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페놀 폼과 폴리우레탄 폼의 난연 및 내열성 연구
Study on Flame Retardancy and Thermal Resistance Properties of Phenolic Foam and Polyurethane Foam 원문보기

한국가스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17 no.1, 2013년, pp.35 - 41  

이주찬 (한국원자력연구원 핵주기시스템공학기술개발부) ,  서중석 (한국원자력연구원 핵주기시스템공학기술개발부) ,  김상범 (경기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페놀 폼의 난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인계 난연제의 첨가에 따른 페놀 폼과 폴리우레탄 폼의 난연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난연제가 첨가된 페놀 폼과 폴리우레탄 폼을 각각 열분석(TGA)을 통하여 열분해 거동을 알아보았고 Cone calorimeter를 이용하여 열방출량(HRR), 연기발생량(TSR) 및 CO$CO_2$ 발생량과 산소한계지수(Limited oxygen index, LOI)를 통하여 난연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페놀폼이 폴리우레탄 폼에 비해 초기 분해는 빠르지만 $800^{\circ}C$에서 잔존량이 월등히 많았으며 낮은 열방출속도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질량 감소율, 연기발생량도 폴리우레탄 폼보다 낮아 우수한 난연성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flame retardancy of polyurethane foam and phenolic foam were investigated by addition of phosphorous flame retardants. The thermal degradation behavior of polyurethane foam and phenolic foam in the presence of flame retardants has been studied by thermogravimetric analysis(TGA). Hea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H[5].는 콘 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연질 폴리우레탄 폼의 열방출과 구조변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페놀 폼의 난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인계 난연제의 첨가에 따른 페놀 폼과 폴리우레탄 폼의 난연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난연제가 첨가된 페놀 폼과 폴리우레탄 폼을 각각 열분석(TGA)을 통하여 열분해 거동을 알아보았고 Cone calorimeter를 이용하여 열방출량(HRR), 연기발생량(TSR) 및 CO 및 CO2 발생량과 산소한계 지수(Limited oxygen index, LOI)를 통하여 난연성능을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발열량은 연소 시 소비되는 산소 소비량을 측정하여 발열량을 역으로 산출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연소 시 산소 1 kg당 약 13 MJ의 열방출을 한다고 가정하여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계 난연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계 난연제의 성능은 난연제 내의 인 함량에 따라 좌우되는데 일반적으로 인 함량이 높을수록 난연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인과 질소는 char의 형성을 증가시켜 난연 성능에 있어서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인 함량 증가와 인-질소의 복합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지고 있다.
Cone calorimeter의 특징은? 콘 칼로리미터는 산소소비원리를 이용한 시험 장치로서 고분자 재료, 건축재료, 항공기 및 선박용 내장재료, 케이블 등의 연소 특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콘 칼로리미터에 의한 시험방법은 국제규격(ISO, ASTM, NFTM, MIL등)으로 채택되어 있으며 재료 및 제품의 열 방출율(Heat release rate), 유효연소열(Effective heat of combustion), 질량감소율(Mass loss rate), 연기발생량(Total smoke release)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2]. 열 방출량(HRR)은 화재의 성장과 전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화재 특성 평가 시 중요한 요소로서 인식되어지고 있다[3].
폴리우레탄 폼의 일반적인 용도는? 폴리우레탄 폼은 매우 우수한 단열성능을 나타내고 있는 단열재이다. 본 연구에서는 열 중량분석과 콘 칼로리미터 분석을 수행하여 새로이 개발되는 페놀 폼과 폴리우레탄 폼의 내열성능 및 난연 성능을 비교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M. Modesti, L. Zanella, A. Lorenzetti, R. Bertani, M. Gleria,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87, 287 (2005) 

  2. Fire protection system & materials lab, Fire protection technology, 42, 41 (2007) 

  3. V. Babrauskas, S.J. Grayson,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New York, 31 (1992) 

  4. G. W. Lee, G. E. Ki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nece & Engineering, 17, 76 (2003) 

  5. R. H. Kramer, M. Zammarano, G. T. Linteris,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95, 1115 (2010) 

  6. D. Hoang,J. Kim, B. N. Jang, European meeting on fire retardant polymer materials, 2042 (2008) 

  7. V. Babrauskas, S.J. Grayson,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New York, 31 (1992) 

  8. Y. j. Chung, Y. Kim, S. Kim,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15, 888 (2009) 

  9. J. G. Quintire, Principles of Fire Behavior, Chap. 5, Cengage Learning, Delmar, U.S.A. (1998). 

  10. Y. J. Chung, H. M. Lim, E. Jin, and J. K. Oh, Appl. Chem. Eng., 22, 439 (2011) 

  11. M. Delichatsios, B. Paroz, and A. Bhargava, Fire Saf. J., 38, 219 (2003). 

  12. M. J. Spearpoint and G. J. Quintiere, Combust. Flame, 123, 308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