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삼천사지 대지국사탑비의 암석학적 특성과 산지해석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of Daejiguksatapbi (State Preceptor Daeji's Memorial Stele) in Samcheonsaji Temple Site, Seoul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6 no.2, 2013년, pp.93 - 104  

김지영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이명성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삼천사지 대지국사탑비는 고려시대 대지국사 법경의 행적을 기록한 석비이다. 이 탑비는 귀부, 비신 및 이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신은 발굴조사를 통해 약 255점의 파편으로 확인되었다. 탑비의 비신, 귀부 및 이수를 구성하는 암석은 각각 응회암질 각력암, 조립질 홍장석 화강암 및 세립질 화강암으로 동정되었다. 비의 구성암석과 동종의 암석 산출지를 탐색하기 위해 지표지질조사를 실시한 결과, 강화도 해협 양안에 점재하는 응회암질 각력암을 확인하였으며 조립질 홍장석 화강암과 세립질 화강암은 현재 삼천사지가 위치한 북한산에서 확인되었다. 비의 구성암석과 추정 산지 암석의 성인적 동질성을 규명하기 위해 암석학적 및 지구화학적 분석 결과, 추정 산지 암석의 광물조성, 조직, 암상적 특징과 지구화학적 거동특성이 탑비 구성암석과 매우 유사하였다. 따라서 비신은 강화도 해협 일대, 귀부와 이수는 삼천사지 주변이 석재 공급지였을 가능성이 아주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이 결과는 현재 심하게 파손된 비신의 복원 시 신석재를 선택할 수 있는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aejiguksaptapbi (Tapbi) is a memorial stele which is inscribed with personal history of a state preceptor, Daejiguksa Beopkyeong. The Tapbi comprises tortoise-shaped pedestal, dragon top and body stone, and the body stone is remained in 255 pieces by excavation in Samcheonsaji temple site of Seou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삼천사지 대지국사탑비란 무엇인가? 삼천사지 대지국사탑비는 고려시대 대지국사 법경의 행적을 기록한 석비이다. 이 탑비는 귀부, 비신 및 이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신은 발굴조사를 통해 약 255점의 파편으로 확인되었다.
북한산 삼천사지란 무엇인가? 북한산 삼천사지는 서기 661년 원효가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며, 고려 법상종 종찰인 개경 현화사의 초대주지를 지냈던 대지국사 법경이 주지로 있던 사찰이다. 이 사찰은 고려 현종 때 고려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크게 융성하였으나 임진왜란 이후 폐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천사지 대지국사탑비는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삼천사지 대지국사탑비는 고려시대 대지국사 법경의 행적을 기록한 석비이다. 이 탑비는 귀부, 비신 및 이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신은 발굴조사를 통해 약 255점의 파편으로 확인되었다. 탑비의 비신, 귀부 및 이수를 구성하는 암석은 각각 응회암질 각력암, 조립질 홍장석 화강암 및 세립질 화강암으로 동정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n, K.S., Park, Y.S., Kim, C.B. and Chen, J. (1998) Metamorphism of gneiss complex in the Paju-Gimpo area, north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Jour. Petrol. Soc. Korea, v.7, p.177-189. 

  2. Boynton, W.V. (1984) Geochemistry of the rare earth elements; meteorite studies. In Henderson, P.(ed.), Rare earth element geochemistry, Elsevier, p.63-107. 

  3. Caterina, D.V., Vincenzo, F., Silvano, M., Luigi, P. and Rosanna, T. (2004) Mineralogical-petrographic and geochemical study to identify the provenance of limestone from two archaeological sites in the Sulmona Area(L'Aquila, Italy). J. Archaeol. Sci., v.31, p.1383-1394. 

  4. Chwae, U., Kim, G.B., Choi, S.J., Yun, U. and Jin, M.S. (1995) Geological report of the Kimpo-Incheon sheets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 Materials, p.1-34. 

  5. Hong, S.H., Lee, B.J. and Hwang, S.K. (1982)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Seoul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p.1-44. 

  6. Ishihara, S. (1998) Granitoid series and mineralization in the Circum-Pacific Phanerozoic granitic belts. Resour. Geol., v.48, p.219-224. 

  7. Jo, Y.H., Lee, M.S., Choi, G.E. and Lee, C.H. (2011) Precise Deterioration Diagnosis and Restoration Stone Suggestion of Jungdong and Banjukdong Stone Aquariums in Gongju, Korea. J. Cult. Herit. Stud. (Munhwaje), v.44, p.92-111. 

  8. Jwa, Y.J., Kim, K.K., Ko, S.B. and Kim, J.S. (2006) Source area of the rocks using the west stone pagoda of Gameunsaji temple site, Korea. Jour. Petrol. Soc. Korea, v.15, p.128-138. 

  9. Lee, B.J., Kim, Y.B., Lee, S.R., Kim, J.C., Kang, P.C., Choi, H.I. and Jin M.S. (1999) Explanatory Note of the Seoul-Namchonjeom Sheet (1:250,000).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 Materials, p.1-64. 

  10. Lee, C.H., Choi, S.W., Lee, H.M. and Lee, M.S. (2006) Archaeogeological implication of lithic artifacts from the Unjeonri Bronze Age site, Cheonan, Republic of Korea. J. Archaeol. Sci., v.33, p.335-348. 

  11. Lee, C.H., Kim, J. and Lee, M.S. (2010a) Petrograpy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of the stone moulds for bronze daggers from the Galdong prehistoric site, Republic of Korea. Archaeometry, v.52, p.31-44. 

  12. Lee, C.H., Kim, M.Y., Jo, Y.H. and Lee, M.S. (2010b) Conservation treatment based on material characteristics, provenance presumption and deterioration diagnosis of the seven-storied Jungwon Tappyeongri stone pagoda, Chungju, Korea. J. Cult. Herit. Stud. (Munhwaje), v.43, p.36-57. 

  13. Lee, C.H., Kim, Y.T. and Lee, M.S. (2007) Provenance presumption for rock properties of the five storied stone pagoda in the Jeongrimsaji temple site, Buyeo, Korea. Jour. Geol. Soc. Korea. v.43, p.183-196. 

  14. Lee, M.S., Han, M.S., Kim, J.H. and Kim, S.D. (2010c) Material characteristics, provenance interpretation and deterioration diagnosis of Shilla stone monuments in Jungseongri and Naengsuri, Pohang. J. Cult. Herit. Stud. (Munhwaje), v.43, p.122-143. 

  15. Mason, B. and Moore, C.B. (1982) Principles of geochemistr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6. Nockolds, S.R. (1954) Average chemical compositions of some igneous rocks. Geol. Soc. Am. Bull., v.65, p.1007-1032. 

  17. Seoul Museum of History (2011) Report on the excavation of Samcheonsaji temple site in Bukhansan Mountain. Seoul Museum of History, p.15-128. 

  18. Suh, K.S. and Park, H.I. (1986) Mesozoic Igneous Rocks in Bupyeong District.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v.19, p.179-192. 

  19. Pearce, J.A. (1983) Role of sub-continental lithosphere in magma genesis at active continental margines. In Hawkesworth, C.J. and Norry, M.J.(ed.), Continental basalts and mantle xenolith, Shiva, p.230-249. 

  20. Uchida, E., Cunin, O., Suda, C., Ueno, A. and Nakagawa, T. (2007) Consideration on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the sandstone quarries during the Angkor period based on the magnetic susceptibility. J. Archaeol. Sci., v.34, p.924-9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