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혼한 여성 한부모의 홀로서기 경험
Single Mothers' Experiences of Achieving Independence after Divorce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1 no.2 = no.122, 2013년, pp.59 - 75  

손서희 (숙명여자대학교 가족자원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explore how divorced mothers had decided to take custody of their children and became single mothers. The experiences of their lives after divorce were also explored. Data were collected from 17 Korean divorced mothers who were divorced between 2004 and 2...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의 소득 수준에 따라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이 경험하는 어려움의 종류와 적응 정도는 다를 것으로 예상하는 이유는? 이혼 후의 경제적 어려움은 이혼 후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Son & Han, 2006; Sung, 2003).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여성 한부모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은 가족의 소득 감소뿐만 아니라 다른 일상생활의 문제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특히 빈곤 여성 한부모가족의 경우 정서적 어려움이나 건강 문제, 자녀양육의 어려움 등의 복합적인 문제를 경험할 가능성이 다른 여성 한부모가족과 비교해 높다(Chin & Kim, 2005). 따라서 가족의 소득 수준에 따라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이 경험하는 어려움의 종류와 적응 정도는 다를 것이다.
한부모가족이란 무엇인가? 현대사회의 사회·경제적 변화는 가족형태의 변화에 큰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한부모가족의 증가 역시 그 변화의 흐름 안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부모가족이란 사망, 이혼, 유기 등의 사유로 양친 중 한쪽 부모와 그들의 미혼자녀로 구성된 가족으로, 우리나라의 전체 가구 중 한부모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2005년 8.6%에서 2011년 9.
한부모가족의 형성 사유는 어떠한가? 한부모가족의 형성 사유를 살펴보면, 사별로 인한 한부모가족은 1995년 54.8%에서 2010년 29.7%로 줄어든 반면, 이혼으로 인한 한부모가족은 1995년 12.9%에서 2010년 32.8%로 크게 증가하여 이혼으로 인한 한부모가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우리사회의 이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고 한부모가족의 형성 사유에 따라 여성의 소득 수준과 빈곤실태(Yoon, 2004) 그리고 한부모가 된 이후의 적응 정도나 사용하는 대처 전략(Kong, 2001) 등이 다르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고려할 때,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은 사별이나 미혼 상태에서 한부모가 된 가족들과는 다른 한부모됨이나 홀로서기 경험을 할 가능성이 높다(김혜선·김은하, 2010; Kong,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김혜선?김은하(2010). 이혼한 여성 한부모 어머니의 경험: 삶의 위기에서 시작된 경험들. 한국위기관리논집, 6(1), 219-242. 

  2. 김혜영?장혜경?김영란(2006). 이혼 후 자녀양육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 여성가족부 연구보고서. 

  3. 문은영?김보람(2010). 서울시 한부모가족 생활실태 및 지원 방안 연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연구보고서. 

  4. 이복실(2012). 한부모가족지원 정책현황 및 과제. 한국가족 자원경영학회 제17차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3-10. 

  5. 이영호(2012). 한부모가족의 이슈와 가족자원경영학에서의 연 구, 교육 및 실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제17차 추계 학술대회 자료집. 13-27. 

  6. 장명선(2012). 서울시 한부모가족지원 정책 및 개선방안.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제17차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98-115. 

  7. 통계청(2012). e-나라지표 한부모가족 현황.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1578 

  8. Chang, H.(2012). Parenting attitude, language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of infant and young children in poor single-parent families. Korea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34(3), 67-97. 

  9. Cheon, H. & Im, Y.(2007).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adaptation of institutionalized single-mother families following divorce. Family and Culture, 19(3), 123-146. 

  10. Chin, M. & Kim, E.(2005). Maternal hardship and income sources among low-income female-headed households with childre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27, 163-188. 

  11. Garrison, M.(1999). Child support policy: Guidelines and goals. Family Law Quarterly, 33, 157-189. 

  12. Giorgi, A.(2004). The early history of phenomenological psychological research in America. Qualitative Research, 5(2), 4-14. 

  13. Kim, B., Kim, K., Park, I., Lee, K., Kim, J., Hong, J., Lee, M., Kim, Y., Yoo, I., & Lee, H.(1999). A comparison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Focused on Giorgi, Colaizzi, Van Kaam Metho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6), 1208-1220. 

  14. Kim, E., Kim, H., & Oh. B.(2010).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on changing of poor single mother selfhelp group. Social Welfare Studies, 41(1), 5-37. 

  15. Kim, H., Byun, H., & Yoon. H.(2008). Womens' divorce and poverty: Focusing on the chianges in occupations and income. Family and Culture, 20(2), 37-63. 

  16. Kim, J.(2008). A study on the searching for meaning in divorce of divorced women. Family and Culture, 20(4), 35-75. 

  17. Kim, K. & Lee, M.(2009). Family resilience in divorced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In case of residents in the institutional facility for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7(1), 89-105. 

  18. Kim, Y. H. & Han, K. H.(2006). Divorced noncustodial fathers' and mothers' contac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re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4(8), 23-32. 

  19. Ko, E. & Kim, J.(2009). A study on the poverty of single parent families. Social Welfare Policy, 36(2), 219-236. 

  20. Kong, S.(2001). The experience of change and adjustment of single mother families. Family and Culture, 13(1), 75-105. 

  21. Ohem, M. & Chun, D.(2006). A study on caregiving burderns and social support about the low-income families of single parents. Social Policy Review, 11, 75-108. 

  22. Ok, S. & Sung. M.(2004a). A study of divorce adjustment of divorced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Focus on life satisfaction and health.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2(11), 167-187. 

  23. Ok, S. & Sung. M.(2004b). Divorce and post-divorce adjustment of divorced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2(12), 141-160. 

  24. Ok, S., Choi, S., Kwon, S., & Kang, E.(2004). The social support network of divorced single mother famili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2(1), 181-191. 

  25. Ok, S., Nam, Y., & Kang, E.(2006). A qualitative study on the divorced people's perception of divorce.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4(1), 223-235. 

  26. Ok, S., Sung, M., Bae, H., & Lee, J.(2002a). A qualitative study on the coping strategies of poor female household head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0(6), 223-243 

  27. Ok, S., Sung, M., Lee, J., & Lee, K.(2002b).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of poor female heads of households: A qualitative analysi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7(3), 55-78. 

  28. Sayer, L.(2006). Economic aspects of divorce and relationship dissolution. In Fine, M. & Harvey, J.(Eds.). Handbook of divorce and relationship dissolution (385-406). Mahwah, New Jersey: Lawrence Erlbaum. 

  29. Seok, J.(2004). Women and poverty in Korea: The feminization of povert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6(2), 167-194. 

  30. Son, J. & Han, G.(2006). Marital quality, barriers to divorce, everyday stress and post-divorce adjustment: Focused on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4(1), 83-102. 

  31. Son, S. & Bauer, J. W.(2010). Employed rural, low-income, single mothers' family and work over time.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31, 107-120. 

  32. Song, C. & Yeo, E.(2010). Decomposing differences of poverty incidence between single-parent and twoparent households: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U.S. Korea Social Policy Review, 17(3), 223-255. 

  33. Song, D.(2006). One-parent family and social right. Social Welfare Policy, 27, 171-199. 

  34. Sung, J.(2003). The study of the divorce policy since 1990's: The case study of Germany, Great Britain, and United States. Journal of Critical Social Welfare, 16, 95-130. 

  35. Sung, M. & Chin, M.(2009). Work and family balance of low-income single mothers from the perspective of parental right. Family and Culture, 21(3), 1-28. 

  36. Um, K. & Yang, S.(2011). A qualitative study on the career interrupted and the child care of married wome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9(1), 21-40. 

  37. Yoon, H.(2004). The role of public and private income transfers to the income status of women who experienced marital disrup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6(2), 5-2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