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소바니쉬 도포주기에 따른 재광화 평가: QLF-D의 활용
Remineralization effect according to application cycle of fluoride varnish: QLF-D analysi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6 no.4, 2016년, pp.525 - 530  

전은영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  이수영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remineralization effect according to application cycle of fluoride varnish in preschool children.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fifty six children (92 teeth) having one or more early dental caries lesion. Fluoride varnish was applied to the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QLF-D를 사용하여 상, 하악 유전치부에 1개 이상의 초기우식병소가 존재하는 유아 56명(92개 치아)을 대상으로 각각 1개월, 3개월, 6개월 간격으로 불소바니쉬를 도포하여 재광화 효과를 비교하고 더욱 효과적인 불소바니쉬 도포주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초기우식병소가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불소바니쉬 도포 주기를 다르게 적용하여 더욱 효과적인 불소바니쉬 도포 주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과 대상자 선정기준에 따라 92개 치아(56명)를 최종 연구대상 치아로 선정하여 성별, 연령, dft index, dft rate, 초기우식병소 호발부위를 산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QLF-D를 사용하여 상, 하악 유전치부에 1개 이상의 초기우식병소가 존재하는 유아 56명(92개 치아)를 대상으로 각각 1개월, 3개월, 6개월 간격으로 불소바니쉬를 도포하여 재광화 효과를 비교하고 더욱 효과적인 불소바니쉬 도포주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건전 법랑질로부터 법랑질 표층하부의 무기질이 탈회되는 초기우식병소를 탐지하고 정량화 할 수 있어 최근 임상에서 활용도가 높다[15]. 가시광선에서 전형적인 초기단계의 평활면 백색병소는 분명한 어두운 영역으로 인식된다. 그러므로 건전 경조직과 백색병소 사이의 높은 대조 때문에 초기우식병소를 육안으로 진단하는 것 보다 정확도가 높다[1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기우식병소의 특징은 무엇인가? 유아의 구강관리는 평생 구강건강의 기틀이 되므로 유아의 치아우식 예방을 위해 보다 효과적이고 적극적인 방법이 필요하다[2,3]. 초기우식병소는 무기질 소실로 인해 탈회된 부위로, 육안으로 관찰했을 때 아직 표면층이 소실되지 않은 상태이며, 표면 하에서 무기질이 빠져 나가면서 정상 법랑질에 비해 하얗게 보인다[4,5]. 탈회가 계속 진행되면 와동을 형성하게 되지만 타액과 불소 등에 의해 무기질의 재광화를 유도하면 건전한 치질로 회복할 수 있다[5].
Quantitative Light Florescence란 무엇인가? 이 중 Quantitative Light Florescence(QLF)는 가시광선 영역(405mm)의 푸른 파장 빛을 치아에 조사하고 빛의 산란에 따라 건전 법랑질과 초기우식증이 있는 법랑질이 각각 다른 색을 띄게 되어 수치화된 형광발현의 차이와 그 면적을 토대로 형광소실을 정량화 할 수 있는 장비이다[15,16]. 건전 법랑질로부터 법랑질 표층하부의 무기질이 탈회되는 초기우식병소를 탐지하고 정량화 할 수 있어 최근 임상에서 활용도가 높다[15].
초기우식병소 진단을 위한 방사선 사진 진단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익스플로러는 진단과정에서 치은과 치아표면에 손상을 주고 진단이 불명확하기 때문에 더 이상 촉각 진단을 위한 수단으로 권하지 않는다. 방사선 사진을 통한 진단 또한 방사선에 노출된다는 단점과 우식이 법랑질 두께 1/2이상 진행되어야만 발견할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치아우식관리의 궁극적 목적이 이미 진행된 병소의 수복이 아닌 초기우식병소를 재광화 하는 것임을 고려한다면 기존의 탐지 방법은 적합하지 않다[13,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Lee CK, Kim YK, Kim JS. A study on the effect dentin with various pretreatment application time on the dentin surface structure and the bond strength of glass ionomer restorative materials. J Korean Acad Pediatr Dent 1998; 25(4): 749-60. 

  2. Lee EH, Kim JS, Yoo SH. Remineralization effect of sodium fluoride varnish on white lesion by application intervals. J Korean Acad Pediatr Dent 2010; 37(4): 403-11. 

  3. Han DH, Choi SW, Kim HD, Beak DI, Jin BH. Effect of fluoride varnish on fluoride ion concentration in the dental plaque.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7; 31(1): 126-33. 

  4. Kim BI. QLF concept and clinical implementation. J Korea Dent Assoc 2011; 49: 443-50. 

  5. Featherstone, John DB. The science and practice of caries prevention. J American Dental Association 2000; 131(7): 887-99. http://dx.doi.org/10.14219/jada.archive.2000.0307. 

  6. Kang SM, Min JH, Kim HN, Kim BI, Kim JB, Jeong SH. In vitro quantification of occlusal caries lesion using QLF-D, ICDAS, and DIAGNOdent.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4; 38(2): 105-10. http://dx.doi.org/10.11149/jkaoh.2014.38.2.105. 

  7. Paik DI. Study on the early caries prevention effect of fluoride varnish. Department of State, Korea's Independence [Doctoral dissertation]. Seoul: Univ. of Seoul National, 2002. 

  8. Oh HN, Jeong SS, Lee HJ, Youn HJ, Jung EJ, Ha MO. Evaluation of remineralization and acid resistance effect in fluoride varnish by Micro-computed tomography. J Korean Soc Dent Hyg 2010; 10(5): 947-53. 

  9. Kim KH, Ha MO, Hong NH, Cho MJ. Effect of fluoride application after dental prophylaxis by the type of dental floss. J Korean Soc Dent Hyg 2016; 16(1): 77-83. http://dx.doi.org/10.13065/jksdh.2016.16.01.77. 

  10. Ahn HY, Lee KH, Kim DE. Erosion of tooth enamel by acidic drinks and remineralization by artificial saliva. J Korean Acad Pediatr Dent 2002; 29(1): 84-91. 

  11. Holm AK. Effect of fluoride varnish(Duraphat) in preschool children.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79; 7: 241-5. http://dx.doi.org/10.1111/j.1600-0528.1979.tb01225.x. 

  12. Lee HC, Kim EJ, Lee JY, Beak DI, Jin BH. Preventive effect evaluation of fluoride varnish demineralization in orthodontic patients us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QLF)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J Korean Dental Materials 2015; 42(2): 83-93. 

  13. Park HJ, Kim JS, Yoo SH, Shin JS. Developing of QLF-D for early detection of dental caries. J Korean Academy Pediatric Dentistry 2011; 38(4): 317-26. http://dx.doi.org/10.5933/JKAPD.2011.38.4.317. 

  14. Kuhnisch J, Heinrich-Weltzien R.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 a literature review. Int J Comp Dent 2004; 7(4): 325-38. 

  15. Hwang HR, Cho YS, Kim BI. Assessment of clinical applicability of a new plaque scoring system us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J Dent Hyg Sci 2014; 14(2): 150-7. 

  16. Kim HE.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a potential tool for dental hygiene process. J Dent Hyg Sci 2013; 13(1): 115-24. http://dx.doi.org/10.1117/1.1427044. 

  17. You YS, Kim JS. Monitoring of remineralization of decalcified enamel using Quantitative Light Florescence-D. J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2012; 39(3): 257-66. http://dx.doi.org/10.5933/JKAPD.2012.39.3.257. 

  18. Lee SY, Lim SY, Bea HS. Applicability evaluation of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and cariview in cries prediction study. J Dent Hyg Sci 2013; 13(4): 403-9. 

  19. Ministry of Health Welfare[Internet]. 2012 National Oral Health Survey. [cited 2013 June 04]. 

  20. Lee HN. Remineralization effect of fluoride varnish using Quantitative light induced fluorescence-digital(QLF-D) [Master's thesis]. Cheon an: Univ. of Namseoul, 2015. 

  21. Sofia Tranæus, Susan Al-Khateeb, Stein Bjorkman, Svante Twetman, Birgit Angmar-Mansson. Application of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to monitor incipient lesions in caries-active children. Eur J Oral Sci 2001; 109: 71-5. http://dx.doi.org/10.1034/j.1600-0722.2001.00997.x. 

  22. Minquan Du, Ning Cheng, Baojun Tai, Han Jiang, Jing Li, Zhuan Bia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n fluoride varnish application for treatment of white spot lesion after fixed orthodontic treatment. Clin Oral Investig 2012; 16(2): 463-8, http://dx.doi.org/10.1007/s00784-011-0520-4. 

  23. Norman O Harris, Arden G Christen. Primary prevent dentistry. Appleton & Lange; 1987: 203-6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