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류 유무에 따른 영산강 하구역의 시공간적 잔차류 및 염분 변화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Residual Current and Salinity according to Freshwater Discharge in Yeoungsan River Estuary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25 no.2, 2013년, pp.103 - 111  

김종욱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윤병일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송진일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임채욱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우승범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방류 유무에 따른 유속, 잔차류 그리고 염분의 시공간적인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서 영산강 하구둑에서 서쪽방향으로 7.5 km의 구간까지 방류 시와 미방류 시에 종단면의 유속, 수온 그리고 염분을 한 조석 주기 동안 1시간 간격으로 동시에 관측하였다. 미방류 시에 연구지역의 유속 형태는 창조지속 시간이 길고 낙조류가 강한 낙조우세 특성을 보인다. 방류 시에 표층 최대 유속은 최대 1.5 m/s의 제트류 형태로 방류되지만, 저층 유속은 미방류 시와 비교해보면 0.4 m/s로 크게 변하지 않는다. 방류 시의 수직 잔차류 분포는 담수의 영향으로 일반적인 하구에서 보이는 2층 흐름 구조를 가지는 반면에, 미방류 시에는 다층 흐름 구조가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방류로 인하여 하구둑 외측에서 강한 연직 혼합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조사에서는 방류에 의해서 염분 성층이 발달하고, 표층과 저층간의 연직 혼합에 크게 기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방류가 강하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하구둑 전면의 지형적 효과와 밀도 차에 의한 해수 흐름 특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하구둑 방향의 물질수송은 수직 방향보다는 수평 방향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field measurements were conducted in the section about 7 km from sea dike to westward. The observations of along channel current were carried out, and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measured simultaneously at 10 stations during one tidal cycle, and sampling interval is 1 hour.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대·소조기의 변동성에 비하여 방류 유무에 따른 물리적인 변화가 클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방류 유무에 따른 하구둑 인근의 유속, 염분, 잔차 변화를 중점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방류수에 의한 유속, 성층 그리고 잔차류 변화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갑문 운영에 따른 방류 시와 미방류 시의 시공간적인 유속과 염분 변화에 대한 연속 관측을 통하여 과거 연구(Nepf and Geyer, 1996; Elias and Stive, 2006; Framinan et al., 2008)를 기반으로 잔차 흐름 구조를 비교 분석하여 하구둑 담수 방류에 의한 물질순환 기작을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구둑이 설치된 곳은? 우리나라 하구는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서 영산강, 낙동강, 금강의 주요 지역에 하구둑이 설치되어 있다. 본 연구 지역인 영산강 하구둑은 1981년 2월에 완공 되었으며, 목포항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영산강 하구둑의 특징은? 우리나라 하구는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서 영산강, 낙동강, 금강의 주요 지역에 하구둑이 설치되어 있다. 본 연구 지역인 영산강 하구둑은 1981년 2월에 완공 되었으며, 목포항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목포항 서쪽의 외해에서는 달리도, 눌도와 화원반도 등 크고 작은 섬들 사이의 수로를 통해 조석, 조류가 전파되어 들어온다(Fig. 1).
유속과 염분의 시공간적인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어떻게 되는가? 종합하면, 1) 방류 시에 표층 유속은 강한 제트류의 형태로 방류 되지만, 저층 유속에는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연행작용에 의해서 저층 유속이 강화 되는 것으로 나타난다.2) 영산강 하구역의 성층의 강도는 인위적인 하구둑 방류 유무에 의하여 조절되며, 대량의 방류가 발생을 하더라도 저층 염분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으로 작용한다.3) 하구둑의 차단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Line 2보다 Line 1에서 물리적인 변화가 작게 나타나며, 방류에 의해서 잔차 유속은 복잡한 다층 흐름 구조에서 2층 흐름 구조로 나타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영산강 하구의 물질 교환은 수직 방향보다는 수평 방향으로 활발이 발생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강주환, 송재준, 오남선 (1998). 낙조우세와 관련된 목포해역의 조류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18, 185-193. 

  2. 강주환 (1996). 하구둑 및 방조제 건설에 따른 목포해역의 환경변화. 대한토목학회논문집, 16, 611-619. 

  3. 박래환, 조양기, 조 철, 선연종, 박경양 (2001). 2000년 여름 영산강 하구의 해수 특성과 순환, 한국해양학회지, 6(4), 218-224. 

  4. 이석우 (1994). 영산강 하구둑 건설에 따른 목포항의 조위의 변화. 한국항만협회지, 18, 27-37 

  5. 이동환, 윤병일, 김종욱, 구본호, 우승범 (2012). 단면 관측을 통한 경기만 염하수로의 대조기 평수시와 홍수시 유출입량 변화특성 조사.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24(1), 16-25. 

  6. 최병호 (1984). 영산강하구의 방조제건설에 따른 조위변화, 대한토목공학논문집, 4, 113-124. 

  7. 최낙용, 윤병일, 김종욱, 송진일, 임은표, 우승범 (2012). 대,소조기시 한강하구 석모수로에서 단면 잔차류와 성층간의 관계 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24(3), 149-158. 

  8. Chant, R.J. (2002). Secondary flows in a region of flow curvature: relationship with tidal forcing and river discharge. J. Geophys. Res., doi:10.1023/2001JC001082 

  9. Chant, R.J. and Wilson, R.E. (1997). Secondary circulation in a highly stratified channel. J. Geophys. Res. 102, 23,207-23,215. 

  10. Cheng, P. and Valle-Levinson, A. (2010). Residual Currents Induced by Asymmetric Tidal Mixing in Weakly Stratified Narrow Estuaries. J. Phys. Oceangr., 40, 2135-2147 

  11. Elias, E.P.L. and Stive, M.J.F. (2006). The effect of stratification on the residual flow in a mixed-energy tide-dominated inlet. In A Sanchez-Arcilla (Ed.), Coastal Dynamics 2005: proceedings of the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1-13. 

  12. Framinan, M.B., Valle-Levinson, A., Sepulveda, H.H. and Brown, O.B. (2008). Tidal variations of flow convergence, shear and stratification at the Rio de la Plata estuary turbidity front.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3, C8. 

  13. Friedrichs, C.T. and Aubrey, D.G. (1988). Tidal Distortion in Shallow Well-Mixed Estuaries: A Synthesis.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27, 521-545. 

  14. Garvine, R.W. (1974). Dynamics of small-scale oceanic fronts, J. Phys. Oceanogr., 4(4), 557-569. 

  15. Geyer, W.R., Trowbridge, J.H and Bowen, M.N. (2000). The dynamics of a partially mixed estuary. J. Phys. Oceanogr. 30, 2035-2048. 

  16. Geyer, W.R. (1993). Boundary mixing and arrested Ekman layers: rotating stratified flow near a sloping boundary. Ann. Rev. Fluid Mech. 25, 291-323. 

  17. Geyer, W.R., Chant R. and Houghton R. (2008b). Tidal and springneap variations in horizontal dispersion in a partiaaly mixed estuary, J. Geophys.Res,113,C07023, doi : 10.1029/2007JC004644. 

  18. Guerrero, R., Acham, E., Framinan, M. and Lasta, C. (1997). Physical oceanography of the Rio de la Plata estuary, Argentina, Cont. Shelf Res., 17, 727-742. 

  19. Hansen, D.V. and Rattray, M. (1965). Gravitational circulation in straits and estuaries. J. Mar. Res., 23, 104-122. 

  20. Hansen, D.V. and Rattray, M. (1966). New dimensions in estuary classification. Limnol. Oceanogr. 11, 319-326. 

  21. Ianniello, J.P. (1977). Tidally induced residual currents in estuaries of constant breadth and depth. J. Mar. Res., 35, 755-786. 

  22. Joyce, T.M. (1989). On In Situ "Calibration" of Shipboard ADCPs. J. Atmos. Oceanic Technol., 6, 169-172. 

  23. Kranenberg, C. (1986). A time scale for long-term salt intrusion in well-mixed estuaries. J. Phys. Oceanogr., 16, 1329-1331. 

  24. Lerczak, J. A. and Geyer, W. R. (2004). Modeling the lateral circulation in straight, stratified estuaries.. J. Phys. Oceanogr., 34, 1410-1428. 

  25. Lerczak, J. A., Geyer, W. R. and Chant, R. J. (2006). Mechanisms driving the time-dependent salt flux in a partially stratified estuary. J. Phys. Oceanogr., 36, 2283-2298. 

  26. Lwiza, K. M. M., Bowers, D. G. and Simpson, J. H (1991). Residual and tidal flow at a tidal mixing front in the North Sea, Continental Shelf Research., 11(11), 1379-1395. 

  27. MacCready, P. (1999). Estuarine adjustment to changes in river flow and tidal mixing. J. Phys. Oceanogr., 29, 708-726. 

  28. MacCready, P. and Rhines, P.B. (1991). Buoyant inhibition of Ekman transport on a slope and its effect on stratified spin-up. J. Fluid. Mech. 223, 631-661. 

  29. MacCready, P. (2004). Toward a unified theory of tidally-averaged estuarine salinity structure. Estuaries 27(4), 561-570. 

  30. Monismith, S. G., Kimmerer, W., Burau, J. R., Stacey, M.T. (2002). Structure and flow-induced variability of the subtidal salinity field in northern San Francisco Bay. J. Phys. Oceanogr., 32, 3003-3019. 

  31. Nepf, H. and Geyer, W.R. (1996). Intra-tidal variations in stratification and mixing in the Hudson Estuary. J. Geophys. Res., 101, 12079-12086. 

  32. Preisendorfer, R. and Mobley, C. (1988). Theory of fluorescent irradiance fields in natural waters. J. Geophys.Res,93(D9): doi: 10.1029/88JD00037. issn: 0148-0227. 

  33. Pritchard, D.W. (1956). The dynamic structure of a coastal plain estuary. J. Mar. Res., 17, 412-423. 

  34. Ralston, D.K. and Stacey, M.T. (2005). Stratification and turbulence in subtidal channels through intertidal mudflats. J. Geophys. Res.110, Article C08009, 2005. 

  35. Seim, H.E. and Gregg, M.C. (1997). The importance of aspiration and channel curvature in producing strong vertical mixing over a sill. J. Geophys. Res., 102, 3451-3472. 

  36. Smith, R. (1977). Long term dispersion of contaminants in small estuaries. J. Fluid Mech. 82, 129-146. 

  37. Winant, C.D. and Guillermo, G.V. (2003). Tidal Dynamics and Residual Circulation in a Well-Mixed Inverse Estuary. J. Phys. Oceanogr., 33, 1365-137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