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군집분석 방법들을 비교하기 위한 상사그림
The Similarity Plot for Comparing Clustering Methods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6 no.2, 2013년, pp.361 - 373  

장대흥 (부경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군집분석을 위한 알고리즘은 매우 많다. 이러한 군집분석 방법들이 개체들을 어떻게 여러 개의 군집으로 나누는 지를 서로 비교하기 위해서는 나누어지는 군집들이 얼마나 동일한가를 알 수 있는 동의 측도가 필요하다. 우리가 고려하여야 할 군집분석 방법들이 많아질수록 덩달아 동의 측도들 값도 많아지게 된다. 그래서 복수 개의 군집분석 방법들과 대응되는 동의 측도값들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을 통하여 군집분석 방법들과 대응되는 동의 측도값들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그래픽도구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are a wide variety of clustering algorithms; subsequently, we need a measure of similarity between two clustering methods. Such a measure can compare how well different clustering algorithms perform on a set of data. More numbers of compared clustering algorithms allow for more number of valu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을 통하여 군집분석 방법들과 대응되는 동의 측도값들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그래픽도구로서 상사그림(similarity plot)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상사그림에 대한 보조 그림도구로서 연결행렬그림(connectivity matrix plot)과 합의행렬그림(consensus matrix plot)을 제시하고자 한다.
  • 그래서 복수 개의 군집분석 방법들과 대응되는 동의 측도값들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을 통하여 군집분석 방법들과 대응되는 동의 측도값들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그래픽도구로서 상사그림(similarity plot)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상사그림에 대한 보조 그림도구로서 연결행렬그림(connectivity matrix plot)과 합의행렬그림(consensus matrix plot)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결행렬그림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연결행렬그림은 하나의 군집분석방법에 대한 연결행렬을 도식화한 그림으로서 x-축과 y-축에 개체들을 배열하고 각각 두 개체들의 쌍에 대하여 이들 쌍이 동시에 속한 군집들을 구분하여 표시한 그림이다. 이 연결행렬 그림을 통하여 하나의 군집분석방법이 개체들을 어떻게 무리지어 군집으로 나누는 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합의행렬그림은 관심 있는 L개의 군집분석방법들 모두를 대상으로 한 합의행렬을 도식화한 그림으로서 x-축과 y-축에 개체들을 배열하고 각각 두 개체들의 쌍에 대하여 이들 쌍이 동시에 같은 군집에 속하는 경우가 L번 중 얼마나 있는 지를 회색의 명암으로 나타낸다.
군집분석을 위한 알고리즘의 종류로는 어떤 것들이 있나? 군집분석[집락분석]을 위한 알고리즘은 매우 많다(계층적 군집법, 비계층적 군집법, 모형기반 군집법, SOM, 퍼지군집법 등). 이러한 군집분석 방법들이 개체들을 어떻게 여러 개의 군집으로 나누는 지를 서로 비교하기 위해서는 나누어지는 군집들이 얼마나 동일한가를 알 수 있는 동의 측도[지수](agreement measure[index])가 필요하다.
연결행렬그림이란? 우리는 상사그림에 대한 보조 그림도구로서 연결행렬그림과 합의행렬그림을 그릴 수 있다. 연결행렬그림은 하나의 군집분석방법에 대한 연결행렬을 도식화한 그림으로서 x-축과 y-축에 개체들을 배열하고 각각 두 개체들의 쌍에 대하여 이들 쌍이 동시에 속한 군집들을 구분하여 표시한 그림이다. 이 연결행렬 그림을 통하여 하나의 군집분석방법이 개체들을 어떻게 무리지어 군집으로 나누는 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anerjee, A., Dhillon, I. S., Ghosh, J. and Sra, S. (2005). Clustering on the unit hypersphere using von Mises-Fisher distributions,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6, 1345-1382. 

  2. Brouwer, R. K. (2009). Extending the rand, adjusted rand and jaccard indices to fuzzy partitions,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 32, 213-235. 

  3. Campello, R. J. G. B. (2007). A fuzzy extension of the Rand index and other related indexes for clustering and classification assessment, Pattern Recognition Letters, 28, 833-841. 

  4. Ceccarelli, M. and Maratea, A. (2008). A fuzzy extension of some classical concordance measures and an efficient algorithm for their computation, KES 2008, Part III, LNAI 5179, 755-763. 

  5. Fowlkes, E. and Mallows, C. (1983). A Method for comparing two hierarchical clusterings, Journal of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78, 553-569. 

  6. Harrison, D. and Rubinfeld, D. (1978). Hedonic prices and the demand for clean air,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 Management, 5, 81-102. 

  7. Hubert, L. and Arabie, P. (1985). Comparing partitions, Journal of Classification, 2, 193-218. 

  8. Meila, M. (2007). Comparing clustering-An information based distance, Journal of Multivariate Analysis, 98, 873-895. 

  9. Monti, S., Tamayo, P., Mesirov, J. and Golub, T. (2003). Consensus clustering: A resampling-based method for class discovery and visualization of gene expression microarray data, Machine Learning, 52, 91-118. 

  10. Song, M. S. and Cho, S. S. (2004). Statistical Data Analysis Using SAS, 2nd ed., Free-Academy, Seoul. 

  11. Strehl, A. and Ghosh, J. (2002). Cluster ensembles - a knowledge reuse framework for combining multiple partitions,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3, 583-617. 

  12. Rand, W. (1971). Objective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clustering methods, Journal of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66, 846-850. 

  13. Unnikrishnan, R., Pantofaru, C. and Hebert, M. (2007). Toward objective evaluation of image segmentation Algorithms,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29, 929-944. 

  14. Vinh, N. and Epps, J. (2009). A novel approach for automatic number of clusters detection in microarray data based on consensus clustering, 9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oinformatics and Bioengineering, 84-91. 

  15. Warrens, M. J. (2008). On the equivalence of Cohen's Kappa and the Hubert-Arabie adjusted Rand index, Journal of Classification, 25, 177-183. 

  16. Yu, Z., Wong, H.-S. and Wang, H. (2007). Graph-based consensus clustering for class discovery from gene expression data, Bioinformatics, 23, 2888-28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