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임진왜란이후 밀양도호부 읍성의 공간구조 변화
Change of Miryang-Dohobu Eupseong(Town-castle)'s Spatial Structure Sinc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2 no.2, 2013년, pp.43 - 54  

권순강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재)우리문화재연구원) ,  이호열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mpared to Early Chosun Dynasty, the spatial structure of most local Eupseongs of Korea had a standardized change with the expansion and spread of the Rye-hak(禮學:a study of confucius Rite). Meanwhile in the process of rebuilding Eupseongs there was a tendency of reloc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후기 사회는 조선전기보다 정치, 경제, 사회, 군사 제도 등 다방면에서 발전·변화가 있었다, 지방도시 공간구조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 이러한 변화양상은 지방도시 공간구조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조선후기의 지방도시에는 조선전기보다 많은 부속 공해와 창고들이 신설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몇몇의 공해 시설은 축소·소멸되기도 했다. 조선전기 지방도시의 공간구조는 입지 특성과 공해시설의 특수성보다 중앙정부가 계획한 획일적인 도시계획을 따라 건설되었다.
지적원도상의 방리는 어떤기준으로 구분되는가? 지적원도상의 방리는 수계(水系)와 도로를 기준으로 구분되고 있다. 동부리는 아북산의 서남쪽에 발원한 도랑의 右岸으로 밀양읍성의 남북축선상의 동쪽부분에 해당된다.
획일적인 도시 계획이 평산성의 경우 적용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조선전기 지방도시의 공간구조는 입지 특성과 공해시설의 특수성보다 중앙정부가 계획한 획일적인 도시계획을 따라 건설되었다. 이런 획일적인 도시 계획은 평평한 대지에 축조된 평지읍성의 경우 이질감 없이 수용할 수 있지만 平山城의 경우 대지의 고저 차로 인해 자연적 위계가 발생하고 그 위치에 따라 경관에 큰 차이가 발생한다. 또한 읍성공간의 활용 면에도 제약이 많았으며, 획일적인 읍성계획을 수용할 경우 불합리한 공간구조의 형성이 불가피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Miryangmunhwawon(密陽文化院), Miryangji(密陽誌), 2006 

  2. Hamanmunhwawon(咸安文化院), Kyungsangdohamangu nchongseoirok(慶尙道咸安郡叢?錄), 2003. 

  3. Shingjeongdonggukyeojis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4. Joseon-wangjo-silrok(朝鮮王朝實錄) belonging to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5. Shin, Ik-Jeon, Miryangji(密陽志), belonging to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1960 

  6. Bae, Ki -heon, A Study on the Ruling System over the Rural Society in the Later Choson Dynasty, Majoring in Choson Dynasty History Dept . of Korea History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1999 

  7. Miryang -City.Miryang National University Museum, A report on the ancient city walls of Miryang, 2002. 

  8. Lee Hee-kwon, A Study of Local Ruling Administration in Later Choson, 1999. 

  9. Kim, Han-ki, The Spacial Structure and Fuctions of the Local "Do-Eup " in Chosen Dynasty, Geographic Education Maj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Taegu, Korea, 1999 

  10. Lee, Ho-Yeol, A Study on the Historic Changes of Yungnam- Ru in the Historic Periods and Architectural Building Forms,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ty, Vol.9, No.22, 2000 

  11. Ye, Myung-Hae, A preliminary study on Miryang "EUP-SEONG" of Chosen Dynasty(1), The Jou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26, No 2, 1991 

  12. Yeo, Sang-Jin, The Construction and Characteristics Transition of Gaeksa in Joseon Dynasty, Ph.D. Dissertation Department of Architecture The Graduat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