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경기만 염하수로에서의 비정규 격자 수치모델링을 통한 조간대 조수로의 고려에 따른 Mass Transport 특성
Characteristics of Mass Transport Depending on the Feature of Tidal Creek at Han River Estuary, Gyeong-gi Bay,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25 no.2, 2013년, pp.41 - 51  

김민하 ((주)전력해양) ,  우승범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기만 한강 하구역에 대한 지속적인 연안개발에 따른 해양 환경변화의 예측 및 평가에 수치모델이 사용되어 왔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조간대의 불규칙한 지형 재현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정규 격자체계의 수치모델을 적용하여 강화남단 조간대에서 조수로 지형에 따른 해상도의 조절이 한강 하구역의 조석과 잔차 수송량 변화특성 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격자 구성 시 조수로의 해상도를 주변 해상도와 동일하게 재현한 실험 A와 조수로의 해상도를 주변의 해상도에 비해 높게 재현한 실험 B를 수행하였다. 각 실험 별 관측치와 모델치의 $M_2$ 분조의 진폭에 대해 평균제곱근오차와 절대상대오차를 계산해본 결과, 두 평균제곱근오차의 차이와 절대상대오차의 차이가 한강 상류와 석모수로 해역에서 약 40%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격자 구성 시 조수로의 지형에 따라 해상도를 조절하는 것이 한강 하구역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잔차 수송량의 변화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염하수로 입구(초지대교 인근: Line 1)와 염하수로 남단(영종대교 남단: Line 2)에서 관측한 단면유속자료로부터 계산된 잔차 수송량을 모델 별로 비교하였다. 각 실험 별로 산정된 Lagrangian 순 질량 수송량은 각 항마다 정도의 차이는 보이지만 전반적으로 조수로의 지형에 따라 해상도를 조절하지 않은 실험 A가 해상도를 조절한 실험 B보다 약 2배 이상 과다산정 된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조간대의 조수로 지형이 조간대 모의 뿐만 아니라 수치모델의 전반적인 해수 유동장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넓은 조간대 및 수심경사가 큰 조수로 지형을 가진 지역에서의 잔차 수송량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수치모의 시 조간대의 조수로 지형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격자를 구성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idal creek dependent mass transport characteristic in Gyeong-Gi Bay (west coast of Korea) was studied using field measured data and numerical model. Gyeong-Gi Bay consists of 3 main tidal channels and contains a well-developed vast tidal flat. This region is famous for its large tidal differen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기만 한강 하구역의 지속적인 연안개발에 따른 해양 환경변화의 예측 및 평가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한계는 무엇인가? 경기만 한강 하구역에 대한 지속적인 연안개발에 따른 해양 환경변화의 예측 및 평가에 수치모델이 사용되어 왔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조간대의 불규칙한 지형 재현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정규 격자체계의 수치모델을 적용하여 강화남단 조간대에서 조수로 지형에 따른 해상도의 조절이 한강 하구역의 조석과 잔차 수송량 변화특성 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비정규 격자의 장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 사용된 수치모델은 직교좌표계를 이용하는 정규 격자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정규 격자 수치모델은 고해상도의 격자 구성의 한계로 인해 경기만의 복잡한 해안선 및 조수로 지형 세밀한 재현에 어려움이 있다. 비정규 격자는 관심해역만의 해상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수치모델의 계산양을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규격자 수치모델에서는 고려할 수 없었던 조수로에서의 불규칙한 지형들도 고려할 수 있다. Chen et al.
경기만의 담수는 어디에서 유입되는가? , 2002; 정, 2007). 담수는 한강, 임진강, 예성강으로부터 유입되며 대부분의 유입은 한강을 통해 이루어진다. 경기만으로 유입되는 담수의 연중 70% 이상이 장마기간을 포함한 6월부터 9월에 걸쳐 집중되어 계절적으로 큰 변화를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강주환, 문승록, 박선중 (2004). 해수유동 모형에서 조간대모의의 필요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4(3-B), 269-265. 

  2. 강주환, 박선중, 김양선, 소재귀 (2009). 해수유동모형의 조간대 특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1(5), 357-370. 

  3. 김창식, 임학수, 김진아, 김선정, 박광순, 정경태 (2010). 경기만 조석 잔차류 산정 및 변동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2(6), 353-360. 

  4. 김홍선 (1997). 경기만에서의 해수 유동과 염분 분포에 대한 수치 모델링.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5. 윤병일, 우승범 (2011). 조석 전파 특성을 활용한 한강하구 주요 수로의 지형학적 수렴과 바닥 마찰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3(5), 383-392. 

  6. 윤병일, 우승범 (2012). 한강하구 수로별 순 수송량과 대소조기 변화에 따른 염하수로의 순 수송량 변동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4(4), 257-268. 

  7. 이동환, 윤병일, 김종욱, 구본호, 우승범 (2012). 단면 관측을 통한 경기만 염하수로의 대조기 평수시와 홍수시 유출입량 변화특성 조사.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4(1), 16-25. 

  8. 이동환, 우승범 (2012). 경기만 염하수로에서의 mass flux 특성 분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심사중). 

  9. 임효혁 (1999). 경기만에서 수치모델링을 이용한 한강수 유입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10. 정정호 (2007). 3차원 수치모델을 이용한 경기만 해수의 시공간적인 수리학적 거동과 환경조건변화에 대한 예측 모델링연구. 박사학위논문, 광운대학교. 

  11. Chen, C., Liu, H. and Beardsley, R.C. (2003). An unstructured, finite volume, three-demensional, primitive equation ocean model: Application to Coastal ocean and estuaries. Journal of Atmos. Oceanic Technol., 20, 159-186. 

  12. Chen, C., Qi, J., Li, C., Beardsley, R.C., Lin, H., Walker, L. and Gates, K. (2008). Complexity of the flooding/drying process in an estuarine tidal-creek salt-marsh system: An application of FVCOM.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13. 

  13. Frazier, P.S. and Page, K.J. (2000). Water body detection and delineation with Landsat TM data.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66, 1461-1467. 

  14. Ryu, J.-H., Won, J.-S. and Min, K.D. (2002). Waterline extraction from Landsat TM data in a tidal flat a case study in Gomso Bay, Kore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3, 442-456. 

  15. Kang., S.K. (1995). Seasonal variability of the M2 tide in the seas adjacent Korea.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56, 187-196. 

  16. Foreman, M.G.G. (1997). Manual for tidal heights: analysis and prediction. Pacific Marine Science Report, 77-10., Institute of Ocean Sciences, Patricia Bay, Sidney, B.C., Canada. 

  17. Park, K., Oh, J. H., Kim, H. S. and Im, H. H. (2002). Case study: Mass Transport Mechanism in Kyunggi Bay around Han River Mouth.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128(3), 257-267. 

  18. Sylaios, G. and Boxall, S. R. (1988). Residual currents and flux estimates in a partially mixed estuary, Est. Coastal Shelf Sci., 46, 671-6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