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가 주변 원룸의 라돈(radon) 농도 평가
Radon Concentration Assessment of Studio Apartments surrounding a University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39 no.2, 2013년, pp.138 - 143  

이석용 (대구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  이영무 (대구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  박지현 (대구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  김순신 (대구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  홍가연 (대구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  안호기 (대구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  양원호 (대구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Building materials can generate radon in indoor environments.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radon concentrations of studio apartments around a university. Methods: 25 studio apartments around a University in Gyoungsan, Korea were measured for concentrations of radon. We evaluated the rad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다세대 원룸은 대부분 값 싼 자재를 사용하여 건축되고 있는 실정이고, 대학생 혹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이 주로 거주하는 등 라돈에 대하여 취약한 주거형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최근에 건축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데 비하여 실내공기질 관리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대학가 원룸단지에서 라돈 농도 수준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관리법의 권고기준오염물질은 무엇인가? 환경부는 2003년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관리법을 제정·공포 하여 현재 시행 중에 있으며, 그 중 권고기준오염물질은 5종으로 이산화질소(NO2), 라돈(Rn), 휘발성 유기화합물(TVOCs), 석면, 오존(O3)을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3) 이 중 라돈은 무색, 무미, 무취의 자연방사능 가스로 자연계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관리법은 몇 년도에 공포되었는가? 환경부는 2003년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관리법을 제정·공포 하여 현재 시행 중에 있으며, 그 중 권고기준오염물질은 5종으로 이산화질소(NO2), 라돈(Rn), 휘발성 유기화합물(TVOCs), 석면, 오존(O3)을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3) 이 중 라돈은 무색, 무미, 무취의 자연방사능 가스로 자연계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Rn의 건강 위해 측면에서 악영향은 무엇인가? 또한 지각을 구성하는 성분 중의 하나인 우라늄(238U)의 여섯 번째 붕괴생성물이며, 라돈은 라듐(226Ra)의 딸 핵종이다. 건강 위해 측면에서 라돈 자체로는 방사선 가스지만 불활성이므로 사람이 호흡을 하더라도 폐에서 흡수되지 않고 다시 배출 된다. 그러나 라돈이 반감기를 거쳐 만들어지는 218Po, 214Pb, 214Bi, 214Po과 같은 라돈 딸핵종(radon daughters and progeny)은 공기 중에서 어떤 물체의 표면에 흡착된 형태로 체내로 흡입되고 폐에 흡착되며 이때 방출되는 알파 방사선의 영향으로 인하여 장기적으로 폐암이 유발 될 수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Yang WH, Lee KY, Yoon CS, Yu SD, Park KW, Choi WH. Determinants of residential indoor and transportation activity times in Korea. Journal of Exposure Science and Environmental Epidemiology. 2011; 21: 310-316. 

  2. Lee WH, Cho YM. Effect of Black Charcoal and Activated Carbon for Reduction of Radon Radioactivity that Emitted from Building Materials.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2011; 22(1): 13-17. 

  3. Ministry of Environment. Indoor Air Quality Control Act in Public Use Facilities. 2011. 

  4. Kim SA, Paik NW. A study on indoor radon concentrations in urban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002; 28(2): 89-98. 

  5. U.S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 Citizen's Guide to Radon EPA; 2009 

  6. U.S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Indoor Radon and Radon Decay Product Measurement Device Protocols. Available: http://www.epa.gov/radon/pubs/devprot1.html[Accessed 16 November 2012]. 

  7. Ministry of Environment. Official testing method with indoor air quality; 2010. 

  8. Jeon J, Lee J, Eom S, Chae Y. Th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indoor radon concentration from buildings with different environment, Seou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011; 27: 692-702. 

  9. UNSCEAR (Unidted Nations Scientific Committee on the Atomic Radiation). Sources and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Report to the general assembly with scientific annexes; 2000. 

  10. U.S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hy is radon the public health risk that it is?. Available: http://www.epa.gov/radon/healthrisks.htmlhttp://www.epa.gov/radon/pubs/devprot1.html[Accessed 16 November 2012]. 

  11. Park JC, Lee SH, Rhee EK. A mock-up measurement on the emission rate of radon gas (from the construction materials in housing building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997; 17(2): 679-686. 

  12. Jang M, Go HS, Lee YU, Moon JH, Kang CS. Assessment on radiological impact of radium and radon in phosphogypsum board on residential environment. Korean Nuclear Society. 2002: 361. 

  13. Park JC, Lee SH, Rhee EK. A mock-up measurement on the emission rate of radon gas (from the construction materials in housing building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997; 17(2): 679-686. 

  14. Francesco SD, Tommasone FP, Cuoco E. Tedesco D. Indoor radon seasonal variability at different floors of buildings. Radiation Measurements. 2010; 45(8): 928-934. 

  15. Obed RI, Ademola AK, Vascotto M, Giannini G. Radon measurements by nuclear track detectors in secondary schools in Oke-Ogun region. Journal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2011; 102(11): 1012-1017. 

  16. Park JC, Rhee EK.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radon gas in building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4; 20(1): 525-528. 

  17. NCRP(National Council on Radiation Protection and Measurements). Exposure of the population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from natural background radiation. 1987: NCRP No.94. 

  18. Seo SY, Park JY, Yoo JH, Kim HD, Lee KS, Jang SK, Seo CG, Kwon MH, Choi KH. A study on management of non-regulated indoor air pollutant in Korea(ii) - Contaminant of gypsum board used in domestic. Indoor environment and noise research division,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0: 1-37. 

  19. Lee JY. A review on occurrence, health risk and mitigation measure of uranium, radium and radon in groundwater.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008; 44(3): 341-352. 

  20. Keller G, Hoffmann B, Feigenspan T. Radon permeability and radon exhalation of building materials.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001; 272: 85-89. 

  21. Righi S, Luigi B. Natural radioactivity and radon exhalation in building materials used in Italian dwellings. Journal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2006; 88(2): 158-170. 

  22. Chen J, Rahman NM, Atiya IA. Radon exhalation from building materials for decorative use. Journal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2010; 101(4): 317-3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