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시설 아동의 감염성 질환 예방 관리를 위한 한의사 주치의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omprehensive Health Care Program for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in Child Care Centers by Doctor of Korean Medicine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0 no.1, 2013년, pp.65 - 81  

박지민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박민정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조병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nd evaluate comprehensive health care program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 and promote health in child-care centers by Doctor of Korean medicine.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study was conducted on 568 chil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보육시설 아동의 감염성 질환 예방 관리와 건강증진을 도모함에 있어 전문 의료인력인 한의사가 보육시설에 주치의로 연계됨으로써 한의약적 대처와 건강 관리 행위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보육시설 아동의 감염성 질환 예방과 관리, 나아가 건강 증진을 위하여 한의사가 주치의로 연계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그 효과를 비동등성 대조군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과 비교하는 유사실험연구로 진행하였다. 독립변수는 보육시설 한의사 주치의 프로그램이며 결과변수는 보육시설 아동의 감염성 질환으로 인한 의료이용, 기능적 상태 및 교사의 감염에 대한 태도이다.
  • 본 연구는 보육시설 아동의 상견 감염성 질환 관리를 중심으로 보육시설 한의사 주치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적용하고, 비동등성 대조군과 비교하는 유사실험연구 설계로 이중차이(DID)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 결과를 효과적으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중재에 의해 아동의 감염성 질환으로 인한 의료이용이 유의하지는 않지만 감소하였고, 기능적 상태는 유의한 개선을 보였으며, 학부모들의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다.
  •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을 이용하여 무작위배정에 의한 실험설계에 비해 선택편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약점을 극복하고자 대조군 보육시설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선택편의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에서도 관측 불가능한 시불변변수에서 기인하는 선택편의에 의해 발생 가능한 결과의 편견을 DID 방법을 적용해 통제하였다. 하지만 제한적으로나마 프로그램 중재 전후 관측 불가능한 요인을 완전히 통제할 수 없었다.
  • DID 방법은 두 집단에 시간의 흐름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전부 공통적이며, 각 그룹의 규모와 구성이 프로그램 시행으로 인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Blundell & Dias, 2008).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 보육시설을 선정함에 있어 실험군과 같은 구 또는 시 단위에 위치하며 유형과 규모가 최대한 유사한 대조군을 배정함으로써 DID 분석을 적용하는 전제 조건에 부합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Huskins (2000)가 선행 연구들의 효과 평가에서 지적한 방법론적인 약점을 일부 극복하였다.
  • 연구 방법론에 있어서는 프로그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선택편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유사실험연구의 일종인 DID 방법을 통해 초기 동질성을 보정하고 공통적인 추세 효과를 효과적으로 통제하고자 하였다. DID 방법은 설문 자료를 이용하여 특정 정책에 대한 개인들의 행태적 반응을 직접적으로 확인하는 자연적 실험(natural experiment) 방법이라는 점에서 정책평가도구로써 매우 유용하게 평가된다(Kwon & Kim, 2009).
  • 따라서 治未病은 未病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와 치료로 보다 더 나은 건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기능적 이상을 포함한 개개인의 상태에 따른 맞춤식 건강관리 방법으로도 볼 수 있다(Lee, 2004). 이러한 개념에 입각하여 본 프로그램에서는 보육시설의 부모와 교사에 대한 예방교육을 실시하고 아동의 건강 상태를 검진하여 확인하는 한편, 본격적인 질병에 이환되기 전 초기 증상의 발생 단계에서 교사가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한의학적 관리를 통합하여 실행하였다.
  • , 2011)에 부합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중재 프로그램은 사전 예방과 조기 관리가 중요한 영유아의 건강 특성에 따라 한의학적 질병관에 기초한 건강증진을 의미하는 養生과 治未病의 개념 하에 진행되었다. 한의학에서 養生은 그 목적하는 바와 방법적인 면에서 현재의 건강증진의 개념과 매우 유사하며, 治未病은 보다 적극적인 형태의 건강증진으로 볼 수 있다(Lee et al.
  •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를 위해 DID 분석을 이용하는 본 연구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초기 동질성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기에 보육시설 및 아동의 관측 가능한 상기 일반적 특성 이외에도 중재 이전의 건강 상태, 특히 흔한 감염 관련 증상의 발생빈도를 통해 두 군의 사전 동질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호흡기, 소화기, 기타 감염성 질환의 상견 증상 총 15가지에 대하여 지난 2주간의 발생빈도를 조사하고 χ2-test 로 동질성 검정을 시행한 결과, 콧물(noserun) 증상이 실험군에서 더 많았으며 이를 제외하고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치의 제도란 무엇인가? 보육시설 영유아의 건강관리를 위해 전문 의료인력과 보육시설 연계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2012년 6월 보건복지부에서는 어린이집 전담 주치의제 도입 계획을 발표하였다. 주치의 제도란 보건의료 서비스의 지속성 유지와 향상을 목표로 일차의료 수준의 포괄적인 의료서비스를 제도화한 것으로(Choi, 2006), 주치의는 보건의료체계 상에서 일차 진료의로서의 역할뿐 아니라 예방 및 건강증진을 위한 서비스도 지속적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어린이집 주치의는 영유아의 각종 질환 등을 예방, 조기 치료하고 영유아의 건강검진과 예방진료, 교육 등의 서비스를 담당하게 된다.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아동이 일반 가정의 아동보다 감염에 대한 이환율이 더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와 정부의 보육시설 확충이 맞물려 과거에 비해 이른 나이에, 장시간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아동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보육시설은 많은 아동이 밀집해 있어 직접 접촉으로 인한 감염성 질환의 발생이 용이하기 때문에(Thacker, Addiss, Goodman, Holloway, & Spencer, 1992),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아동이 일반 가정의 아동보다 감염에 대한 이환율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Bell et al., 1989; Berg, Shapiro, & Capobianco, 1991;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984; Haskins & Kotch, 1986, Henderson, Gilligan, Wait, & Goff, 1988; Klein, 1986; Wald, Guerra, & Byers, 1991).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아동의 주요 건강문제로 보고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 1989; Berg, Shapiro, & Capobianco, 1991;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984; Haskins & Kotch, 1986, Henderson, Gilligan, Wait, & Goff, 1988; Klein, 1986; Wald, Guerra, & Byers, 1991). 그 중에서도 호흡기와 소화기 전염성 질환은 보육시설 영유아의 주요 건강문제로 보고되고 있다(Hall, Kirk, Ashbolt, Stafford, & Lalor, 2006; Lim et al., 2003; McCutcheon & Fitzgerald, 2001; Yang, Kim, Lee, Sin, & Sho, 2009). 특히, 영유아기는 면역계의 발달이 미숙하여 처음으로 보육시설 등의 집단 생활을 경험하는 경우 감염성 질환에 더욱 취약한 양상을 보인다(Engman, Bornehag, Sundel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Alkon, A., & Boyce, J. C. (1999). Health assessment in child care centers: parent and staff perceptions. Paediatric Nursing, 25(4), 439-442. 

  2. Alkon, A., Farrer, J., & Bernzweig, J. (2004). Child care health consultants' roles and responsibilities: focus group findings. Pediatric Nursing, 30(4), 315-321. 

  3. Aronson, S. S., & Aiken, L. S. (1980). Compliance of child care programs with health and safety standard: impact of program evaluation and advocate training. Pediatrics, 65(2), 318-325. 

  4. Bell, D. M., Gleiber, D. W., Mercer, A. A., Phifer, R., Guinter, R. H., Cohen, A. J., ... Narayanan, M. (1989). Illness associated with child day care: a study of incidence and cost.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79(4), 479-484. 

  5. Berg, A. T., Shapiro, E. D., & Capobianco, L. A. (1991). Group day care and the risk of serious infectious illnesse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33(2), 154-163. 

  6. Blundell, R., & Dias, M. C. (2008). Alternative approaches to evaluation in empirical microeconomics. The Institute for the Study of Labor, Discussion Paper No.3800. 

  7. Butz, A. M., Larson, E., Fosarelli, P., & Yolken, R. (1990). Occurrence of infectious symptoms in children in day care home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18(6), 347-353. 

  8. Carabin, H., Gyorkos, T. W., Soto, J. C., Joseph, L., Payment, P., & Collet, J. P. (1999). Effectiveness of a training program in reducing infections in toddlers attending day care centers. Epidemiology, 10(3), 219-227. 

  9.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984). Public health considerations of infectious diseases in child day care centers. The child day care infectious disease study group. The Journal of Pediatrics, 105(5), 683-701. 

  10. Choi, N. Y., Jeon, M. Y., Seo, H. M., Suk, J. W., Kim, M. S., & Jeong, H. C.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ombined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6(4), 314-323. 

  11. Choi, Y. J. (2006). A study on the continuity of primary care among the child and adolescent patients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2. Cordell, R. L., Waterman, S. H., Chang, A., Saruwatari, M., Brown, M., & Solomon, S. L. (1999). Provider-reported illness and absence due to illness among children attending child-care homes and centers in San Diego, Calif.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53(3), 275-280. 

  13. Crowley, A. A. (2000). Child care health consultation: the connecticut experience. Maternal and Child Health Journal, 4(1), 67-75. 

  14. Crowley, A. A., & Sabatelli R. M. (2008). Collaborative childcare health consultation: a conceptual model. Journal for Specialists in Pediatric Nursing, 13(2), 74-88. 

  15. Gaines, S. K., Wold, J. L., Spencer, L., & Leary, J. M. (2005). Assessing the need for child-care health consultants. Public Health Nursing, 22(1), 8-16. 

  16. Gupta, R. S., Shuman, S., Taveras, E. M., Kulldorff, M., & Finkelstein, J. A. (2005). Opportunities for health promotion education in child care. Pediatrics, 116(4), 499-505. 

  17. Hangered-Engman, L., Bornehag, C. G., Sundell, J., & Aberg, N. (2006). Day-care attendance and increased risk for respiratory and allergic symptoms in preschool age. European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61(4), 447-453 

  18. Hall, G. V., Kirk, M. D., Ashbolt, R., Stafford, R., & Lalor, K. (2006). Frequency of infectious gastrointestinal illness in Australia, 2002: regional, seasonal and demographic variation. Epidemiology and Infection, 134(1), 111-118. 

  19. Han, D. W., Lee, I. S., Jung, C. B., Park, H. M., Kim, Y. S., Jang, Y. H., ... Han, J. H. (2009). Evaluat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 using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nd development of standard manual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the program(policy-09-16). Seoul, Korea: Hanyang University & Health Promotion Support Division. 

  20. Haskins, R., & Kotch, J. (1986). Day care and illness: evidence, cost, and public policy. Pediatrics, 77, 951-982. 

  21. Henderson, F. W., Gilligan, P. H., Wait, K., & Goff, D. A. (1988). Nasopharyngeal carriage of antibiotic-resistant pneumococci by children in group day care. Th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157(2), 256-263. 

  22. Hurwitz, E. S., Gunn, W. J., Pinsky, P. F., & Schonberger, L. B. (1991). Risk of respiratory illness associated with day-care attendance: a nationwide study. Pediatrics, 87(1), 62-69. 

  23. Huskins, W. C. (2000). Transmission and control of infections in out-of-home child care. The Pediatric Infectious Disease Journal, 19(10), 106-110. 

  24. Kim, H. S. (2005 May).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preschoolers in health centers connected to day-care centers.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155-179. 

  25. Kim, H. S., Ra, J. S., Lee, H. J., & Choi, E. K. (2008). Health management status of day 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4(3), 295-304. 

  26. Kim, I. O., Kim, Y. H., Park, J. S., Kim, S. J., Oh, S. E., Chang, G. J., & Yang, E. Y. (2011). Effect of the early childhood health care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in child 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5(1), 84-94. 

  27. Kim, J. S. (2007). The effect of an infection prevention program in child day-care cent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8. Kim, J. W., & Lee, J. Y. (2011). Correlations between the amount of time spent in child care centers and children's daily stress levels. Journal of The Korean Economics Association, 49(9), 121-130. 

  29. Kim, S. J., Lee, J. E., Yang, S. O., Kang, K. A., Chang, E. Y., Oh, K. S., . . . Kim, S. H. (2011). Perception of child day care center teachers on issues and needs in child health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7(1), 10-21. 

  30. Klein, J. O. (1986). Infectious diseases and day care. Review of Infectious Diseases, 8(4), 521-526. 

  31. Kotch, J. B., Weigle, K. A., Weber, D. J., Clifford R. M., Harms, T. O., Loda, F. A., . . . McMurray, M. P. (1994). Evaluation of an hygienic intervention in child day-care centers. Pediatrics, 94, 991-994. 

  32. Krilov, L. R., Barone, S. R., Mandel, F. S., Cusack, T. M., Gaber, D. J., & Rubino, J. R. (1996). Impact of an infection control program in a specialized preschool.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4(3), 167-173. 

  33. Kwon, H. J., Cho, Y. U., & Ko, J. Y. (2011). The effects of long-term care insurance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in family relationships: The DD Method combined with propensity score matching.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3(4), 301-326. 

  34. Kwon, H. J., & Kim, D. C. (2009). Local incentive effect of criterion change in the earning test in 2006. Journal of Insurance Studies, 20(3), 161-199. 

  35. Lee, S. D., Kim, M. D., Lee, Y. B., Bang, J. K., Yoo, J. S., Park, H. M., & Han, Y. J. (2007).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school health improvement by traditional Korean medicine(06-21). Seoul, Korea: Sangji University & Health Promotion Support Division. 

  36. Lee, S. J. (2004). A Study on the method of health promotion in Korean medicine: correlation between night-shift work and yin-deficienc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37. Lim, N. Y., Kim, J. H., Jun, J. J., Jung, M. H., Kim, B. H., Yoo, E. K., . . . Tak, Y. R. (2003). Model development of a health promotion center of infant & toddler. The Korean Nurse, 42(5), 74-82. 

  38. McCutcheon, H., & Fitzgerald, M. (2001). The public health problem of acute respiratory illness in childcar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0(3), 305-310. 

  3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11). Development of manual on health care in daycare centers(11-1352000-000286-14). Seoul, Korea: Author. 

  4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Guide for public health program using traditional Korean medicine. Seoul, Korea: Author. 

  41. OMara, L. M., & Chambers, L. W. (1992). How can local health agencies improve health knowledge and skills of child care centre operators?. Cana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83(3), 208-212. 

  42. Park, E. S., Moon, Y. H., Kim, Y. H., Choi, K. H., & Jang, D. W. (2012). A study for management and effects of childrens care program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n public health center.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ine, 33(1), 52-67. 

  43. Roberts, L., Smith, W., Jorm, L., Patel, M., Douglas, R. M., & McGilchrist, C. (2000). Effect of infection control measures on the frequency of upper respiratory infection in child car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ediatrics, 105, 738-742. 

  44. Seo, H. M., Jeon, M. Y., & Choi, N. Y. (2009). Health knowledge, health-guidance execution and health-education needs of parents of preschoole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3(2), 207-218. 

  45. Sher, L. (2004). Daily hassles, cortisol, and the pathogenesis of depression. Medical Hypotheses, 62(2), 198-202. 

  46. Thacker, S. B., Addiss, D. G., Goodman, R. A., Holloway, B. R., & Spencer, H. C. (1992). Infectious diseases and injuries in child day care. Opportunities for healthier childre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68(13), 1720-1726. 

  47. Uhari, M., & Mottonen, M. (1999). An ope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infection prevention in child day-care centers. The Pediatric Infectious Disease Journal, 18(8), 672-677. 

  48. Wald, E. R., Guerra, N., & Byers, C. (1991). Frequency and severity of infections in day care: three-year follow-up. The Journal of Pediatrics, 118, 509-514. 

  49. Wilson, I. B., & Cleary, P. D. (1995). Linking clinical variables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 conceptual model of patient outcomes.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73(1), 59-65. 

  50. Yang, S. O., Kim, S. J., Lee, S. H., Sin, H. L., & Sho, W. K.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olicy and strategies for health management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facility. Seoul, Korea: Hallym University & Health Promotion Support Divisi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