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농도의 불화나트륨을 함유한 불소제제가 치질의 강도와 화학적 성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icrohardness and Mineral Content on Fluoride Materials Containing Low Concentration with Sodium Fluorid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4, 2013년, pp.312 - 319  

김혜영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생체재료연구소) ,  남설희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해부학교실) ,  정미애 (강원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시판되는 불소양치용액과 불소치약을 4주간 적용한 다음 법랑질 재광화 효과와 화학적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표면미세경도계와 전자현미분석 (EPMA)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경도측정한 결과, 0.23% 불화나트륨이 함유된 불소치약만 적용한 그룹과 0.02% 불소양치용액과 0.23% 불소치약을 병용한 그룹에서는 3주 후부터 그룹 간의 뚜렷하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전자현미분석을 통한 치아의 주요성분인 Ca, P의 정량적인 성분분석을 시행한 결과, 불화나트륨이 함유된 불소치약만 적용한 그룹과 불소양치용액과 불소치약을 병용한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P 수치 변화는 모든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 저농도의 불소가 함유되어 있는 불소양치용액과 불소치약을 병용 처리한 경우에 칼슘 수치의 증가와 뚜렷한 표면경도의 증가를 보였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법랑질의 재광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gargle and toothpaste containing low concentration with sodium fluoride on the remineralization through the surface microhardness and mineral content in enamel. After 4 weeks-application, the enamel surface was measured using microhardness 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치아를 이루고 있는 주요 성분인 칼슘(Ea), 인(P)을 중점으로 화학조성 분석을 시행하였다.
  • 각 군의 법랑질 시편은 표면경도계(microhardness, Akashi MWK-Ⅲ,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시편 표면에 수직으로 100 g의 하중을 10초간 압입하여 Vickers Hardness Number (VHN)를 측정하였다.
  • 각 그룹에 담긴 인공타액은 아침, 점심, 저녁으로 하루에 3번 교체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은 총 4주 동안 반복하였고 1주 간격으로 재광화 정도를 평가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불화나트륨을 함유한 불소치약과 불소양치용액을 4주간 적용하여 치아의 재광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 모든 그룹의 법랑질 시편을 1주 간격으로 4주간 적용하여 측정한 수치의 변화를 보였다.
  • 법랑질 표면에 불소 흡착을 통한 재광화와 성분의 변화 유무를 정량적인 분석을 위하여 전자현미분석 electron probe microanalyzer (EPMA;anX100 (EA MEEA (EPrbevPie (France)을 이용하여 치아의 구조에 따른 전반적인 화학적 조성의 분포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시판되는 불소양치용액과 불소치약의 법랑질 재광화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법랑질 시편에 4주간 적용한 다음 표면경도계와 EPMA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법랑질의 재광화 효과를 알아보고자 불화나트륨이 0.23% 함유된 불소치약, 0.02% 불화나트륨이 함유된 불소양치용액 그리고 0.23% 불화나트륨 함유된 불소치약 적용 후 0.02% 불화나트륨이 함유된 불소양치용액을 함께 4주 동안 처리한 법랑질 시편의 표면경도와 치아의 주요 성분의 변화 유무를 통해 치질의 재광화를 표면경도계을 이용하여 법랑질 표면강도를 분석하였고, 전자현미분석기를 이용하여 치아 내의 무기조직인 법랑질의 화학적 조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불소의 치아 재광화 효과는 표면미세경도(VHN)를 통하여 4주간 측정하여 경도변화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 빔 크기는 10 ㎛, 가속전압은 15keV, 빔 전류는 20nA(EPrbev표면하 100㎛까지의 Ea, P 성분을 검출하며, 시편 당 4point로 법랑질 표면의 weight percent를 측정하였다.
  • 시편을 제작하기 위해 법랑백악경계부를 경조직절단기(Minitom, Struers, Copenhagen, Denmark)를 사용하여 절단된 치관부만 이용하였고, 치관을 다시 근원심방향로 절단 한 다음 레진에 편평한 96개의 법랑질 시편(3×3×2mm) 제작한 후 #600, #800, #1200 연마지로 단계별로 연마하였다. 완성 된 법랑질 시편은 초기 미세경도 값을 측정한 후 4개군으로 무작위 분류하였다.
  • 제 3군은 0.23% 불화나트륨 함유된 불소치약을 아침, 점심, 저녁 3분씩 1mm의 두께로 법랑질 표면에 동일하게 3회 처리하였으며, 멸균증류수로 깨끗하게 세척하여 인공타액에 담궈 보관하였다.
  • 제 4군은 0.23% 불화나트륨 함유된 불소치약을 3분씩 적용 후 0.02% 불화나트륨이 함유된 불소양치용액에 1분 동안 처리하였으며, 아침, 점심, 저녁 총 4분 3회 처리한 다음 멸균증류수로 세척하여 인공타액에 담구어 보관되었다.
  • 치아 내에 다량의 무기질을 포함하고 있는 법랑질의 주요 구성성분은 칼슘과 인으로 이는 석회화(calcification) 또는 무기화(mineralization)라 불리는 침착과정을 통해 인회석(apatite)을 형성하여 치아의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22], 성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전자현미분석기(EPMA)를 통하여 파악하였다.
  • 각 군의 법랑질 시편은 표면경도계(microhardness, Akashi MWK-Ⅲ,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시편 표면에 수직으로 100 g의 하중을 10초간 압입하여 Vickers Hardness Number (VHN)를 측정하였다. 한시편당 4회씩 측정하여 평균을 구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에 사용된 치아는 치아우식증, 균열, 마모, 착색 등 형태적으로 이상이 없고 치주질환을 원인으로 발거된 사람의 대구치를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선정된 96개의 치아는 치석과 치아 주변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 한 다음, 사용하기 전까지 미생물과 박테리아 증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0.
  • 선정된 96개의 치아는 치석과 치아 주변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 한 다음, 사용하기 전까지 미생물과 박테리아 증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0.4% 아자이드화나트륨(sodium azide, Sigma-Aldrich, St. Louis, USA) 용액에 보관하였다.
  • 시편을 제작하기 위해 법랑백악경계부를 경조직절단기(Minitom, Struers, Copenhagen, Denmark)를 사용하여 절단된 치관부만 이용하였고, 치관을 다시 근원심방향로 절단 한 다음 레진에 편평한 96개의 법랑질 시편(3×3×2mm) 제작한 후 #600, #800, #1200 연마지로 단계별로 연마하였다.

데이터처리

  • Surface microhardness changes after treatment of each group *p-values are determined by one-way ANOVA (p<0.05).
  • 각 실험 집단 간의 재광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법 (one-way ANOVA)을 시행하였고, 사후검증으로 Tukey’s test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아부식증의 주요 원인은? 치아부식증은 치아우식증과 달리, 세균의 작용 없이 산에 의해 치아 경조직이 일부 연화되고 탈회되면서 법랑질의 최외층이 제거되어 치면에 화학적인 손상이 일어나는 것이다[3][4]. 주요 원인으로는 과일주스, 청량음료, 스포츠음료와 같은 산성음료에 함유된 구연산, 사과산, 인산과 같은 산에 인한 것으로 되었다[5-8]. 이러한 초기 치아우식증과 치아부식증은 상실된 무기질을 재공급해주는 재광화 과정을 통해서 건강한 치질로의 회복이 가능하다[9].
초기 치아우식증과 치아부식증은 어떻게 회복할 수 있는가? 주요 원인으로는 과일주스, 청량음료, 스포츠음료와 같은 산성음료에 함유된 구연산, 사과산, 인산과 같은 산에 인한 것으로 되었다[5-8]. 이러한 초기 치아우식증과 치아부식증은 상실된 무기질을 재공급해주는 재광화 과정을 통해서 건강한 치질로의 회복이 가능하다[9]. 그러므로,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처치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치아우식증은 어떠한 질환인가? 치아우식증은 구강 내 수많은 미생물들의 작용에 의하여 치아의 경조직에 발생되는 대표적 구강질환이다. 일반적으로 우식 유발 식품 섭취가 많고 구강위생 관리 능력이 낮은 경우 산생성이 증가되고 이로 인해 무기질의 탈회가 진행되고, 그 결과 법랑질 표면에 다공성이 증가하는 초기 단계의 치아우식증이 발생한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L. Gorelick, A. M. Geiger, and A. J. Gwinnett, "Incidence of white spot formation after bonding and banding, Am J Orthod, Vol.81, No.2, pp.93-98, 1982. 

  2. T. Attin, W. Buchalla, M. Gollner, and E. Hellwig, "Use of variable remineralization periods to improve the abrasion resistance of previously eroded enamel," Caries Res, Vol.34, No.1, pp.48-52, 2000. 

  3. A. Lussi, T. Jaeggi, and S. Jaeggi-Scharer, "Prediction of the erosive potential of some beverages," Caries Res, Vol.29, No.5, pp.349-54, 1995. 

  4. J. M. Ten Cate, and T. Imfeld, "Dental erosion, summary," Eur J Oral Sci, Vol.104, No.2, pp.241-244, 1996. 

  5. T. Imfeld, "Nutrition and dental caries. Non-cariogenic between-meal snacks and sweets: a marketplace for small and average-size businesses in the food industry," Swiss Dent, Vol.4, No.9, pp.6-10, 1983. 

  6. A. Lussi and M. Schaffner, "Progression of and risk factors for dental erosion and wedge-shaped defects over a 6-year period," Caries Res, Vol.34, No.2, pp.182-187, 2000. 

  7. E. Linkosalo and H, Markkanen, "Dental erosion in relation to lactovegetarian diet," Scand J Dent Res, Vol.93, No.5, pp.436-441, 1985. 

  8. D. T. Zero, "Etiology of dental erosion-extrinsic factors," Eur J Oral Sci, Vol.104, pp.162-177, 1996. 

  9. A. Thylstrup and O. Fejerskov, Textbook of clinical cariology, 2nd ed. Copenhagen: Munksgaard, pp.111-158, 1994. 

  10. K. F. Mckay, The study of mottled enamel (dental fluorosis), J Am Dent Assoc, Vol.44, No.2, pp.133-137, 1952. 

  11. D. W. Bartlett, B. G. Smith, R. F. Wilson, Comparison of the effect of fluoride and non-fluoride toothpaste on tooth wear in vitro and the influence of enamel fluoride concentration and hardness of enamel. Br Dent J, Vol.176, No.9, pp.346-348, 1994. 

  12. 이영은, 백혜진, 정성화, 김종화, 김혜영, 최연희, 송근배. 시판 불소도포제제들의 법랑질 내산성 증진효과,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33권, 제1호, pp.19-29, 2009. 

  13. J. B. Ammari, Z. H. Baqain, P. F. Ashley, Effects of programs for prevention of early childhood caries, A systematic review, Med Princ Pract, Vol.16, No.6, pp.437-442, 2007. 

  14. H. Yamazaki and H. C. Margolis, Enhanced enamel remineralization under acidic conditions in vitro, J Dent Res, Vol.87, No.6, pp.569-574, 2008. 

  15. S. Joyston-Bechal, R. Duckworth, and M. Braden, Diffusion of radioactive ions into human dental enamel, Arch oral Biol, Vol.16, No.4. pp.375-384, 1971. 

  16. D. J. White, W. C. Chen, G. H. Nancollas, Kinetic and physical aspects of enamel remineralization-a constant composition study, Caries Res, Vol.22, No.1, pp.11-19, 1988. 

  17. T. Koulourides, Summary of session II: fluoride and the caries process, J Dent Res, Vol.69, special issue, p.558, 1990. 

  18. Y. E. Lee, H. J. Baek, Y. H. Choi, S. H. Jeong, Y. D. Park, and K. B. Song, Comparison of remineralization effect of three topical fluoride regimens on enamel initial carious lesions, J Dent, Vol.38, No.2, pp.166-171, 2010. 

  19. S. J. Hong, S. S. Jeong, and K. B. Song, Effects of sanguinaria in fluoride-containing dentifrices on the remineralisation of subsurface carious lesion in vitro, Int Dent J, Vol.55, No.3, pp.128-132, 2005. 

  20. J. S. Wefel, Effects of fluoride on caries development and progression using intra-oral models, J Dent Res, Vol.69, pp.626-633, 1990. 

  21. R. E. Corpron, F. G. More, J. W. Clark, D. Korytnicki, and C. J. Kowalski, In vivo remineralization of artificial enamel lesions by a fluoride dentifrice or mouthrinse, Caries Res, Vol.20, No.1, pp.48-55, 1986. 

  22. 김은경, 전태훈, 김창연, 남승원, 송 경, 이상길, 김윤중, 생쥐 치아의 화학적 조성, 미세구조 및 Hydroxyapatite구조 분석, 전자현미경학회지, 제 40권, 제3호, pp.147-54, 2010. 

  23. D. J. White, Reactivity of fluoride dentifrices with artificial caries, Caries Res, Vol.22, No.2, pp.27-36, 1988. 

  24. F. Feagin, T. Koulourides, and W. Pigman, The characterization of enamelsurface demineralization, remineralization, and associated hardness changes in human and bovine material, Archs Oral Biol, Vol.14, No.12, pp.1407-1417, 1969. 

  25. M. Addy, Etiology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dentine hypersensitivity, Dent Clin North Am, Vol.34, No.3, pp.503-514, 1990. 

  26. J. D. Featherstone, T. W. Cutress, B. E. Rodgers, and P. J. Dennison, Remineralization of artificial caries-like lesions in vivo by a self-administered mouthrinse or paste, Caries Res, Vol.16, No.3, pp.235-242, 1982. 

  27. T. B. Gelhard, J. M. ten Cate, and J. Arends, Rehardening of artificial enamel lesions in vivo, Caries Res, Vol.13, No.2, pp.80-83, 197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