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음복잡성 및 조음중증도에 따른 마비말장애인의 자음정확도와 말명료도
Effects of Phonetic Complexity and Articulatory Severity on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 and Speech Intelligibility in Adults with Dysarthria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5 no.1, 2013년, pp.39 - 46  

송한내 (이화여자대학교) ,  이영미 (우송대학교) ,  심현섭 (이화여자대학교) ,  성지은 (이화여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honetic complexity and articulatory severity on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 (PCC) and speech intelligibility in adults with dysarthria. Speech samples of thirty-two words from APAC (Assessment of Phonology and Articulation of Children) were collected from 38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마비말장애인의 발화에 대한 조음 복잡성 수준과 조음중증도에 따라 자음정확도와 말명료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조음증증도가 경도, 경도-중등도 집단 별로 조음복잡성에 따른 자음정확도와 말명료도에 상관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조음복잡성과 조음중증도에 따른 마비말장애인의 자음정확도와 말명료도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조음중증도 집단 별로 조음복잡성에 따른 자음정확도와 말명료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 조음중증도와 조음복잡성이 말명료도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혼합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에 제시하였다.
  • 조음중증도와 조음복잡성이 자음정확도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혼합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에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경계 결함으로 인해 조음과 관련한 운동조절 능력에 제한이 있는 마비말장애인의 경우에도 음운구조의 복잡성이 이들의 말 산출과 말명료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복잡한 음운구조는 단어 내 개별 분절음의 산출을 어렵게 만들어서 전반적인 조음 산출에 영향을 미친다(김영은·최성은·박상희, 2006). 말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음운, 음성학적으로 복잡한 단어를 산출할 때 운동 프로그래밍을 계획하고 운동 조절하는데 부담을 주어 조음오류를 야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신경계 결함으로 인해 조음과 관련한 운동조절 능력에 제한이 있는 마비말장애인의 경우에도 음운구조의 복잡성이 이들의 말 산출과 말명료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마비말장애란 무엇인가? 마비말장애(dysarthria)는 중추신경계 혹은 말초신경계의 손상에 기인하여 말 산출과 관련된 운동 조절에 문제로 나타나는 모든 말장애(speech disorder)를 말한다(Darley, Aronson, & Brown, 1969). 마비말장애의 언어적 진단과 치료에서 일반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지표가 말명료도(speech intelligibility)이며(김수진, 2001), 말명료도는 화자(speaker)가 의도한 메시지를 청자(listener)에게 전달하여 의사소통에 성공한 정도로 구어수행기능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고 기록하는 도구로도 쓰여왔다(Kent, Weismer & Kent, 1989; Yorkston et al.
마비말장애의 언어적 진단과 치료에서 일반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지표는 무엇인가? 마비말장애(dysarthria)는 중추신경계 혹은 말초신경계의 손상에 기인하여 말 산출과 관련된 운동 조절에 문제로 나타나는 모든 말장애(speech disorder)를 말한다(Darley, Aronson, & Brown, 1969). 마비말장애의 언어적 진단과 치료에서 일반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지표가 말명료도(speech intelligibility)이며(김수진, 2001), 말명료도는 화자(speaker)가 의도한 메시지를 청자(listener)에게 전달하여 의사소통에 성공한 정도로 구어수행기능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고 기록하는 도구로도 쓰여왔다(Kent, Weismer & Kent, 1989; Yorkston et al.,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Darley, F. L., Aronson, A. E., & Brown, J. R. (1969). Clusters of deviant speech dimensions in the dysarthria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12, 462-496. 

  2. Doyle, P., Leeper, H., Kotler, A., Thomas-Stonell, N., O'Neill, C., Dylke, M., & Rolls, K. (1997). Dysarthric speech: A comparison of computerized speech recognition and listener intelligibility.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34, 309-316. 

  3. Ellis, L. W., & Fucci, D. J. (1992). Effects of listeners' experience on two measures of intelligibility. Perceptual and Motor Skills, 74, 1099-1104. 

  4. Ferrier, L., Shane, H., Ballard, H., Carpenter, T., & Benoit, A. (1995). Dysarthric speakers' intelligibility and speech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computer speech recognitio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11, 165-173. 

  5. Han, J. S. (2009).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in children with cleft palate.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4, 183-199. (한진순 (2009). 구개열 아동의 자음정확도,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 간의 상관연구. 언어청각장애연구, 14, 183-199). 

  6. Hustad, K. C. (2006). A closer look at transcription intelligibility for speakers with dysarthria: evaluation of scoring paradigms and linguistic errors made by listener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5, 268-277. 

  7. Hustad, K. C. (2006). Estimating the intelligibility of speakers with dysarthria, Folia Phoniatrca et Logopaedica, 58, 217-228. 

  8. Hustad, K. C.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listener comprehension and intelligibility scores for speakers with dysarthria.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51, 562-573. 

  9. Jarman, R. F. (1980). Cognitive processes and syntactical structure: Analysis of paradigmatic and syntactic associations. Psychological Research, 41, 153-167. 

  10. Kent, R. D. (1992). The biology of phonological development. In C. Ferguson, L. Menn, & C. Stoel-Gammon (Eds.), Phonological development: models, research, implications (pp. 65-90). Timonium, MD: York Press. 

  11. Kent, R. D., Weismer G., & Kent, J. F. (1989). Toward phonetic intelligibility testing in dysarthria.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54, 482-499. 

  12. Kim, H., Martin, K., Hasegawa-Johnson, M., & Perlman, A. (2010). Frequency of consonant articulation errors in dysarthric speech. Clinical Linguistics and Phonetics, 24, 759-770. 

  13. Kim, M. J., Bae, S. Y., & Park, C. I. (2007). Assessment of phonology and articulation of children. Seoul; Hube R&C. (김민정 배소영 박창일 (2007). 아동용 발음평가. 서울: 휴브알엔씨). 

  14. Kim, S. J. (2001). Phonetic contrasts and intelligibility in dysarthria : comparison of spastic and flaccid types.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김수진 (2001). 일음절 낱말대조 명료도 평가방법을 이용한 마비말장애의 분절적 특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5. Kim, S. J. (2002). The role of speech factors in speech intelligibility. Malsori, 43, 25-44. (김수진 (2002). 언어장애인의 명료도에 영향을 미치는 말요인: 문헌연구. 말소리, 43, 25-44). 

  16. Kim, Y. E., Choi, S. E., & Park, S. H. (2006). Phonological analysis of phonological disorders and normal children by whole-word approach. Speech Sciences, 13(4), 143-155. (김영은 최성은 박상희 (2006). 단어단위 접근법을 이용한 음운장애 아동과 정상아동의 음운 분석. 음성과학, 13(4), 143-155) 

  17. Lee, E. J., Han, J. S., & Sim, H. S. (2004). The effects of phonetic complexity on the disfluencies and articulation error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9(3), 139-156. (이은주 한진순 심현섭 (2004). 조음복잡성이 비유창성과 조음오류에 미치는 영향. 언어청각장애연구, 9(3), 139-156). 

  18. Lee, Y. M., Sung, J. E., & Sim, H. S. (2011). Effects of the types of noise and signal-to-noise ratios on speech intelligibility in dysarthr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3(4), 117-124. (이영미 성지은 심현섭 (2011). 소음 유형과 신호대잡음비가 마비말장애인의 말명료도에 미치는 영향. 말소리와 음성과 학, 3(4), 117-124). 

  19. Lee, Y. M., Sung, J. E., Sim, H. S., Han, J. H., & Song, H. N. (2012). Analysis of articulation error patterns depending on the level of speech intelligibility in adults with dysarthria.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7, 122-134. (이영미 성지은 심현섭 한지후 송한내 (2012). 마비말장애인의 조음오류유형에 따른 말명료도 분석. 언어청각장애연구, 17, 122-134. 

  20. McNeil, M. R., Weismer, G., Adams, S., & Mulligan, M. (1990). Oral structure nonspeech motor control in normal dysarthric, aphasic, and aparaxic speakers: Isometric force and static position control.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3, 255-268. 

  21. Platt, L. J., Andrews, G., Young M., & Quinn, P. T. (1980). Dysarthria of adult cerebral palsy: Intelligibility and articulatory impairment.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3, 28-40. 

  22. Rosenbek, J., & LaPointe, L. (1985). The dysarthrias: Description, diagnosis and treatment. In D. Johns(ed), Clinical management of neurogenic communicative disorders (pp.97-152). Boston; Little, Brown & Co. 

  23. Shriberg, L. D., & Kwiatkowski, J. (1982). Phonological disorders III: A procedure for assessing severity of involvement,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7(3), 256-270. 

  24. Sung, H. J., Choi, E. A., & Yoon, M. S. (2007). Predicting variables of speech intelligibility in adults with hearing impairment: Focusing on correct articulation. Malsori, 61, 1-14. (성희정 최은아 윤미선 (2007). 청각장애성인의 말명료도 예측요인: 조음정확도를 중심으로. 말소리, 61, 1-14). 

  25. Thomas-Stonell, N., Kotler, A., Leeper, H., & Doyle, P. C. (1998). Computerized speech recognition: Influence of intelligibility and perceptual consistency on recognition accuracy.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14, 51-56. 

  26. Yorkston, K. M., Beukelman, D. R., Strand, E. A., & Bell, K. R. (1999). Management of motor speech disorders in children and adults. Austin(Tx): Pro-e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