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백화점 내 조리지역과 비조리지역의 입자상 물질 (Ultrafine Particles, PM2.5, PM10) 노출
Exposures to Ultrafine Particles, PM2.5 and PM10 in Cooking and Non-Cooking Areas of Department Stores in Seoul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39 no.2, 2013년, pp.144 - 150  

조혜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및 보건환경연구소) ,  구슬기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및 보건환경연구소) ,  김정훈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서울의료원 의학연구소) ,  김샛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이기영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및 보건환경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Cooking activity in indoor environments can generate particulate matt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s of ultrafine particles (UFP), $PM_{2.5}$, and $PM_{10}$ in cooking and non-cooking areas of major department stores in Seoul. M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백화점과 같이 층별, 그리고 같은 층 내에서도 다양한 유해물질 발생원이 존재하는 경우, 공조시설 및 국소환기 시설이 있더라도 구역에 따라 실내의 유해물질 농도수준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백화점의 내 조리 구역과 비조리 구역의 입자상 물질의 농도수준과 입자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구역별 차별화된 실내공기질 관리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화점은 어떤 시설인가? 최근 우리나라는 백화점 및 대형쇼핑센터, 외식업소 등의 다중이용시설이 증가되어 다양한 상권을 구성하는 추세이다. 백화점은 제한된 공간에서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는 상업 시설로, 적절한 실내 공기질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미세먼지, 휘발성유기 화합물, 일산화탄소 등 유해물질이 실내에 축적되어 이용객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3) 대부분의 백화점에는 푸드코트(food court)가 입점하여 방문객들이 실내에서 식사를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연소로 인하여 발생하는 ultrafine particle(UFP)나 PM2.5, PM10과 같은 입자들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UFP는 공기역학적 직경이 0.01 µm 이하인 입자상물질을 말하며, 상대적으로 입경이 큰 PM2.5, PM10과 더불어 호흡기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물질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7-9) UFP는 단위 질량당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흡입 시 폐에 염증 및 혈관에 혈전증을 유발할 수 있다.10-12) 또한 PM2.5는 노출 시 호흡기 및 심혈관계 질환을 일으킬 수 있으며, PM10은 노출 시 폐 기능 장애 및 폐질환을 유발하고 사망률 증가와도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었다.13-15)
백화점의 경우 적절한 실내 공기질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어떤 문제점이 생길 수 있는가? 최근 우리나라는 백화점 및 대형쇼핑센터, 외식업소 등의 다중이용시설이 증가되어 다양한 상권을 구성하는 추세이다. 백화점은 제한된 공간에서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는 상업 시설로, 적절한 실내 공기질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미세먼지, 휘발성유기 화합물, 일산화탄소 등 유해물질이 실내에 축적되어 이용객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3) 대부분의 백화점에는 푸드코트(food court)가 입점하여 방문객들이 실내에서 식사를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Li WM, Lee SC, Chan LY. Indoor air quality at nine shopping malls in Hong Kong. Sci Total Environ. 2001; 273(1-3): 27-40. 

  2. Lee SC, Guo H, Li WM, Chan LY. Inter-comparison of air pollutant concentrations in different indoor environments in Hong Kong. Atmos Environ. 2002; 36(12): 1929-1940. 

  3. Tang J, Chan C, Wang X, Chan L, Sheng G, Fu J.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a multi-storey shopping mall in Guangzhou, South China. Atmos Environ. 2005; 39(38): 7374-7383. 

  4. Lee SC, Li WM, Yin Chan L. Indoor air quality at restaurants with different styles of cooking in metropolitan Hong Kong. Sci Total Environ. 2001; 279(1): 181-193. 

  5. Zhang Q, Gangupomu RH, Ramirez D, Zhu Y. Measurement of ultrafine particles and other air pollutants emitted by cooking activities.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0; 7(4): 1744-1759. 

  6. Wan MP, Wu CL, Sze To GN, Chan TC, Chao CYH. Ultrafine particles, and $PM_{2.5}$ generated from cooking in homes. Atmos Environ. 2011; 45(34): 6141-6148. 

  7. Peters A, Wichmann HE, Tuch T, Heinrich J, Heyder J. Respiratory effects are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ultrafine particles.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7; 155(4): 1376-1383. 

  8. Donaldson K, Stone V, Clouter A, Renwick L, MacNee W. Ultrafine particles. Int J Occup Environ Med. 2001; 58(3): 211-216. 

  9. Donaldson K, Brown D, Clouter A, Duffin R, Mac- Nee W, Renwick L, et al. The pulmonary toxicology of ultrafine particles. J Aerosol Med. 2002; 15(2): 213-220. 

  10. Donaldson K, Li X, MacNee W. Ultrafine (nanometre) particle mediated lung injury. J Aerosol Sci. 1998; 29(5): 553-560. 

  11. Oberdorster G, Ferin J, Gelein R, Soderholm SC, Finkelstein J. Role of the alveolar macrophage in lung injury: studies with ultrafine particles. Environ Health Perspect. 1992; 97: 193-199. 

  12. Nemmar A, Hoylaerts MF, Hoet PHM, Vermylen J, Nemery B. Size effect of intratracheally instilled particles on pulmonary inflammation and vascular thrombosis. Toxicol Appl Pharmacol. 2003; 186(1): 38-45. 

  13. Thatcher TL, Layton DW. Deposition, resuspension, and penetration of particles within a residence. Atmos Environ. 1995; 29(13): 1487-1497. 

  14. Pelucchi C, Negri E, Gallus S, Boffetta P, Tramacere I, La Vecchia C. Long-term particulate matter exposure and mortality: a review of European epidemiological studies. BMC Public Health. 2009; 9(1): 453. 

  15. Puett RC, Hart JE, Yanosky JD, Paciorek C, Schwartz J, Suh H, et al. Chronic fine and coarse particulate exposure, mortality, and coronary heart disease in the Nurses' Health Study. Environ Health Perspect. 2009; 117(11): 1702-1706. 

  16. Ministry of Environment. Standard methods for Indoor Air Quality. 2011. 

  17. He C, Morawska L, Hitchins J, Gilbert D. Contribution from indoor sources to particle number and mass concentrations in residential houses. Atmos Environ. 2004; 38(21): 3405-3415. 

  18. Qian J, Ferro AR, Fowler KR. Estimating the resuspension rate and residence time of indoor particles. J Air Waste Manage Assoc. 2008; 58(4): 502-516. 

  19. Ferro AR, Kopperud RJ, Hildemann LM. Source strengths for indoor human activities that resuspend particulate matter. Environ Sci Technol. 2004; 38(6): 1759-1764. 

  20. Tasiae V, Jovaseviae-Stojanoviae M, Vardoulakis S, Miloseviae N, Kovaeeviae R, Petroviae J. Comparative Assessment Of The Real-Time Particle Monitor Against The Reference Gravimetric Method For $PM_{10}$ And $PM_{2.5}$ In The Indoor Air. Atmos Environ. 2012; 54: 358-364. 

  21. Repace J. Respirable particles and carcinogens in the air of Delaware hospitality venues before and after a smoking ban. J Occup Environ Med. 2004;46(9): 887-905. 

  22. Green DA, McAlpine G, Semple S, Cowie H, Seaton A. Mineral dust exposure in young Indian adults: an effect on lung growth? Occup Environ Med. 2008; 65(5): 306-310. 

  23. Kurmi OP, Semple S, Steiner M, Henderson GD, Ayres JG. Particulate matter exposure during domestic work in Nepal. Ann Occup Hyg. 2008; 52(6): 509-5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