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도 고정 유무에 따른 공기역학, 음성효율성 및 성대접촉률 차이
Aerodynamic Characteristics, Vocal Efficiency, and Closed Quotient Differences according to Fundamental Frequency Fixation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5 no.1, 2013년, pp.19 - 26  

김재옥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언어치료교육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subglottal pressure (Ps) and mean airflow rate (MFR)), fundamental frequency (Fo), intensity (I), vocal efficiency (VE), and closed quotient (CQ) were compared during a sustained vowel /o/ sound under three conditions: in a comfortable loudness and pitch level (con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하여 기본주파수와 음성 강도를 여러 조건 하에 두고 각 조건에 따른 공기역학, 음성효율성 및 성대접촉률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각 조건에 따라 음성효율성과 성대접촉률에 영향을 미치는 음향학적 및 공기역학적 요인들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음성 산출의 매커니즘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음도 고정 유무에 따라 음성 강도를 다르게 했을 때 공기역학, 음성효율성 및 성대접촉률의 차이를 비교하고, 공기역학이 음성효율성과 성대접촉률을 얼마나 예측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음성효율성은 음성 강도와 성문하압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으며 음성 강도가 상승할수록 그에 따르는 기본주파수의 영향도 함께 받는다는 것을 알 수있었다.
  • 본 연구는 음성 강도를 증가시킬 때 생리적으로 동반 상승 되는 음도의 고정 유무에 따라 공기역학 및 그에 따른 음성효율성과 성대접촉률이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공기역학적 검사와 EGG를 통해 살펴보았다
  • 이에 본 연구는 정상 음성을 산출할 때 음성강도, 성문하압, 호기류율 외에 음성효율성과 성대접촉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음도를 조절함으로써 이들이 정상 발성 메커니즘에 어떠한 영향이 초래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기본주파수와 음성 강도를 여러 조건 하에 두고 각 조건에 따른 공기역학, 음성효율성 및 성대접촉률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듣기 좋은 음성이 산출되려면 무엇이 높아야하는가? 이 성대음이 성도를 통과할 때 성도의 길이와 모양에 의해 변형되고, 최종적으로 입술로부터 외부로 전파되는 음향에너지(acoustic power)로 전환되는데, 이 때 호기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음향에너지로 전환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음성효율성(vocal efficiency)이라고 한다[1]. 음성효율성이 높아야 듣기 좋은 음성이 산출될 수 있다.
음도 고정 유무에 따라 음성 강도를 다르게 했을 때 공기역학, 음성효율성 및 성대접촉률의 차이를 비교하고, 공기역학이 음성효율성과 성대접촉률을 얼마나 예측할 수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음도 고정 유무에 따라 음성 강도를 다르게 했을 때 공기역학, 음성효율성 및 성대접촉률의 차이를 비교하고, 공기역학이 음성효율성과 성대접촉률을 얼마나 예측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음성효율성은 음성 강도와 성문하압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으며 음성 강도가 상승할수록 그에 따르는 기본주파수의 영향도 함께 받는다는 것을 알 수있었다. 다시 말해 성문하압의 증가와 기본주파수의 증가가 동시에 발생할 때 가장 효율적으로 높은 음성 강도를 산출할수 있고, 이 때 음성효율성이 더 높아다는 것이다. 또한 호기류율은 음도 고정의 유무에 상관없이 음성효율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성대접촉률은 음성 강도가 상승할 때 상승하지만 그 외 다른 공기역학적 변수들에 의해서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음성 생성의 원리는 무엇인가? 음성 생성의 원리를 살펴보면, 근탄력 공기역학 이론(myoelastic-aerodynamic theory)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성대 내전근들의 수축에 의해 성문이 폐쇄되면서 호흡기 체계에 의해 생성된 호기가 성문에 도달하게 되면 성문하부의 압력(성문하압, subglottal pressure)이 상승하여 성대가 열리게 되고, 성대의 탄성(elasticity)과 베르누이 효과(Bernoulli effect)의 상호작용에 의해 성문이 다시 닫히게 된다. 이러한 연속적 과정에 의해 성문의 개폐가 반복되고 그 결과로 성대음(glottal sound) 이 생성된다. 이 성대음이 성도를 통과할 때 성도의 길이와 모양에 의해 변형되고, 최종적으로 입술로부터 외부로 전파되는 음향에너지(acoustic power)로 전환되는데, 이 때 호기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음향에너지로 전환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음성효율성(vocal efficiency)이라고 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Tang, J., & Stathopoulos, E. T. (1995). Vocal efficiency as a function of vocal intensity: A study o f children, women, and men. Journal of Acoustic Society of America 97, 1885-1982. 

  2. Jiang, J., Stern, J., Chen, H., & Solomon, N. P. (2004). Vocal efficiency measurements in subjects with vocal polyps and nodules: A preliminary report. The Annals of Otology, Rhinology, and Laryngology 113, 277-282. 

  3. Titze, I. R. (1992). Vocal efficiency. Journal of Voice 6, 135-138. 

  4. Agresti, A. & Finlay, B. (1999). Statistical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3rd ed. Prentice Hall: NJ. 

  5. Grillo, E. U. & Verdolini, K. (2008). Evidence for distinguishing pressed, normal, resonant, and breathy voice qualities by laryngeal resistance and vocal efficiency in vocally trained subjects. Journal of Voice 21(5), 546-552. 

  6. Titze, I. R. (1989). Physiologic and acoustic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voices. Journal of Acoustic Society of America 85, 1699-1707. 

  7. Hillman, R. E., Holmberg, E. B., Perkell, J. S., Walsh, M., & Vaughan, C. (1989). Objective assessment of vocal hyperfunction: an experimental framework and initial resul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2, 373-392. 

  8. Titze I. R. & Sundberg J. (1992). Vocal intensity in speakers and singers. Journal of Acoustic Society of America 91, 2936-2946. 

  9. Brockmann, M., Storck, C. , Carding, P. N., Drinnan, M. J. (2008). Voice loudness and gender effects on jitter and shimmer in healthy adul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1, 1152-1160. 

  10. Homberg, E. B., Hillman, R. E., Perkell, J. S. (1988). Glottal airflow and transglottal air pressure measurements for male and female speaker in soft, normal, and loud voice. Journal of Acoustic Society of America 84, 511-529. 

  11. Sundberg, J., Titze, I., Scherer, R. (1993). Phonatory control in male singing: a study of the effects of subglottal pressure, fundamental frequency, and mode of phonation on the voice source. Journal of Voice 7, 15-29. 

  12. Choi, S. H., Nam, D. H., Kim, D. W., Kim, Y. H., Choi, H. S. (2006). Characteristics of Phonatory and Respiratory Control on Pitch, Loudness, Register Change in Untrained and Trained Singer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ogopedics and Phoniatrics 17(2), 115-126. (최성희, 남도현, 김덕원, 김영호, 최홍식 (2006). 성악가와 훈 련받지 않은 일반인의 음도, 강도, 성구변화 시 발성 및 호흡조절 특성. 대한음성언어의학회지 17(2), 115-126.) 

  13. Jung, S. M. (1998). Vocal efficiency measures in classically trained western singer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ogopedics and Phoniatrics 9, 43-46. (정성민 (1998). 서양음악을 전공으로 하는 성악인에서의 음 성효율 측정. 대한음성언어의학회지 9호, 43-46.) 

  14. Sulter, A. M. & Wit, H. P. (1996). Glottal volume velocity waveform characteristics in subjects with and without vocal training, related to gender, sound intensity, fundamental frequency, and age. Journal of Acoustic Society of America 100(5), 3360-3373. 

  15. Berke, G. S., Hanson, D. G., Gerratt, B. R., Trapp, T. K., Macagba, C., & Natividad, M. (1990). The effect of air flow and medial adductory compression on vocal efficiency and glottal vibration. Otolaryngology-Head Neck Surgery 102(3), 212-218. 

  16. Pederson, M. F. (1977). Electroglottography compared with synchronized stroboscopy in normal person.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29, 191-219. 

  17. Agresti, A. & Binlay, B. (1999). Statistical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3rd ed. NJ: Prentice Hall. 

  18. Plant, R. L. & Younger, R. M. (2000). The interrelationship of subglottic air pressure, fundamental frequency, and vocal intensity during speech. Journal of Voice 14(2), 170-177. 

  19. Titze, I. (1989). On the relation between subglottal pressure and fundamental frequency in phonation. Journal of Acoustic Society of America 85(2), 901-906. 

  20. Sundberg, J., Titze, I., & Sherer, R. (1993). Phonatory control in male singing: a study of the effects of subglottal pressure, fundamental frequency, and mode of phonation on the voice source. Journal of Voice 7, 15-29. 

  21. Sundberg, J., Andersson, M. & Hultqvist, C. (1999). Effects of subglottal pressure variation on professional baritone singers' voice sources. Journal of Acoustic Society of America 105(3), 1965-1971. 

  22. Nam, D. H., Paik, J. Y., Kim, J. O., Park, S. Y., & Choi, H. S. (2007). Changes in aerodynamic function and closed quotient with the variable pitch and loudness in male classic singers. Speech Sciences 14(2), 23-33. (남도현, 백재연, 김재옥, 박선영, 최홍식 (2007). 남성 성악가 의 음도고정시 강도 변화와 강도고정시 음도 변화의 공기역 학 및 성대접촉율의 변화. 음성과학 14(2), 23-33.) 

  23. Jin, Y., Pyo, H. W., & Choi, H. (1996). Evaluation of vocal efficiency for the polyps and nodule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ogopedics and Phoniatrics 7(1), 56-60. (진용대, 표화영, 최홍식 (1996). Evaluation of vocal efficiency for the polyps and nodules. 대한음성언어의학회지 7(1), 56-60.) 

  24. Higgins, M. B. & Saxman, J. H. (1991). A comparison of selected phonatory behaviors of healthy aged and young adul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4, 1000-1010. 

  25. Orlikoff, R. F. (1991). Assessment of the dynamics of vocal fold contact from the electroglottogram: Data from normal male subjec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4, 1066-1072. 

  26. Sapienza, C. M., Stathopoulos, E. T., & Dromey, C. (1998). Approximation of open quotient and speed quotient from glottal airflow and EGG waveforms: Effects of measurement criteria and sound pressure level. Journal of Voice 12(1), 31-43. 

  27. Sundberg. J. & Hogset, C. (2001). Voice source differences between falsetto and modal registers in counter tenors and baritones. Logopedics Phoniatrics Vocology 26, 26-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