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R 댐퍼를 이용한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승차감 평가
Ride Comfort Evaluation of Electronic Control Suspension Using a Magneto-rheological Damper 원문보기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v.23 no.5, 2013년, pp.463 - 471  

성금길 (School of Mechanical and Automotive Engineering, Yeungnam College of Seicence and Technology) ,  최승복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Inha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s design and control of electronic control suspension(ECS) equipped with controllable magnetorheological(MR) damper for passenger vehicl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 cylindrical type MR fluid damper that satisfies design specification of a middle-sized commercial passenger 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상용 ECS는 모터 및 유압장치 등을 사용하여 댐핑력의 변화를 2~4단으로 조절하는 방식이나, 에너지소비, 구조의 복잡성 및 경제성 등을 이유로 고가의 차량에만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MR(magneto-rheological) 유체를 이용한 댐퍼를 적용하여 새로운 ECS를 제안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MR 댐퍼를 장착한 현가장치의 ECS 적용을 위한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형 승용차의 현가장치에 장착이 가능한 MR 댐퍼를 설계 및 제작하였으며, 자기장 부하에 따른 댐핑력 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MR 댐퍼를 장착한 1/4차량의 지배방정식을 도출하기 위하여, 차량의 차체는 강체로 가정하고, 실제 자동차에서 발생할 수 있는 타이어의 댐핑은 타이어의 강성(kt)에 비하여 무시할 만큼 작으므로 고려하지 않는다는 가정을 통하여 차량에 대한 모델을 단순화하였다. 따라서, 차륜은 비현가질량(unsprung mass, mu)과 타이어 공기압에 따른 강성만을 갖는 모델로 하였다.
  • MR 댐퍼의 모델링을 위하여 MR 유체는 비압축성 유체로 가정하였고, 동일공간에서의 내부압력은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작용하며, 유로 형상에 따른 압력손실은 없다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MR 유체의 유동을 두 평판사이의 유동으로 가정한 유체저항( Re)과 가스챔버의 가스압력에 의한 컴플라이언스(compliance, Cg)는 각각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무엇인가?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승차감과 주행안정성을 결정하는 주요한 장치로서 자동차를 구성하는 중요한 부분이다(1). 일반적으로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댐핑력(damping force)이 낮은 현가장치가 필요로 하나, 이 경우 승차감은 뛰어나지만 급가속, 급제동 및 급선회 등의 경우에는 심한 피치(pitch), 롤(roll) 및 히브(heave) 등의 자세변화로 인하여 주행안정성이 감소되게 된다.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승차감과 주행안정성을 결정하는 주요한 장치로서 자동차를 구성하는 중요한 부분이다(1). 일반적으로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댐핑력(damping force)이 낮은 현가장치가 필요로 하나, 이 경우 승차감은 뛰어나지만 급가속, 급제동 및 급선회 등의 경우에는 심한 피치(pitch), 롤(roll) 및 히브(heave) 등의 자세변화로 인하여 주행안정성이 감소되게 된다. 반면에, 댐핑력이 높은 현가장치의 경우 각종 운전상황에서 발생되는 자동차의 자세변화는 노면점착(ride holding)을 통하여 억제되어 주행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으나, 노면의 진동이 흡수되지 않고 차체에 직접 전달되므로 운전자 및 승객의 승차감이 저하된다.
승차감과 주행안정성 두 가지를 동시에 만족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개발에는 어려움이 있는 이유는?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승차감과 주행안정성을 결정하는 주요한 장치로서 자동차를 구성하는 중요한 부분이다(1). 일반적으로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댐핑력(damping force)이 낮은 현가장치가 필요로 하나, 이 경우 승차감은 뛰어나지만 급가속, 급제동 및 급선회 등의 경우에는 심한 피치(pitch), 롤(roll) 및 히브(heave) 등의 자세변화로 인하여 주행안정성이 감소되게 된다. 반면에, 댐핑력이 높은 현가장치의 경우 각종 운전상황에서 발생되는 자동차의 자세변화는 노면점착(ride holding)을 통하여 억제되어 주행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으나, 노면의 진동이 흡수되지 않고 차체에 직접 전달되므로 운전자 및 승객의 승차감이 저하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승차감과 주행안정성 두 가지를 동시에 만족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개발에는 어려움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Gillespie, T. D., 1992, Fundamentals of Vehicle Dynamics,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PA. 

  2. Carlson, J. D. and Cantanzarite, D. M. and St. Clair, K. A., 1995, Commercial Magneto-rheological Fluid Devices, Proceedings of the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R Fluids, MR Suspensions and Associated Technology, pp. 20-28. 

  3. Spencer Jr., B. F., Dyke, S. J., Sain, M. K. and Carlson, J. D., 1997, Phenomenological Model for a Megnetorheological Damper, Journal of Engineering Mechanics, ASCE, Vol. 123, No. 3, pp. 230-238. 

  4. Kamath, G. M., Wereley, N. M. and Jolly, M. R., 1998, Characterization of Semi-active Magneto-rheological Fluid Lag Mode Damper, Proceedings of the SPIE Conference on Smart Structures and Integrated Systems, SPIE pp. 3329-3337. 

  5. Lee, H. S. and Choi, S. B., 2000, Control and Response Characteristics of a Magnetorheological Fluid Damper for Passenger Vehicles, Journal of Intelligent Material Systems and Structures, Vol. 11, No. 1, pp. 80-87. 

  6. Lee, J. W., Seong, M. S., Woo, J. K. and Choi, S. B., 2012, Modeling and Vibration Control of Small-sized Magneto-rheological Damper,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Vol. 22, No. 11, pp. 1121-1127. 

  7. Sung, K. G. and Choi, S. B., 2008, Optimal Design of Magnetorheological Shock Absorbers for Passenger Vehicle via Finite Element Method,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Vol. 18, No. 2, pp. 169-176. 

  8. Karnopp, D. C., Corsby, M. J. and Harwood, R. A., 1974, Vibration Control Using Semi-active Force Generators, ASME Journal of Engineering for Industry, Vol. 96, No. 2, pp. 619-626. 

  9.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Mechanical Vibration and Shock - Evaluation of Human Exposure to Whole-body Vibration, 1997(ISO2631-1:1997). 

  10. Lin, K. Y., Hwang, J. R., Chang, S. H., Fung, C. P. and Chang, J. M., 2006, System Dynamics and Ride Quality Assessment of Automobile, Society Automotive Engineering, 2006-01-12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