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수계시설에서 분리된 Legionella pneumophila의 분자역학적 특성
Molecular Epidemiology of Legionella pneumophila Isolated from Water Supply Systems in Seoul, Korea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39 no.2, 2013년, pp.166 - 177  

전수진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감염병검사팀) ,  정지헌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감염병검사팀) ,  승현정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감염병검사팀) ,  김창규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감염병검사팀) ,  진영희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감염병검사팀) ,  오영희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감염병검사팀) ,  최성민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감염병검사팀) ,  채영주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감염병검사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genus Legionella is common in aquatic environments. Some species of Legionella are recognized as potential opportunistic pathogens for human, notably Legionella pneumophila that causes, Legionellosis. Thus, we investigated the contamination of Legionella pneumophila on water supply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neumophila 을 대상으로 혈청형, 병원성 유전자의 확인 및 PFGE pattern 분류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L. pneumophila 의 유전적 분포실태 파악과 예방관리 근거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ip의 초기 역할은? pneumophila를 구별할 수 있게 하는 표적 유전자인 mip (macrophage infectivity potentiator)을 이용하였다. Mip는 초기에 macrophage 내 감염을 효과적으로 일으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12)
L-cysteine 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그람음성 막대균으로 확인된 집락을 다시 BCYE-α 한천배지와 L-cysteine (Difco, Sparks, USA)이 결핍된 BCYEα 한천배지 및 혈액한천배지에 각각 계대배양하였다. L-cysteine은 성장을 자극하는 역할을 한다. BCYE-α 한천배지에서는 발육하고 L-cysteine 결핍된 BCYE-α 한천배지 및 혈액한천배지에서는 발육하지 않는 그람음성 막대균을 레지오넬라균으로 일차 동정하였다.
레지오넬라속균에 의한 감염 특징은? )은 자연계의 토양을 비롯한 하천과 호수에서 서식하는 그람음성 막대균으로 편모를 가지고 있어 운동성이 있다. 레지오 넬라 감염은 대개 불현성으로 진행되며, 임상증상은 독감과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는 폰티악열과 중증의 폐렴을 나타내는 레지오넬라증(재향군인병)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레지오넬라증의 발병은 면역억제제 치료자, 수술환자, 알코올중독자, 흡연자, 노약자 등 면역력이 떨어진 개체에 치명적이며, 사람에서 사람으로의 감염은 일어나지 않고 사람만이 유일한 자연숙주로 알려져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Miyamoto H. Prevention measures against Legionella infection in a circulating hot water bath. J UOEH. 2003; 25: 61-77. 

  2. Kim JS, Lee SO, Shim HS, Oh TK, Cho MK, Oh HB. An outbreak of Legionellosis in ICU of K Hospital, Korea. Korean J Epidemiol. 1985; 7: 44-58. 

  3. Choe KW, Kim SM, Kim YS, Kim HJ, Woo JH. A case of Legionnaires' disease. Korean J Inf Dis. 1990; 22: 93-96. 

  4. Fields BS, Benson RF, Besser RE. Legionella and Legionnaires' disease: 25 Years of investigation. Clin Microbiol Rev. 2002; 15: 506-26. 

  5. Winn WC. Legionella. In Murray, P. R. (ed.), Manual of Clinical Microbiology, 9th ed. Washington :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2007. 

  6. Atlas RM. Legionella: from environmental habitats to disease pathology, detection and control. Environ Microbiol. 1999; 1: 283-293. 

  7. Schoonmaker D, Heimberger T, Birkhead G. Comparison of ribotyping and restriction enzyme analysis using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for distinguishing Legionella pneumophila isolates obtained during a nosocomial outbreak. J Clin Microbiol. 1992; 30: 1491-8. 

  8. Nintasen R, Utrarachkij F, Siripanichgon K, Bhumiratana A, Suzuki Y, Suthienkul O. Enhancement of Legionella pneumophila culture isolation from microenvironments by macrophage infectivity potentiator (mip) gene-specific nested polymerase chain reaction. Microbiol Immunol. 2007; 51: 777-85. 

  9. Amemura-Maekawa J, Kura F, Chang B, Watanabe H. Legionella pneumophila serogroup 1 isolates from cooling towers in Japan form a distinct genetic cluster. Microbiol Immunol. 2005; 49: 1027-33. 

  10. Cooper IR, White J, Mahenthiralingam E, Hanlon GW. Longterm persistence of a single Legionella pneumophila strain possessing the mip gene in a municipal shower despite repeated cycles of chlorination. J Hosp Infect. 2008; 70: 154-9. 

  11. Kohler R, Fanghanel J, Konig B, Luneberg E, Frosch M, Rahfeld JU, et al. Biochemical and functional analyses of the mip protein: Influence of the N-terminal half and of peptid- ylprolyl isomerase activity on the virulence of Legionella pneumophila. Infect Immun. 2003; 71:4389-97. 

  12. Cianciotto NP, Eisenstein BI, Mody CH, Engleberg NC. A mutation in the mip gene results in an attenuation of Legionella pneumophila virulence. J Infect Dis. 1990; 162: 121-6. 

  13. Benson RF, Fields BS. Classification of the genus Legionella. Semin Respir Infect. 1998; 13:90-9. 

  14. Hsu BM, Chen CH, Wan MT, Cheng HW. Legionella preva- lence in hot spring recreation areas of Taiwan. Water Res. 2006; 40: 3267-73. 

  15. Yamamoto H, Hashimoto Y, Ezaki T. Comparison of detection methods for Legionella species in environmental water by colony isolation, fluorescent antibody staining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Microbiol Immunol. 1993; 37: 617-22. 

  16. Tenover FC, Arbeit RD, Goering RV, Mickelsen PA, Murray BE, Persing DH, et al. Interpreting chromosomal DNA restriction patterns produced by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criteria for bacterial strain typing. J Clin Microbiol. 1995; 33: 2233-9. 

  17. Park EH, Kim MH, Kim JA, Han NS, Lee JH, Min SG, et al. Molecular typing of Legionella pneumophila isolated in Busan, using PFGE. J Life Sci. 2005; 15: 161-8. 

  18. Whang KH, Hwang YO, Kim EJ, Jung JH, Cho NJ. Distribution and ser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gionella spp. isolated from cooling tower waters of public establishments in Seoul. Kor J Env Hlth Soc. 1999; 25: 20-3. 

  19. Kim KY, Kim YS, Song JC, Lee SJ, Kim SU, Choi TY, et al. Comparison of method for identification and the effects on Legionella pneumophila of the cooling towers in Seoul. J Korean Occup Environ. 2003; 13: 234-52. 

  20. Seung HJ, Jung JH, Kim SJ, Jin YH, Lee SM, Kim MS, Kim JK. Molecular epidemiological study of Legionella pneumophila isolated from water systems in Seoul. Report of SIHE. 2007; 43: 283-93. 

  21. Kim SH, Kim MJ, Kee HY, Kim TS, Seo JJ, Kim ES, et al. Surveillance of Legionella contamination on water supply systems of public utilizing facilities in Gwangju, Korea. J Bacteriol Virol. 2010; 40: 19-28. 

  22. Kim JA, Jung JH, Kim SJ, Jin YH, Oh YH, Han GY. Molecular epidemiological relationship of the pathogenicity of Legionella spp. isolated from water systems in Seoul. Kor J Microbiol. 2009; 45: 126-32. 

  23. Lee HK, Yang HS, Hong SR, Park MS, Sim SK, Lee BC, Park MY. Molecular typing of Legionella pneumophila Korean isolates from 1985 to 2001. The report of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2001; 38: 18-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