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대한옥의 유형 분류 -2000년 이후 건축가의 디자인을 중심으로-
Type Classification of Contemporary Hanok -Focusing on Architects' Designs since 2000-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5 no.5, 2016년, pp.51 - 62  

이용희 (고려대학교 건축학과) ,  김현섭 (고려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recent Hanok boom in Korea, Contemporary Hanok has been evolving in terms of structure, space, form, etc. To get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diversified Contemporary Hanok, this paper aims at its type classification by analyzing architects' designs since 2000. The criteria for th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옥이란 무엇인가? ‘한옥’이란 기둥 및 보가 목구조방식이고 한식지붕틀로 된 구조로서 한식기와, 볏짚, 목재, 흙 등 자연재료로 마감된 우리나라 전통양식이 반영된 건축물 및 그 부속건물을 말한다.9)
한옥 붐의 배경은 무엇인가? 한옥 붐의 배경에는 2002년 서울 북촌, 2004년 전주 교동과 같은 원도심 한옥마을의 한옥 보전을 위한 재정지원이 있었다.3) 이 같은 지원과 더불어 한옥 붐의 분위기는 더욱 고조됐고, 건축가들은 이를 활용해 한옥 보전을 위한 최소한의 조건을 만족하는 틀 안에서 여러 가지 형식 변화를 실험할 수 있었다.
한옥의 급격한 진화가 야기한 한옥의 정통성 문제는 무엇인가? 그러나 한옥의 급격한 진화는 한옥의 정통성 문제를 야기할 수밖에 없다. 어디까지가 수용 가능한 한옥의 범주고, 어디까지가 현대 건축가 개인 취향의 산물일 뿐인가? 또한, ‘현대한옥’이라 불리는 건물의 복잡다단한 층위를 한눈에 이해하는 것도 간단치 않아 보인다. 이런 까닭에 본고는 한옥의 복합적 바운더리를 설정하고, 현대한옥의 다면적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이를 유형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 출발점으로 우선 전봉희와 권용찬 (2012)의 한옥에 관한 개념 모식도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5) 본고가 주시하는 현대한옥의 개략적 범위를 설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국토해양부 건축문화팀, 한옥건축 진흥을 위한 제도기반 구축 연구, 국토해양부, 2008 

  2.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국가한옥센터, 누구나 누리는 한옥: 2014 대한민국 한옥공모전 수상작품집, 국토교통부, 2014 

  3. 김석철, DBEW디자인센터, 建築士, 441호, 2006.1., 38-45쪽 

  4. 김현섭, 한국 현대건축의 진화, 그 보편성과 특수성 下, 건축문화, 364호, 2011, 158-161쪽 

  5. 김현섭, 감각의 형식, 와이드 AR, 38호, 2014.3/4., 76-78쪽 

  6. 민현식, 건축에게 시대를 묻다, 돌베개, 2006 

  7. 새로운 한옥을 위한 건축인 모임, 한옥에 살어리랏다, 돌베개, 2007 

  8. 송인호, 신한옥의 범주와 한옥건축 기술기준,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09 

  9. 윤재신, 한옥의 진화,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2 

  10. 이용희.김현섭, 최욱의 한옥 리노베이션에 나타난 전통과 현대 사이의 연속성 논의,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30권, 10호, 2014, 133-140쪽 

  11. 전봉희, 신한옥의 보급 활성화를 위한 현황과 과제, 건축역사연구, 18권, 5호, 2009, 151-159쪽 

  12. 전봉희.권용찬, 한옥과 한국 주택의 역사, 동녘, 2012 

  13. 조정구, 한옥 작업에 대한 소고 - 2001년에서 2006년 까지, 住居, 1권, 2호, 2006.12., 10-17쪽 

  14. 천국천, 한옥의 진화, 그 다양성에 대하여 (1)-(10), 건축문화신문, 2015.11.-2016.9. 

  15. 최욱, ONE O ONE architects, 서강총업출판사, 2008 

  16. 한국내셔널트러스트, 우리집은 한옥이다, 한국내셔널트러스트, 2007 

  17. 황두진, 한옥이 돌아왔다, 공간사, 2006 

  18. 황두진, 현대 주택으로서의 한옥: 가회동 동인재(同人齋), 建築, 51권, 1호, 2007, 83-85쪽 

  19. 황두진, 가회동 엘(L) 주택: 한옥의 비판적 진화, 建築, 56권, 1호, 2012, 78-80쪽 

  20. Anthony Vidler, Histories of the Immediate Present: Inventing Architectural Modernism, MIT Press, Cambridge MA,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