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펄스자기장이 위팔 두갈래근의 지연성 근육통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Treatment Following Experimentally Induced Delayed-Onset Muscle Soreness in Biceps Brachii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20 no.2, 2013년, pp.11 - 19  

강선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박주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전혜선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과) ,  이현숙 (상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한방의료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DOMS) is a painful condition that arises from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after unaccustomed physical activities. Various therapeutic interventions have been applied to reduce the intensity and duration of DOMS-related symptoms. Recently, pulsed electromagnetic fi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지연성 근육통에 대한 펄스 자기장의 치료효과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통증 및 최대 회전력 측정에 국한되어, 다양한 측정변수를 사용하여 지연성 근육통에 대한 펄스 자기장의 치료 효과를 살펴 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통증 척도, 근전도의 중앙주파수와 전기역학적 지연 및 등속성 최대 회전력의 다양한 측정 변수들을 사용하여, 위팔 두갈래근에 인위적인 유도된 지연성 근육통에 대한 펄스 자기장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로는 펄스 자기장 치료를 받은 그룹이 대조군보다 지연성 근육통의 관련된 증상들이 덜 야기될 것이라고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위팔 두갈래근에 지연성 근육통을 유발 시킨 후 펄스 자기장 치료를 적용하여, 24, 48, 72시간 이후의 통증척도와 등속성 최대 회전력 및 근전도의 중앙주파수와 전기 역학적지연 차이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두 그룹을 비교한 결과 중앙주파수, 전기 역학적 지연 차이 및 통증 척도에서 두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기초 선과 시점 별 비교에서는 중앙주파수와 등속성 최대 회전력에서 빠른 회복을 보였다.
  • 본 연구는 근육의 피로도나 스냅스 후 과정 등을 유추할 수 있는 측정 방법인 근전도의 중앙주파수 값과 전기역학적 지연값을 이용하여 지연성 근육통에 대한 펄스 자기장 치료의 생리학적 측면의 변화를 살펴보도록 고안하였다. 또한 기능적인 측면으로 등속성 최대 회전력의 변화 값을 살펴보았으며, 시간당 대상자가 느끼는 통증 척도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실험적으로 유도된 지연성 근육통의 중재 방법으로 펄스 자기장 치료를 적용하여 24, 48, 72시간 이후의 통증 척도와 등속성 최대 회전력 및 근전도의 중앙주파수와 전기역학적 지연에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72시간 동안 두 그룹의 모든 종속변수는 비슷한 변화 양상을 보였으며, 증상의 심각성 정도는 치료군이 대조군 보다 적은 양상을 보였다.
  • 자기장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오랫동안 연구되어왔으며, 특히 18세기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여 오늘날 많은 의료기기에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기장의 많은 자극 방법 중 펄스자기장을 중점으로 연구하였다. 펄스자기장은 일반적으로 정형외과에서 결합이 안 되는 골절 치료를 위해서 사용되어진다.

가설 설정

  • 그러므로 본 연구는 통증 척도, 근전도의 중앙주파수와 전기역학적 지연 및 등속성 최대 회전력의 다양한 측정 변수들을 사용하여, 위팔 두갈래근에 인위적인 유도된 지연성 근육통에 대한 펄스 자기장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로는 펄스 자기장 치료를 받은 그룹이 대조군보다 지연성 근육통의 관련된 증상들이 덜 야기될 것이라고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펄스 자기장(pulsed-electromagnetic field) 치료에 사용한 장비는 어떤 장비인가? 대상자는 매 시점마다 측정을 마친 후, 실험군은 실제 펄스자기장이 인가되는 치료기와 대조군은 실제 펄스자기장이 인가되지 않은 모제품을 사용하여 15분간 처치되었다. 본 펄스자기장 제품은 (주)누가의료기의 누가한방기술연구소에서 개발한 자기장 자극기 OM-100 시제품으로, 특허 출언 및 기술이전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이전 혈류개선 효과 및 적혈구의 형태학적 변화, 혈관탄성도 등 연구들에 의해 효과성이 확인된 제품이다(Lee, 2011; Lee, 2012). 펄스 자기장은 대상자의 가장 통증이 심한 부위위 2 ㎝ 거리에서 수직으로 인가되었으며, 펄스 자기장에 사용된 코일은 10 turn, 12×4.
지연성 근육통이란? 지연성 근육통(delayed onset muscle soreness)이란 익숙하지 않은 신체적 운동이나 활동 이후 흔히 나타나는 통증으로, 일반적으로 근육의 뻣뻣한 느낌과 근력 감소 및 관절 가동 범위의 감소를 유발하여 일상생활에 불편을 초래한다(Cleak과 Estons, 1992). 이러한 근육통은 운동 이후 24시간 이내에 발생되어, 48시간에서 72시간사이에 최대 증상이 보이고, 5일에서 7일 사이에 사라지는 특징을 가진다(Kisner와 Colby, 2007).
지연성 근육통 발생 이후, 근육이 최대 기능을 빠르게 회복시키고, 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실시하는 치료중재 방법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지연성 근육통 발생 이후, 근육이 최대 기능을 빠르게 회복시키고, 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냉치료, 지속적 압박, 초음파, 전기자극, 스트레칭, 마사지, 약물치료등 다양한 치료중재 방법들이 소개되어 왔다. Cheung(2003) 등과 Connolly(2003)등의 지연성 근육통에 대한 고찰 논문에 따르면, 약물치료는 적용 시간과 용량에 의해 다양한 결과 값이 나타나며, 마사지 또한 적용되는 방법이나 시간에 따라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altzopoulos V, Williams JG, Brodie DA. Sources of error in isokinetic dynamometry: Effects of visual feedback on maximum torque.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1;13(3):138-142. 

  2. Cheung K, Hume P, Maxwell L.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Treatment strategies and performance factors. Sports Med. 2003;33(2):145-164. 

  3. Clarkson PM, Hubal MJ.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in humans. Am J Phys Med Rehabil. 2002;81(11 suppl):S52-69. 

  4. Cleak MJ, Eston RG. Muscle soreness, swelling, stiffness and strength loss after intense eccentric exercise. Br J Sports Med. 1992;26(4):267-272. 

  5. Connolly DA, Sayers SP, McHugh MP.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J Strength Cond Res. 2003;17(1):197-208. 

  6. Cram JR, Kasman GS, Holtz J. Introduce to Surface Electromyography. 1st ed. Maryland, Aspen Publisher, 1998;304-305. 

  7. De Luca CJ. Myoelectrical manifestations of localized muscular fatigue in humans. Crit Rev Biomed Eng. 1984;11(4):251-279. 

  8. Fernandez MI, Watson PJ, Rowbotham DJ. Effect of pulsed magnetic field therapy on pain reported by human volunteers in a laboratory model of acute pain. Br J Anaesth. 2007;99(2):266-269. 

  9. Fini M, Giavaresi G, Carpi A, et al. Effects of pulsed electromagnetic fields on articular hyaline cartilage: Review of experimental and clinical studies. Biomed Pharmacother. 2005;59(7):388-394. 

  10. Gallagher EJ, Bijur PE, Latimer C,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visual analog scale for acute abdominal pain in the ED. Am J Emerg Med. 2002;20(4):287-290. 

  11. Gerdle B, Elert J, Henriksson-Larsen K. Muscular fatigue during repeated isokinetic shoulder forward flexions in young females. Eur J Appl Physiol Occup Physiol. 1989;58(6):666-673. 

  12. Gerdle B, Karlsson S. The mean frequency of the EMG of the knee extensors is torque dependent both in the unfatigued and the fatigued states. Clin Physiol. 1994;14(4):419-432. 

  13. Gleeson NP, Mercer TH. The utility of isokinetic dynamometry in the assessment of human muscle function. Sports Med. 1996;21(1):18-34. 

  14. Graak V, Chaudhary S, Bal BS, et al.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in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diabetic polyneuropathy. Int J Diabetes Dev Ctries. 2009;29(2):56-61. 

  15. Horita T, Ishiko T. Relationships between muscle lactate accumulation and surface EMG activities during isokinetic contractions in man. Eur J Appl Physiol Occup Physiol. 1987;56(1):18-23. 

  16. Howatson G. The impact of damaging exercise on electromechanical delay in biceps brachii. J Electromyogr Kinesiol. 2010;20(3):477-481. 

  17. Howatson G, Glaister M, Brouner J, et al. The reliability of electromechanical delay and torque during isometric and concentric isokinetic contractions. J Electromyogr Kinesiol. 2009;19(5): 975-979. 

  18. Kisner C, Colby LA.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5th ed. Philadelphia, PA, F.A. Davis Co., 2007:147-229. 

  19. Lee JY. Studies of bio-information by stimulus of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Sangji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12. 

  20. Lee HS. Effect of pulse magnetic field stimulus on blood flow using digital infrared thermal imaging. Journal of Magnetics. 2011;21(5):180-184. 

  21. Li L, Baum BS. Electromechanical delay estimated by using electromyography during cycling at different pedaling frequencies. J Electromyogr Kinesiol. 2004;14(6):647-652. 

  22. Mayrovitz HN, Larsen PB. Effects of pulsed electromagnetic fields on skin microvascular blood perfusion. Wounds. 1992;4(5):197-202. 

  23. Mizrahi J, Levin O, Aviram A, et al. Muscle fatigue in interrupted stimulation: Effect of partial recovery on force and EMG dynamics. J Electromyogr Kinesiol. 1997;7(1):51-65. 

  24. Nordez A, Gallot T, Catheline S, et al. Electromechanical delay revisited using very high frame rate ultrasound. J Appl Physiol. 2009;106(6):1970-1975. 

  25. Rasmussen C, Rathleff MS, Knudsen C, et al.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therapy reduces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in marathon runners.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y. 13th EFORT. 2013:1-18. 

  26. Sartucci F, Bonfiglio L, Del Seppia C, et al. Changes in pain perception and pain-related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in humans produced by exposure to oscillating magnetic fields. Brain research, 1997;769(2):362-366. 

  27. Shupak NM, McKay JC, Nielson WR, et al. Exposure to a specific pulsed low-frequency magnetic field: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of effects on pain ratings in rheumatoid arthritis and fibromyalgia patients. Pain Res Manag. 2006;11(2):85-90. 

  28. Smith T, Wong-Gibbons D, Maultsby J. Microcirculatory effects of pulsed electromagnetic fields. J Orthop Res. 2004;22:80-84. 

  29. Torres R, Ribeiro F, Alberto Duarte J, et al. Evidence of the physiotherapeutic interventions used currently after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hys Ther Sport. 2012;13(2):101-114. 

  30. Vavken P, Arrich F, Schuhfried O, et al. Effectiveness of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therapy in the management of osteoarthritis of the kne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 Rehabil Med. 2009;41(6):406-411. 

  31. Vinck E, Cagnie B, Coorevits P, et al. Pain reduction by infrared light-emitting diode irradiation: A pilot study on experimentally induced delayed-onset muscle soreness in humans. Lasers in medical science, 2006;21(1):11-18. 

  32. Walsh J, Simonds L, Tiidus P. Pulsed-magnetic field therapy does not influence indices of muscle damage following eccentric exercise: A preliminary study. Medicina Sportiva, 2010;14(4):199-2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