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포제 종류에 따른 페놀 폼의 물성 연구
Effect of Blowing Agents on Properties of Phenolic Foam 원문보기

한국가스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20 no.2, 2016년, pp.30 - 34  

장서윤 (경기대학교 화학공학과) ,  김상범 (경기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LNG나 LPG등과 같은 초저온용 단열재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폼을 대체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레졸형 페놀수지를 사용하여 페놀 폼을 합성하였다. 페놀 수지 발포 폼을 합성하기 위해 HCFC-141b, HFC-365mfc와 HFC-227fa의 혼합물, n-pentane, cyclopentane, n-hexane 및 cyclohexane을 발포제로 사용하여 발포제에 따른 페놀수지 폼의 물성변화를 고찰하였다. 발포제로 cyclohexane을 사용하였을때 가장 우수한 단열성능과 압축강도를 나타내었으며 동일한 발포제를 사용하여 합성한 폴리우레탄 폼과의 내열성을 비교한 결과 폴리우레탄 폼에 비해 매우 우수한 내열성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a phenol foam using a resol-type phenol resin as a research for replacing the polyurethane foam used as an insulator for cryogenic temperature, such as LNG or LPG. Foaming agents for synthesizing a phenolic foam was used HCFC-141b or n-pentane, cyclopentane, n-hexan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LNG선박 및 저장탱크의 보냉재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폼을 대체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발포제를 변화시키면서 페놀 폼을 각각 합성하여 기계적 물성과 열전도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합성된 페놀 폼과 폴리우레탄 폼의 내열성을 비교하여 페놀 폼의 보냉제 사용가능성을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LNG선박 및 저장탱크의 보냉재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폼을 대체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발포제를 변화시키면서 페놀 폼을 각각 합성하여 기계적 물성과 열전도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합성된 페놀 폼과 폴리우레탄 폼의 내열성을 비교하여 페놀 폼의 보냉제 사용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페놀수지는 어떠한 물질들이 반응하여 생성되는가? 페놀수지는 페놀과 포름알데히드가 반응하여 생성되며 촉매로 산과 염기에 각각 반응하며 촉매의 종류에 따라 노볼락(novolac)과 레졸(resole)형태의 수지가 만들어진다.
폴리우레탄 폼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폴리우레탄 단열재는 우수한 기계적강도와 뛰어난 단열성능으로 인해 LNG나 LPG, 에틸렌과 같이 초저온에서 이송하거나 저장해야 하는 물질의 단열재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우레탄 폼은 가연성재료로써 난연성능과 내열성이 취약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폴리우레탄 폼은 가연성재료로써 난연성능과 내열성이 취약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첫번째는 난연제에 의한 난연성능의 향상이다. 이전에 사용되었던 할로겐계 난연제의 사용이 규제되고 있으므로 이를 대체할 인계난연제의 개발이나 난연폴리올 개발 연구등이 진행되고 있다[1-4]. 두번째는 구조에 의한 난연화이다. 폴리우레탄 합성시 과량의 이소시아네이트 첨가를 통해 이소시아누레이트구조를 합성함으로써 난연성능을 올리는 방법이다.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PIR)폼은 단열성능이 폴리우레탄 폼에 비해 우수하며 준 불연급의 난연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구조가 매우 단단하여 내충격성이 약한 취약점을 갖고 있다[5-11]. 세번째는 새로운 단열재의 개발을 통한 폴리우레탄 폼의 대체이다. 에어로젤은 가볍고 뛰어난 단열성능으로 대체 단열재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가격적인 측면에서 아직은 적용에 어려움을 겪고있다. 페놀 폼은 미반응 포름알데히드의 방출과 산경화제 사용으로 인한 철 구조물의 부식문제등으로 사용이 기피되었으나 최근 그 문제가 해소되고 연소시에 할로겐 화합물과 같은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열안전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부각되면서 전세계적으로 페놀수지를 이용한 단열재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2-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D Drysdale, Fire and cellular polymers,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 (1987) 

  2. A. Magnusson, S. Lundmark, A. Andersson, UTECH Europe 2006, 63 (2006) 

  3. Z. Tang, M. Valer, J. M. Anderson, J. W. Miller, M. L. Listemann, P. L. McDaniel, and D. K. Morita, W. R. Furlan, Polymer, 43, 6471, (2002) 

  4. S. V. Levchik, and E. D. Weil, Polym Int., 53, 1585, (2004) 

  5. M. Thirumal, Singha, K. Nikhil, Khastgir, Dipak, J. Appl. Polym. Sci., 116, 2260, (2010) 

  6. L. Jin, M. Dezhu, J. Appl. Polym. Sci., 84, 2206, (2002) 

  7. L. V. Luchkina, A. A. Askadskii, K. A. Bychko, Russ. J. Appl. Chem., 78, 1337, (2005) 

  8. H. Mahfuz, V, K. Rangar, M. S. Islam, S. Jeelani, Composites. Part A, 35, 453, (2004) 

  9. W. Zatorski, Z. K. Brzozowski, A. Kolbrecki, Polym. Degrad. Stab., 93, 2071, (2008) 

  10. M. Thirumal, Dipak Khastgir, Nikhil K. Singha, J. Macromol. Sci.,. Pure Appl. Chem., 46, 704, (2009) 

  11. J. Ni, Q. Tai, H. Lu, Poly. Adv. Technol., 21, 392, (2010) 

  12. J. C. Lee, J. S. Seo, S. B. Kim, KIGAS, 17(1), 35, (2013) 

  13. Asahi Organic Chemicals Industry Co., Ltd., EU Patent EP 2 743 312 A1 (2014) 

  14. (주)엘지하우시스, 대한민국특허, 1020110130524 (2013) 

  15. Kingspan Industrial Insulation Ltd, US Patent, US 6,472,444 B2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