  강민호 (충북대학교병원,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 ,  이승영 (충북대학교병원,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 ,  김성진 (충북대학교병원,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 ,  박길선 (충북대학교병원,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원발성 후복막 점액낭샘암종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51예가 보고 되었고 이 중 임산부에서 발생한 사례가 3예 있었다. 저자들은 31세 여성에서 임신 15주 3일에 발견된 원발성 후복막 점액낭샘암종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보고하고자 한다. 복부 자기공명영상에서 후복막강 내에 위치한 종괴는 경계가 좋은 낭종으로 불규칙하게 두꺼워진 낭벽과 내부에 중벽을 가지고 있으며, T1강조영상과 T2강조영상에서 다양한 신호강도를 보이는 부위를 포함하고 있었다. 수술을 통해 원발성 후복막 점액낭샘암종으로 진단 받았고 수술 15개월 후 양측 난소에 전이성 점액낭샘암종이 발생하여 전자궁적출술과 양측 난소난관절제술 및 대망절제술을 시행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imary retroperitoneal mucinous cystadenocarcinoma is a very rare malignancy. To date, 51 cases have been reported, including 3 in pregnant women. Herein, we report magnetic resonance findings of a 31-year-old Korean woman (15 weeks and 3 days pregnant) with primary retroperitoneal mucinous cysta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임산부와 같이 방사선 피폭의 우려가 있는 환자에서 복부 종괴의 진단에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면 정확한 위치와 주변장기와의 관계를 관찰하는데 유용한 검사 수단이 될 수 있다. 본 증례는 임산부에서 자기공명영상을 통하여 원발성 후복막 종양을 진단한 국내의 첫 번째 보고이다. 본 증례에서 병변은 내부에 중벽과 고형성분을 포함하는 주변과 경계가 좋은 낭종으로 보였다.
  • 이 중 임산부에서 발생한 경우는 더욱 드물어 3예만이 보고되었다(2-4). 저자들은 임신 15주 3일의 여자환자에서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 받고, 수술을 통해 원발성 후복막 점액낭샘암종으로 진단 받은 1예를 경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 초음파 검사에서 복부 종괴의 위치와 파급 범위의 평가가 특히 어려운 임산부에서 자기공명영상 검사가 이루어져야하며, 본 증례는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통하여 원발성 후복막 점액낭샘암종의 진단에 도움을 주는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발성 후복막 종양의 진단 및 확진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원발성 후복막 종양의 진단에서 영상의학 검사는 초음파 검사, 전산화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 등에서 종양이 후복막강에 위치한 점이나 주변 장기와의 관계를 관찰하여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종괴의 성상을 통하여 양성 혹은 악성종양을 감별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8). 그러나 종괴의 기시부를 정확히 알아내기 어려워 대부분 수술 후 병리학적 소견을 통한 확진이 필요하다.
원발성 후복막 점액낭샘암종의 발생학적 기전 중 가장 인정받고 있는 가설은 무엇인가? 발생학적 기전은 현재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후복막으로 함입된 중피세포가 체강 상피화생(coelomic metaplasia)으로 인해 점액성 상피세포로 변형되어 발생한다는 가설이 가장 널리 인정받고 있으며, 그 외에 이소성 난소나 기형종에서 기원하거나 태아의 비뇨생식기의 잔여물에서 발생한다는 가설 등이 제시된 바 있다 (7).
원발성 후복막 종양을 초음파 검사할 때 장점은 무엇인가? 초음파는 접근성이 좋고 방사선의 피폭으로부터 자유로운 검사로 단방성 또는 다방성으로 보이는 종괴의 성상을 관찰할 수 있으나 종괴의 기원이나 파급 범위를 정확히 평가하기 어렵다 (8). 특히 임신 중 초음파 검사는 크기가 커진 자궁으로 인해 매우 제한적일 수 있으며 종괴가 골반 강에 위치할 경우 난소 종양과의 감별이 더욱 어려워, 이전의 1예에서 임신 중 발견된 원발성 후복막 종양을 난소 낭종으로 오진한 바 있었다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hung DH, Lee SH. A case of primary retroperitoneal mucinous cystadenocarcinoma treated with fertility-sparing surgery. Korean J Obstet Gynecol 2012;55:424-428 

  2. Kashima K, Yahata T, Fujita K, Tanaka K. Primary retroperitoneal mucinous cystadenocarcinoma associated with pregnancy. Int J Gynecol Cancer 2008;18:908-912 

  3. Ji JH, Lee HJ, Park SC, et al. A case of primary mucinous cystadenocarcinoma. Yeungnam Univ J of Med 2008;25:134- 138 

  4. Sonntag B, Lelle RJ, Steinhard J, Brinkmann OA, Hungermann D, Kiesel L. Retroperitoneal mucinous adenocarcinoma occuring during pregnancy in a supernumerary ovary. J Obstet Gynaecol 2005;25:515-516 

  5. Roth LM, Ehrlich CE. Mucinous cystadenocarcinoma of the retroperitoneum. Obstet Gynecol 1977;49:486-488 

  6. Lee SA, Bae SH, Ryoo HM, Jung HY, Jang SB, Kum YS. Primary retroperitoneal mucinous cystadenocarcinoma: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Korean J Intern Med 2007;22:287-291 

  7. Fujii S, Konishi I, Okamura H, Mori T. Mucinous cystadenocarcinoma of the retroperitoneum: a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study. Gynecol Oncol 1986;24:103-112 

  8. Nishino M, Hayakawa K, Minami M, Yamamoto A, Ueda H, Takasu K. Primary retroperitoneal neoplasms: CT and MR imaging findings with anatomic and pathologic diagnostic clues. Radiographics 2003;23:45-57 

  9. Yang DM, Jung DH, Kim H, et al. Retroperitoneal cystic masses: CT, clinical, and pathologic findings and literature review. Radiographics 2004;24:1353-1365 

  10. Lee SA, Kim KH, Kim JI, et al. Primary retroperitoneal mucinous cystadenocarcinoma involving the splenic hilum. J Korean Surg Soc 2007;73:344-3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