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한옥의 근대화 요소와 현대한옥의 특징 비교연구
A Study on Modernization Elements of Traditional Hanok and Character of a New One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4 no.2, 2013년, pp.77 - 87  

손승광 (동신대학교 건축공학과) ,  김미선 (동신대학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nok is Korea's traditional housing. From the 1970s, the vast majority of citizens in urban areas have not lived in Hanok housing but an apartment. Consequently, many people no longer familiar with the experience of living in traditional Hanok. People who live in the environment of residential apa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옥의 가치가 망각된 이유는? 한옥은 일제강점기와 1960년대까지 건축되어 왔으나 그 이후 일반주택과 아파트가 대중적인 주택형으로 자리하면서 상대적으로 한옥은 그 가치를 망각하게 되었다. 한옥의 전통적인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면 한옥의 원형에 집착하게 된다.
한옥이 가지고 있는 동질성의 의미는? 한옥은 오랜 기간 동안에 형성된 한국의 전통주택으로서 강한 동질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한 동질성은 한국인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요소이며, 최근 들어 생태적 측면에서도 재평가되고 있다.
한옥의 전통적인 가치를 살리기 위한 행위의 양면성은? 한옥의 전통적인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면 한옥의 원형에 집착하게 된다. 그러나 현대적인 주거로서 편리성이나 합리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면 전통적인 한옥의 원형보다는 새로운 기능을 따르는 양면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한옥은2) 문화적 원형을 따라야 하는가 아니면 거주자의 편의성을 따라야 하는가? 라는 갈등에 직면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김정곤(1983). 서울시내개량한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청구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2. 송인호 (2006). 한옥의 개념정의와 개념정립,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책연구용역보고서).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3. 신영훈 (1996). 한국의 살림집. 서울: 열화당. 

  4. 윤장섭 (2001). 한국건축사. 서울: 동명사. 

  5. 임창복 (2011). 한국의 주택 그 유형과 변천사. 서울: 돌베개. 

  6. 전남일.손세관.양세화.홍형옥 (2008). 한국주거의 공간사. 서울: 돌배개. 

  7. 전남일.손세관.양세화.홍형옥 (2009). 한국주거의 사회사. 서울: 돌배개. 

  8. 전라남도 (2007). 전라남도 한옥표준도면 

  9. 전라북도 (2004. 4). 근대문화유산목록화 및 조사보고서. pp 426-427. 전주시: 전라북도 문화예술과. 

  10. 정민자(2009). 아름지기의 한옥을 짓는 이야기. 서울: 중앙M&B. 

  11. 조전환(2008). 한옥 전통에서 현대로-한옥의 구성요소. 서울: 주택문화사. 

  12. 홍승재(2005). 전북지역 근대한옥의 정통성과 근대성. 한국건축역사연구, 14(4), 242-253. 

  13. Jeon, B. & Kwon, Y. (2008). A Diachronic Study of the Archetypal Spatial Elements in the Korean House Pla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4(7), 181-193. 

  14. Kim, B. (2011. Spring). Hanok - New Horizen of Korean House Form.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auriM, 3, 24-32. 

  15. Lee, H. (1997).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ouses in Modernization Period (1876-1945) in Kyungpuk Province: Mainly about the Patterns of Site Plan and Plan Layout.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History, 6(3), 89-107. 

  16. Lee, J., Kim, D., & Ha, M. (2010). A Study on the Spatial Planning Factors of Korean Style Apartment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10(2), 231-235. 

  17. Lee, M. & Kim, T. (2008). A Study on the Alteration and Extension of Urban Traditional Houses in Cheongju City located on the Central Inland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9(2), 83-92. 

  18. Lee, S. (2009). A Study o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wo Story Modern Hanok.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Pusan, Pusan. 

  19. Lee, W. (2009).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ew Hanok design i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Interior Design, 18(3), 20-28. 

  20. Min, S. & Kim, T. (2011). Sustainable Elements in Transformation of Dwelling Space of Urban Traditional Houses in Cheongju City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2(5), 71-80. 

  21. Nam, H. (2010).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ing Floor Plan in Jeonju Hanok Villag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1(4), 139-148. 

  22. Park, S. & Park, C. (2010). A Study on the Design Method of Restructuring Hanok by the Restor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Interior Design, 19(1), 16-27. 

  23. Park, Y., Shon, S., & Kim, K. (1991). A Field Survey on the Spatial Transformation of Korean Customary Houses, Related with a Mode of Living (in case of Seou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7(5), 27-36. 

  24. Shon, S., Ha, J., Yang, W., & Yang, Y. (1996). A Study on the Plan-Types of Urban Traditional Housing in Cheonju.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2(7), 29-36. 

  25. Shon, S. & Kim, M. (2012). A Study on the Space Trends of Modern Hanok in Countryside Areas -Focused on Sunchon & Damyang Area-. Proceeding Spring of Annuel Conference of KHA 2012, 24(1), 183-188. 

  26. Shon, S. (2011). A Study on the Model Development of Unit Plan and Cluster Housing, Modern Hanok.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2(4), 121-132. 

  27. Song, I. (1988). A Study on the Plan Types of Urban Traditional Hous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4(1), 61-68. 

  28. Yoon, J. (2011. Spring). The Evolution of Hanok: Deployment & Variation of Hanok Frame.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auriM, 3, 33-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