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almonella Gallinarum 세포외막단백질의 프로테옴 분석 및 닭에서의 방어능 효과
Proteomic Analysis and Protective Effects of Outer Membrane Proteins from Salmonella Gallinarum in Chicken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33 no.2, 2013년, pp.281 - 286  

선지선 (강원대학교 수의과대학, 강원대학교 동물의학종합연구소) ,  조영재 (강원대학교 수의과대학, 강원대학교 동물의학종합연구소) ,  장주현 ((주)고려비엔피 기술연구소) ,  강정무 ((주)고려비엔피 기술연구소) ,  한장혁 ((주)고려비엔피 기술연구소) ,  한태욱 (강원대학교 수의과대학, 강원대학교 동물의학종합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lmonella Gallinarum (SG) is known as an important pathogen that causes fowl typhoid in chickens. To investigate SG outer-membrane proteins (OMPs) as a vaccine candidate, we used proteomic mapping and database analysis techniques with extracted OMPs. Also, extracted OMPs were evaluated in several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전성도 높고 방어능도 뛰어나다고 보고된(Lee et al., 2007) 불활화백신을 이용하여 SG 야외균주에 대한 방어능을 조사하였다. 불활화백신은 균 전체를 불활화시키는 대신, 살모넬라의 세포외막단백질(outer membrane proteins, OMPs)만을 추출한 후 세포매 개성면역 유발을 보조할 수 있는 부형제(adjuvant)와 함께 백신을 제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G 9R이 선진국에서 사용이 제한이 된 이유는 무엇인가? , 2003). 그러나 SG 9R의 경우 체내 면역반응을 유발하기는 하나 생균백신의 약독화 기전이 밝혀지지 않은 관계로 병원성의 복원 가능성 및 숙주내 간과 비장 등의 실질장기에 병변이 보고됨에 따라 선진국에서는 사용이 극히 제한적이거나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Silva et al., 1981; Smith, 1969; Wigley et al.
Salmonella Gallinarum이란 무엇인가? Salmonella Gallinarum(SG)은 가금티푸스를 유발하는 원 인체로서 1992년 국내 발생 이래 산발적으로 꾸준한 발생을 해오고 있어 양계산업에 경제적 손실을 유발한다(Clarke and Gyles, 1993). 숙주 특이성을 지닌 SG의 경우 닭에서 병원성이 높아 심한 임상증상을 동반한 폐사로 피해를 유발하는 반면 광범위한 숙주영역을 가진 Salmonella Enteritidis(SE)의 경우 닭 자체에는 큰 피해를 일으키지 않으나 감염된 육류 섭취로 인해 사람에게 감염되어 식중독을 유발하므로 공중보건학상 피해를 일으킨다(Eswarappa et al.
선진국에서 Salmonella Enteritidis에 의한 식중독은 어디서 유래된다고 보고되고있는가? 그러나 우리나라를 포함한 여러 개발도상국에서는 SG의 야외균주가 기존 항생제에 대해 저항성을 보임에 따라 항생제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에 언급된 부작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SG 9R을 가금티푸스의 예방책으로 사용하고 있어 안전성 및 방어능이 보장된 대체 백신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선진국의 경우 SE에 의한 식중독은 주로 가열하지 않은 계란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규명되어있고 1985년에서 1999년 사이에는 사람에서 SE의 식중독의 80%가 계란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Guard-Petter, 2001; Valiente Moro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bu, U., Scott, M., Myers, M. J., Okamura, M., Gaines, D., Yancy, H. F., Lillehoj, H., Heckert, R. A., and Raybourne, R. B. (2003) Effects of live attenuated and killed Salmonella vaccine on T-lymphocyte mediated immunity in laying hens. Vet. Immunol. Immunopathol. 10, 39-44. 

  2. Barrow, P. A., Huggins, M. B., and Lovell, M. A. (1994) Host specificity of Salmonella infection in chickens and mice is expressed in vivo primarily at the level of the reticuloendothelial system. Infect. Immun. 62, 4602-4610. 

  3. Bouzoubaa, K., Nagaraja, K. V., Newman, J. A., and Pomeroy, B. S. (1987) Use of membrane proteins from Salmonella Gallinarum for prevention of fowl typhoid infection in chickens. Avian Dis. 31, 699-704. 

  4. Clarke, R. C. and Gyles, C. L. (1993) Salmonella. In: Pathogenesis of Bacterial Infections in Animal. Gyles, C. L., and Thoen, C. O. (eds). 2nd ed, Iowa State University Press, Ames, IA, pp. 199-153. 

  5. Collins, F. M. and Campbell, S. G. (1982) Immunity to intracellular bacteria. Vet. Immunol. Immunopathol. 3, 5-66. 

  6. Cordwell, S. J. (2006) Technologies for bacterial surface proteomics. Curr. Opin. Microbiol. 9, 320-329. 

  7. Eswarappa, S. M., Janice, J., Balasundaram, S. V., Dixit, N. M., and Chakravortty, D. (2009) Host-specificity of Salmonella enterica serovar Gallinarum: Insights from comparative genomics. Infect. Genet. Evol. 9, 468-473. 

  8. Ewing, W. H. (1986) Edwards and Ewing's Identification of Enterobacteriaceae. 4th ed, Elsevier Science Publishing, NY, pp. 247-318. 

  9. Guard-Petter, J. (2001) The chicken, the egg and Salmonella Enteritidis. Environ. Microbiol. 3, 421-430. 

  10. Lee, H. S., Lim, S. K., Cho, Y. S., Joo, Y. S., Kim, J.H., and Kim, J. M. (2007) Protective effects of mix-crude outer membrane protein Salmonella vaccine against salmonellosis in chickens and pigs. Korean J. Vet. Res. 42, 147-155. 

  11. Lee, J. S., Jung, I. D., Lee, C. M., Park, J. W., Chun, S. H., Jeong, S. K., Ha, T. K., Shin, Y. K., Kim, D. J., and Park, Y. M. (2010) Outer membrane protein a of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activates dendritic cells and enhances Th1 polarization. BMC Microbiol. 15, 263-270. 

  12. Lillehoj, H. S. (1991) Cell-mediated immunity in parasitic and bacterial diseases. In: Avian cellular immunology. Sharma, J. M. (ed) CRC Press, Boca Raton, FL, pp. 155-181. 

  13. Meenakshi, M., Bakshi, C. S., Butchaiah, G., Bansal, M. P., Siddiqui, M. Z., Singh, V. P. (1999) Adjuvanted outer membrane protein vaccine protects poultry against infection with Salmonella Enteritidis. Vet. Res. Commun. 23, 81-90. 

  14. Popoff, M. Y., Bockemuhl, J., and Gheesling, L. L. (2004) Supplement 2002 (no. 46) to the Kauffmann-White scheme. Res. Microbiol. 155, 568-570. 

  15. Rabilloud, T., Kieffer, S., Procaccio, V., Louwagie, M., Courchesne, P. L., Patterson, S. D., Martinez, P., Garin, J., and Lunardi, J. (1998)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of human placental mitochondria and protein identification by mass spectrometry: Toward a human mitochondrial proteome. Electrophoresis 19, 1006-1014. 

  16. Seo, Y. S., Lee, S. H., Shin, E. K., Kim, S. J., Jung, R., Hahn, T. W. (2006)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genotyping of Salmonella Gallinarum and comparison with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Vet. Microbiol. 115, 349-357. 

  17. Silva, E. N., Snoeyenbos, G. H., Weinack, O. M., and Smyser, C. F. (1981) Studies on the use of 9R strain of Salmonella Gallinarum as a vaccine in chickens. Avian Dis. 25, 38-52. 

  18. Smith, I. M. (1969) Protection against experimental fowl typhoid by vaccination with strain 9R reconstituted from the freeze-dried state. J. Comp. Pathol. 79, 197-205. 

  19. Valiente Moro, C., De Luna, C. J., Tod, A., Guy, J. H., Sparagano, O. A., and Zenner, L. (2009) The poultry red mite (Dermanyssus gallinae): A potential vector of pathogenic agents. Exp. Appl. Acarol. 48, 93-104. 

  20. Wigley, P., Hulme, S., Powers, C., Beal, R., Smith, A., and Barrow, P. (2005) Oral infection with the Salmonella enterica serovar Gallinarum 9R attenuated live vaccine as a model to characterize immunity to fowl typhoid in the chicken. BMC Vet. Res. 12, 2-7. 

  21. Wu, M., Stockley, P. G., and Martin, W. J. 2nd. (2002) An improved western blotting technique effectively reduces background. Electrophoresis 23, 2373-23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