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암대자율을 이용한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비신의 복제용 석재 선정 연구
Study for Selection of Replica Stone of the Stele for Buddhist Monk Wonjong at Yeoju Godalsa Temple Site using Magnetic Susceptibility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5 no.3, 2016년, pp.299 - 310  

이명성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전유근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김지영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는 과거 도괴되어 현재 귀부와 이수는 여주 고달사지에 남아있고 비신은 파손된 채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탑비를 구성하는 암석은 두 종류로, 귀부와 이수는 조립질 흑운모화강암, 비신은 부분적으로 각섬석 집합체와 2~3 cm 크기의 장석반정이 특징적으로 관찰되는 세립질 흑운모화강암이다. 귀부와 이수의 조립질 흑운모화강암은 여주 일대에 분포하는 흑운모화강암과 전암대자율 및 암석기재적 특징이 매우 유사하다. 반면 비신의 암석은 이 지역 내에서 산출되는 암석과 다소 차이가 있어 국내 화강암의 전암대자율, 암석학적 특징, 탑비의 금석문과 고려시대 고문헌 기록을 토대로 유사한 암석의 산출지를 탐색하였다. 이 결과 북한 해주 지역의 화강암이 색상, 각섬석 집합체, 광물조성, 전암대자율 분포 등에 있어 비신의 세립질 흑운모화강암과 거의 동일하였다. 따라서 해주 화강암이 탑비 암석의 산지암석으로서 가능성이 가장 크며, 원종대사탑비 비신을 복제하기 위한 석재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ele for Buddhist Monk Wonjong at Godalsa Temple Site was destroyed a long time ago. Only the tortoise-shaped pedestal and the ornamental capstone in the form of a hornless dragon remain at the site and the broken stele body is store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oday. The stele is made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비신의 복제품 제작을 위해 암석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원종대사탑비의 귀부와 이수를 구성하는 암석은 0.

가설 설정

  • Li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ele for Buddhist Monk Wonjong at Godalsa Temple Site, Yeoju. (A) The surface of the stele body shows gray color for alteration but the fresh surface is lighter. (B) The fine-grained biotite granite of the stele body includes dark hornblende assemblages.
  • (C) The stele body is characterized by 2 to 3 centimeters feldspar phenocrysts. (D) The tortoise-shaped pedestal and capstone are medium-grained biotite granite. (E) The original color of the medium-grained granite of the pedestal is light gray but partially light orange for alteration of mineral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는 어떤 목적으로 건설되었는가?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보물 제6호)는 신라말 고려초 선승이었던 원종대사의 위업을 기리기 위하여 고려 광종 26년(975년)에 건립된 비석이다. 이 비는 1916년에 넘어져 비신은 크게 파손되어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졌으며 귀부와 이수만 보물로 지정되어 여주 고달사지에 남아 있다(Fig.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의 암석학적 동질성을 규명하는데 제약이 따르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문화재는 시료채취가 어렵기 때문에 정밀한 암석학적 및 지구화학적 분석을 통한 암석학적인 동질성을 규명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원종대사탑비의 신석재 선정 연구에서는 각종 고문헌 자료를 검색하여 탑비 제작과 원료 수급에 대한 관련 자료를 조사하여 가능한 원산지를 탐색하고 각 부재의 암석기재적인 특징과 전암대자율을 근거로 원석재와 가장 가까운 신석재를 찾아 동질성을 비교하였다.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를 완형으로 보존하기 위해 제안된 연구는 무엇인가? 1). 문화재청과 여주시는 파손된 비신을 새로이 제작하여 고달사지 현장에서 탑비를 완형으로 보존할 계획을 수립함에 따라 탑비 구성암석의 재질과 원산지 및 비신 복원용 신석재 선정을 위해 석재산지 연구가 제안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arba, L., Blancas, J., Manzanilla, L.Y., Ortiz, A., Barca, D., Crisci, G.M., Miriello, D., and Pecci, A., 2009, Provenance of the limestone used in Teotihuacan (Mexico) : a methodological approach. Archaeometry, 51, 525-545. 

  2. Caterina, D.V., Vincenzo, F., Silvano, M., Luigi, P., and Rosanna, T., 2004, Mineralogical-petrographic and geochemical study to identify the provenance of limestone from two archaeological sites in the Sulmona Area (L'Aquila, Italy). Journal Archaeological Science, 31, 1383-1394. 

  3. Choie, M., Lee, C.H., and Jo, Y.H., 2015, Interpretation of provenance and transportation process for Bakseok of Geunjeongjeon Hall in Gyeongbokgung Palace, Korea. Journal of Petrology Society Korea, 24, pp.181-1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CHA), 2016, Heritage Information, Treasure No.6 Stele for Buddhist Monk Wonjong at Godalsa Temple Site, Yeoju, www.ocp.go.kr. 

  5. Eom, G.P., 2003, Stone Stupa of Silla and Goryeo Dynasty, Hakyoun, 493-550. 

  6. Hong, S.S., 2004, Magnetic susceptibility and petrochemical compositions of Mesozoic Granites in Korea. Journal of Petrology Society Korea, 13, pp.16-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Ishihara, S., 1998, Granitoid series and mineralization in the Circum Pacific Phanerozoic granitic belts. Resource Geology, 48, 219-224. 

  8. Jo, Y.H., Lee, C.H., Yoo, J.H., Kang, M.K., and Kim, D.M., 2012a, Petrological classification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of the Sungnyemun stone block foundation, Korea. MUN HWA 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45, 174-1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Jo, Y.H., Lee, M.S., Choi, G.E., and Lee, C.H., 2012b, Precise deterioration diagnosis and restoration stone suggestion of Jungdong and Banjukdong Stone Aquariums in Gongju, Korea. MUN HWA 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44, 92-1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Jwa, Y., Kim, K.K., Ko, S.B., and Kim, J.S. 2006, Source Area of the Rocks Using the West Stone Pagoda of Gameunsaji Temple Site, Korea. Jour. Petrol. Soc. Korea, 15(3), 128-138 

  11. Kim, J., Park, S.M., and Lee, C.H., 2009, Deterioration and microclimate in the shelter for the Gaetaesajiseokbulibsang (Standing Triad Buddha Statues in Gaetaesaji Temple Site, Nonsan,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5, 179-1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J.C., 2007, Quantitative deterioration and precisely nondestructive diagnosis of the Five-storied and Sevenstoried Stone Pagoda at the Cheongryangsaji Temple Site in Mt. Gyeryong. M.A. dissert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42-43. (in Korean) 

  13. Kim, J., Lee, M.S., and Lee, C.H., 2013,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of Daejiguksatapbi (State Preceptor Daeji's Memorial Stele) in Samcheonsaji Temple Site, Seoul. Economic and Environment Geology, 46, 93-1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S.D., Yi, J.E., Lee, D.S., and Lee, C.H., 2011, Homogeneity investigation of replace stone for restoration of the Mireuksaji stone pagoda in Iksan,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7, 211-2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S.W., Hwang, G.H., Moon, S.W., and Jwa, Y.J., 2015,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Estimation on the Stone Artefacts from the Pocheon Neulgeori Prehistoric Site, Korea. Journal of Petrology Society Korea, 24, 1-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ongju National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KNUICF), 2007, Deterioration degree and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hree-storied Stone Pagoda in the Byeksongsa Temple, Hamyang. Seojin Cultural Heritage Co., 18-20. (in Korean) 

  17. Kongju National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KNUICF), 2010, Nondestructive deterioration diagnosis of the Seokjoseokgayeoraejwasang(Stone Seated Buddha Statue) in Gwanyongsayongseondae, Changnyeong. Kyonam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5-17. (in Korean) 

  18.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KIKS), 2014, Digital library of the P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 e-kyujanggak.snu.ac.kr. 

  19. Lee, C.H., Choi, S.W., Lee, H.M., and Lee, M.S., 2005a, Archaeogeological implication of lithic artifacts from the Unjeonri Bronze age site, Cheonan, Republic of Korea. Jour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3, 335-348. 

  20. Lee, C.H., Kim, J., and Lee, M.S., 2010a, Petrography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of the stone moulds for bronze daggers from the Galdong prehistoric site, Republic of Korea. Archaeometry, 52, 31-44. 

  21. Lee, C.H., Kim, M.Y., Jo, Y.H., and Lee, M.S., 2010b, Conservation treatment based on material characteristics, provenance presumption and deterioration diagnosis of the Seven-storied Jungwon Tappyeongri stone pagoda, Chungju, Korea. MUN HWA 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43, 4-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Lee, C.H., Kim, Y.T., and Lee, M.S., 2007, Provenance presumption for rock properties of the Five-storied stone pagoda in the Jeongrimsaji temple site, Buyeo, Korea. Jo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3, 183-1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Lee, C.H., Lee, M.S., and Suh, M., 2005b, Safety interpretations of the discontinuity and weathering characteristics of the Gaheungri Triple Buddha Statue, Yeongju,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1, 401-4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Lee, J.W., Lee, M.S., Choi, Y.S., Oh, J.H., Kim, J.W., and Kim, S.D., 2010, Scientific conservation treatment and restoration of the Monument for Jo Heon and the Soldiers in Chilbaeguichong (Chilbaeguichong Jungbongjoheonseonsaengilgunsunuibi).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6, 191-2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Lee, M.H. and Lee, C.H., 2009, Transportation route, provenance and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ive-storied Stone Pagoda in Seongjusaji Temple Site,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5, 725-73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Lee, M.S., Chun, Y.G., Seo, J.S., and Lee, C.H., 2009, Material analysis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for rock properties of the Gwangjueupseong (Gwangju town wall),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5, 61-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Lee, M.S., Han, M.S., Kim, J.H., and Kim, S.D., 2010, Material characteristics, provenance interpretation and deterioration diagnosis of Shilla Stone monuments in Jungseongri and Naengsuri, Pohang. MUN HWA 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43, 123-1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Lee, S.M., Lee, C.H., Choi, S.W., and Yun, S,B., 2006, Deterioration state and behavior of discontinuity system of the Seosan Maaesamjonbulsang (Rock-carved Triad Buddha in Seosan,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19, 85-9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Miriello, D., Barca, D., Crisci, G.M., Barba, L., Blancas, J., Ortiz, A., Pecci, A., and Lopez Lujan, L., 2011, Characterization and provenance of lime plasters from the Temple mayor of Tenochtitlan (Mexico city). Archaeometry, 53, 1119-1141. 

  30.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NRICH), 2016, Epigragh Information, www.gsm.nricp.go.kr. (in Korean) 

  31. Park, S.C., Moon, S.W., Kim, S.D., and Jwa, Y.J., 2015, A petrological study of stones used in the Three Storied Stone Pagoda of Bulguksa Temple. Journal of Petrology Society Korea, 24, 11-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Uchida, E., Cunin, O., Suda, A., Nakagawa, T., 2007, Consideration on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the sandstone quarries during the Angkor period based on the magnetic susceptibility.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4(6), 924-935. 

  33.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999, Geographical formation of Korea. Sigmapress, appendix. 

  34. Yang, H.J., Lee, C.H., Choi, S.W., and Lee, M.S., 2006,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presumption for rock properties of the Stone Pagoda in Mireuksaji Temple Site, Iksan,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2, 293-3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