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기 기혼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사회자본과 양육스트레스
Social Capital and Parental Stress of Married Mothers with Young Children: Variations by Employment Status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51 no.2, 2013년, pp.229 - 239  

이윤주 (Department of Family Science, University of Maryland) ,  진미정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tress and the accessible and mobilizable social capital of mothers raising young children by the mothers' employment status. The sample included 284 employed and 287 non-employed mothers who have children younger tha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사회관계망 구성원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이들의 이름(혹은 가명)을 보면서 성별, 본인과의 관계, 취업 형태를 보고하도록 했다. 이를 바탕으로 남성, 친구, 교우나 동료 등 친인척이 아닌 사람, 그리고 취업자가 전체 사회관계망 구성원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하여 Table 2에 제시하였다.
  • 취업 여부에 따라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 수준뿐만 아니라 이들의 생활환경, 가까이 지내는 사람들도 다르므로, 양육스트레스 경감에 효과적인 요인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행 연구에서 어머니의 취업 여부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련 변인 중에 하나로 다루었던 접근과는 달리, 이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취업 여부를 기준변수로 삼아 취업모 집단과 비취업모 집단으로 나눈 후 각 집단 별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를 살펴보기로 한다.
  • 이러한 구분에는 사회자본을 동원할 수 있는 개인의 선택과 역량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본 연구는 접근할 수 있는 사회자본과 동원할 수 있는 사회자본의 개념을 활용하여, 취업 여부에 따른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렇게 구분함으로써 사회자본이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를 파악할 수 있으며, 그 결과에 따라 개인적, 혹은 정책적으로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 경감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이 연구의 대상은 전국에 거주하며 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고, 만 5세 이하의 영유아기 자녀 1명 이상을 양육하는 취업모 및 비취업모 각 300명이다. 연구 대상의 표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자녀수를 제한하지 않았으며, 제시한 연령대에 해당하는 영유아기 자녀가 1명 이상 있을 경우에는 가장 어린 자녀를 염두에 두고 조사에 답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사회자본 특성 모두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기 때문에, 두 집단을 균등하게 할당하여 조사하도록 설계했다.
  • 이 연구는 Lin의 사회자본 개념에 근거하여,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사회자본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먼저 어머니의 취업 여부에 따라서 접근할 수 있는 사회자본과 동원할 수 있는 사회자본, 그리고 양육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 이 연구는 사회자본이라는 개념을 통해서 사회적 지지와 양육스트레스의 관계를 연구할 때 나타났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사회자본이 양육스트레스 경감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나, 어머니들의 사회자본이 가진 효과성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 이러한 목적 하에 먼저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들의 취업 여부에 따라서 접근할 수 있는 사회자본, 동원할 수 있는 사회자본, 그리고 양육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다. 이 후, 취업모 집단과 비취업모 집단으로 나누어 각각의 집단에서 사회자본이 양육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어머니들의 일상적인 사회적 관계가 갖는 긍정적 역할에 주목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 이러한 목적 하에 먼저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들의 취업 여부에 따라서 접근할 수 있는 사회자본, 동원할 수 있는 사회자본, 그리고 양육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다. 이 후, 취업모 집단과 비취업모 집단으로 나누어 각각의 집단에서 사회자본이 양육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 이를 통해서 어머니들의 일상적인 사회적 관계가 갖는 긍정적 역할에 주목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 다만, 접근할 수 있는 사회자본의 양에 따라 동원할 수 있는 사회자본의 양이 달라지므로, 동원할 수 있는 사회자본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를 분석할 때에는 접근할 수 있는 사회자본을 통제하고자 분석 모델에 포함시키기로 하였다. 이와 함께 인적자본 변수, 경제적 자본 변수, 그리고 사회관계망의 특성 변수도 모델에 포함하여, 사회자본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좀 더 정확히 파악하고자 했다.
  • 먼저 어머니의 취업 여부에 따라서 접근할 수 있는 사회자본과 동원할 수 있는 사회자본, 그리고 양육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후의 분석 단계에서는 취업모와 비취업모를 대상으로 두 가지 유형의 사회자본과 양육스트레스가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취업모에게서는 자녀 돌봄 지원을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사회자본이 양육스트레스 경감에 유의하게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 지지란? 사회적 지지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매개 요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사회적 지지는 사회관계망의 기능적 특성 중 하나이며, 사회관계망 구성원이 개인에게 제공하는 경제적 지원, 서비스 지원, 정서적 지원, 정보적 지원 등을 의미한다[25, 30, 32].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어머니들이 자녀를 양육하면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12, 30].
미취학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보여주는 것은? 미취학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양육의 심리적 부담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일반적으로 선행연구들은 어머니들이 경험하는 양육스트레스가 이들의 취업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고 보고하는데, 어머니의 취업과 양육스트레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결과들은 일관되지 않다.
양육스트레스 경감이 필요한 이유는? 양육스트레스는 자녀의 출생 및 양육으로 인해 부모가 수행하는 부모역할에 대한 부담감 및 디스트레스와 타인 양육에 대한 죄책감을 뜻한다[22]. 양육스트레스는 자녀와의 애착[17],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38], 양육행동[10], 아동의 발달[12]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를 경감시키려는 노력은 어머니의 안녕과 자녀의 건강한 발달을 위해 꼭 필요하다.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어머니의 취업 여부는 이들의 양육스트레스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변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Abidin,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Charlottesville: Pediatric Psychology Press. 

  2. Ahn, J. (2000).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al beliefs, efficacy and stress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 Bian, Y. (1997). Bringing strong ties back in: Indirect ties, network bridges, and job searches in China.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2(3), 366-385. 

  4. Boisjoly, J., Duncan, G. J., & Hofferth, S. (1995). Access to social capital. Journal of Family Issues, 16(5), 609-631. 

  5. Bost, K. K., Cox, M. J., Burchinal, M. R., & Payne, C. (2002). Structural and supportive changes in couples' family and friendship networks across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4(2), 517-531. 

  6. Bourdieu, P. (1986). The forms of capital. In J. Richardson (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pp. 241-258). New York: Greenwood Press. 

  7. Campbell, K. E., & Lee, B. A. (1991). Name generators in surveys of personal networks. Social Networks, 13(3), 203-221. 

  8. Choi, J. S. (2009). The effects of child-care's values and satisfaction in a relationship with a spouse on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a child younger than 36 months of age.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7(5), 13-24. 

  9. Coleman, J. S.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S95-S120. 

  10. Crnic, K. A., Gaze, C., & Hoffman, C. (2005). Cumulative parenting stress across the preschool period: Relations to maternal parenting and child behaviour at age 5.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2), 117-132. 

  11. Crnic, K. A., & Greenberg, M. T. (1990).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5), 1628-1637. 

  12. Crnic, K. A., & Low, C. (2002). Everyday stresses and parenting. In M. H. Bornstein (2nd ed. Vol. 5). Handbook of parenting: Practical issues in parenting (pp. 243-267). Mahwa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3. Foley, M. W., & Edwards, B. (1999). Is it time to disinvest in social capital?. Journal of Public Policy, 19(2), 141-173. 

  14. Forgays, D. K., & Forgays. D. G. (1993).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contributing to parenting stress among employed and nonemployed women.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7, 107-118. 

  15. Granovetter, M. (1973). The strength of weak ti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8(6), 1360-1380. 

  16. Granovetter, M. (1983). The strength of weak ties: A network theory revisited. Sociological Theory, 1, 201-233. 

  17. Hadadian, A., & Merbler, J. (1996). Mother's stress: Implications for attachment relationship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25(1), 59-66. 

  18. Hwang, I. (1993). Family resources and parenting stress of employed mot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9. Kang, H., & Cho, B. (1999). Dual-career parenting stress: Effects of mother's values and support system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2), 41-54. 

  20. Kim, J., & Lee, J.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and mother's child rearing stres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1(4), 35-50. 

  21. Kim, K. A. (1990). A study on married women's perception of stress about home management and related fact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2. Kim, K. H., & Kang, H. K. (1997). Development of the parenting stress scal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5(5), 141-150. 

  23. Kim, L. J., & Yoon, C. H. (2000). An ecological study on working mothers' parenting stres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8(12), 47-58. 

  24. Kwon, M. K. (2011). Analysis of trends in research on parenting stress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9(2), 39-50. 

  25. Levitt, M. J., Weber, R. A., & Clark, M. C. (1986). Social network relationships as sources of maternal support and well-being. Developmental Psychology, 22(3), 310-316. 

  26. Lin, N. (2001). Social capital: A theory of social structure and actio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Lin, N. (2004). Trust in the social context. In O. J. Lee (Ed.), Trust: Social capital in the global era (pp. 23-63). Seoul: Jip Moon Dang. 

  28. Mann, M. B., & Thornberg, K. R. (1987). Guilt of working women with infants and toddlers in day car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27(3), 451-464. 

  29. Moon, H. J. (2004). Parenting stress of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2(11), 109-122. 

  30. Mulsow, M., Caldera, Y. M., Pursley, M., Reifman, A., & Huston, A. C. (2002). Multilevel factors influencing maternal stress during the first three year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4(4), 944-956. 

  31. Park, Y. A. (2005). Exploration of variables related to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infants and young children. Journal of Young Child Studies, 8, 97-113. 

  32. Rhee, U. H. (1997). Maternal support networks, perceptions of parenting difficulty, and children's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5(3), 31-45. 

  33. Rhee, U., & Lee, M. (1996).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support network and perceptions of parenting task difficulty.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7(2), 61-78. 

  34. Rhee, U., & Yoo, G. S. (1999). Social networks, selfesteem, and marital satisfaction of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with school children. Yonsei University Human Ecology Research Journal, 13, 95-107. 

  35. Ryan, L., Sales, R., Tilki, M., & Siera, B. (2008). Social networks, social support and social capital: The experiences of recent polish migrants in London. Sociology, 42(4), 672-690. 

  36. Seo, M., Kim, E., Choi, J., Ahn, J., Choi, H., Kim, Y., et al. (2009). The national survey of child care in 2009- Household survey report. Seoul: Han-Hak. 

  37. Son, S. (2010). Parenting stress of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with infants. Paper session presented the 1st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Seoul, Korea. 

  38. Son, S., Lee, Y., Bae, S., Han, C., Yoo, J., Lee, M., et al. (2010). A study on related factors to parenting stress of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 Focus on 4 to 9 months infant mother's emotional. cognitive characteristics, marital relationship and social support. Paper session presented at the 1st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Seoul, Korea. 

  39. Song, M. H., Song, Y. S., & Kim, Y. J. (2007).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parenting self-efficacy in early childhood mother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5), 165-183. 

  40. Stoloff, J. A., Glanville, J. L., & Bienenstock, E. J. (1999). Women's participation in the labor force: The role of social networks. Social Networks. 21(1), 91-108. 

  41. Won, H. (1997). A Study on the social network types of housewives in urban nuclear famil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42. Yang, S. K., & Moon, H. J. (2010). Parental stress of working mother with toddlers: Focus on maternal separation anxiety, attitude for occupation, and preschool adjustment.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8(4), 67-76. 

  43. Yee, J., & Nam, E. Y. (2008). The social capital of Koreans: Determinants of personal ties and its effect.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2(7), 178-214. 

  44. Yoon, J., Hwang, R., & Cho, H. (2009). Parenting stress and related factors of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15(4), 294-302. 

  45. You, S., Jang, M., Jeon, S., Jeong, B., Choi, W., & Choi, J. (2008). Social capital in South Korea: Past and present. Seoul: Baek-S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