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오톱의 보전가치 평가도구(B-VAT) 개발과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iotop Value Assessment Tool(B-VAT)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6 no.1, 2013년, pp.131 - 145  

조현주 (대전발전연구원 도시기반연구실) ,  나정화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김진효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권오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 to analyze biotop type and carry out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in study areas, Daegu Science Park national industrial complex; to supply basic data for the landscape ecological planning; and to improve the application of assessment model with the development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 중심의 연구에서 탈피하여, 농경지 중심의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지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고, 지구단위 차원에서 세부적인 비오톱 구조분석을 기초로 각 유형별 보전가치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조현주 등, 2010)된 비오톱 보전가치 평가모형을 토대로 ArcGIS상에서 프로그래밍 언어인 비쥬얼베이직6.
  • 본 연구는 대규모 택지개발 사업지인 대구사이언스파크 국가산업단지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여 비오톱 유형을 분류해 보고, ArcGIS상에서 평가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실 사례지에 적용하여 실현가능성과 한계성을 검증해 보는데 가장 큰 의의를 두고 있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2차 평가는 1차 평가에서 도출된 각 비오톱 유형들의 가치평가 결과와 현장부지의 구체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종과 비오톱 보전을 위해 특별히 가치있는 비오톱 공간을 찾아내는 단계로 볼 수 있으며, 다소 추상적인 1차 평가와는 달리 경계가 명확한 실제 현장부지를 대상으로 평가를 수행하였다. 즉, 2차 평가에서는 구체적인 현장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부지 고유의 독특성이 반영될 수 있도록 정성적․서술적으로 다시 한번 평가하여 결과의 실효성 및 활용성을 더욱 높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오톱 지도화는 어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가?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최근 들어서는 경관 훼손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생물서식처 보전, 생태계 불균형 회복을 위한 핵심적 도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비오톱 지도화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나정화, 1997; 조현주 등, 2009; 최주영과 김경호, 2006).
독일의 비오톱 지도화의 의의는? 특히 독일은 1978년 Bayern주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200여개 이상의 대․중․소도시에서 비오톱 지도화를 이미 완료하였거나 추진중에 있다. 이러한 기초자료를 토대로 경관계획의 실질적인 추진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이는 결국 비오톱도면들이 도시 및 국토개발계획과 접목되어 전 국토의 환경친화성을 담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지목별 토지이용현황은 어떠한가? 지목별 토지이용현황은 전․답이 약 41.30%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임야가 19.26%,하천 17.95%, 도로 5.17%, 주거 2.72% 순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생태자연도 등급의 경우, 1등급 지역은 분포하지 않았으나, 2등급 지역이 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 HJ.?JH. Ra?JH. Sagong and YS. Ryu. 2009. The Typ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 Analysis of Biotope in Rural Area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Rural Planning 15(4) : 19-32.(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 Cho, HJ.?HT. Lee?JH. Sagong and JH. Ra. 201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Evaluation Model for Biotope Appraisal in terms of Species and Biotope Preservation.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3(5) : 59-80.(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 Choi, JY. and GH. Kim. 2006. The Study on the Institution of Conservation Area in the Housing Development Site through Biotop Analysis. Journal of Korea Community Development Society 31(3) : 165-173.(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 Dangjin-gun. 2008. Dangjin-gun Ecological Survey research services (biotope map). Dangjin-gun, Korea.(in Korean) 

  5. Farina, A. 1998. Principle and methods in landscape ecology. Londen UK. Chapman and Hall. 

  6. Gwangyang-si. 2006. Biotop Map and Status map produced research reports. Gwangyang-si, Korea.(in Korean) 

  7. Hong, YR.?SJ. Kwon and H. Myeong. 1999. An Assessment Model on Sustainability of Local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7(4) : 1-12.(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8. Jung, EH.?DW. Kim?JW. Ryu?JK. Cha and K. Son. 2008. Evaluation of Spatial Characteristic of Wind Corridor Formation in Daegu Area using Satellite Dat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2) : 73-84.(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9. Katarina, L.?B. Cristina and I. Margareta. 2002. Biotope patterns in urban areas a conceptural model integrating biodiversity issues in spatial planning.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5 : 223-240. 

  10. Kim, JH. and BH. Han. 2006. Biotope-Type Classification Considering Urban Ecosystem Struc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2) : 1-17.(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1. Lee, SC. 1999. Analysis and numerical mapping for urban biotope-Daegu Suseong-gu-. Graduate School Master's degre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2. LOELF. 1987. Biotopkartierung NW und Methodik und Arbeitsanleitung-Recklinghausen. pp. 40-49. 

  13. Makhzoumi, J. M. 2000. Landscape ecology as a foundation for landscape architecture : application in Malt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0 : 167-177. 

  14. Ministry of Environment. 2008. Biotope type of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techniques developed 1st year report.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in Korean) 

  15. Naveh, Z. and A. Lieberman. 1994. Landscape ecology ; Theory and application. New York : Springer-Verlag. 

  16. Park, CJ. 2011. Visual Landscape Evaluation o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Based on Biotope Classification. Graduate School Master's degre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7. Ra, JH. 1997. A study on the urban mapping (UBM) and a building of biotope information system (BIS) as a specialized tool in urban landscape planning (1)-.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5(2) : 133-145.(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8. Ra, JH. 2005. Explore a new methodology of landscape ecology research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3(4) : 45-70.(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9. Ra, JH. and HJ. Do. 2003. The Evaluation and Analysis of Structure of Biotope of City Center Area -In the case of Daegu district-.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6(5) : 9-20.(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0. Seongnam-si. 2004. Biotope rating and urban ecological status(Biotop Map) GIS Building. Seongnam-si, Kora.(in Korean) 

  21. Seoul. 2000. Seoul Biotope Survey and ecological urban development guidelines for establishing the applicability of the concept of urban ecology in urban planning : Guidelines for Ecological Residential Complex in-1st year report. Seoul, Korea.(in Korean) 

  22. Zonneveld, I. S. 1989. Land unit : a fundamental concept in landscape ecology and its applications. Landscape Ecology 3 : 67-8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