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0 변화율로 본 한국어 억양 패턴의 음향 특성
Korean Intonation Patterns from the Viewpoint of F0 Percentage Change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5 no.1, 2013년, pp.123 - 130  

이지연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vious researches on Korean intonation have been mainly focused on $F_0$ target frequencies, $F_0$ slope, and the duration of intonation patterns. This study investigated Korean intonation patterns, both boundary and phrasal tones, in relation to the $F_0$ percen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한국어의 경계억양과 말토막억양에 관한 음향음성학적 연구는 f₀ 목표점, 억양 곡선의 기울기, 음절수, 지속시간 등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억양패턴의 목표점과 목표점 사이의 높이 변화율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우리가 억양 목표점 사이의 변화율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음폭(pitch range)이 다른 남자 화자와 여자 화자의 억양을 동일한 잣대로 분석하길 원하기 때문이고, 더 큰 이유는 Jun(1998), 이숙향(2002), 이숙향․김종진(2005) 등에서 언급한 음절수, 지속시간과 억양의 기울기와의 관계가 억양 변화율로 쉽게 설명이 가능하며, 억양패턴마다 목표점과 목표점 사이의 변화율이 어느 정도 고정되어 있을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 다만 LH가 두 번 연속 나오는 경우(아래에서 ‘LH+LH’로 표기) 두 LH의 f₀ 변화율이 상당히 일정하게 나오고, 억양 전사자가 LHLH와 혼동할 가능성이 있어 이 연구에 포함시켰다.
  • 전사자들 간에 말토막 경계의 유무에 대한 판단에 차이가 나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두 개의 말토막 억양 패턴의 결합체와 이와 비슷한 유형의 말토막억양 패턴 간의 음향적 차이를 밝혀 전사자에게 교육하면 전사자 간 일치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전사자들이 종종 혼동하는 LHLH과 LH+LH의 음향적 차이를 목표점들 간의 f₀ 변화율의 관점에서 밝혔다.
  • 이 연구에서는 음성합성용 대화체 음성 코퍼스를 이용해 경계억양과 말토막억양의 f₀ 변화율을 측정하고자 한다. 경계억양의 f₀ 변화율과 관련해서는 선행 음절의 목표점과 경계음절의 제1목표점 사이의 f₀ 변화율과 경계음절 내부의 f₀ 변화율을 분석해서 제시할 것이며, 말토막억양의 f₀ 변화율과 관련해서는 LHL, HLH, LHLH 패턴 내의 f₀ 목표점들 사이의 f₀ 변화율을 제시하고, HLH 패턴과 LHLH의 ‘HLH’, 그리고 LHLH 패턴과 두 개의 LH 패턴 연결체(LH+LH) 사이의 f₀ 변화율의 차이를 분석해서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호영(1999)은 처음으로 한국어 경계억양의 음향적 특성에 관한 음향음성학적 연구를 실시했다. 이 연구에서는 f₀ 목표점(pitch target)의 상대적인 높이와 방향이 경계억양 패턴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음향요소라는 가정 아래 각 경계억양 패턴의 f₀ 목표점과 선행 음절의 f₀ 목표점을 측정했다. 그리고 Lee(2000)에서는 f₀ 목표점뿐만 아니라 선행음절의 f₀ 목표점으로부터 경계음절의 제1 f₀ 목표점까지의 길이, 경계억양 전체의 길이도 함께 제시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어에서 말토막에 중요한 억양패턴이 얹히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그리고 한국어에서는 말마디보다 작은 억양 및 리듬 단위가 있는데, Lee(1990), 이호영(1996, 1997)에서는 이를 말토막(rhythm unit)이라고 하고, Jun(1993, 2000)에서는 강세구(accentual phrase)라고 했다. 한국어에서는 말토막에 중요한 억양패턴이 얹히는데, 이를 말토막억양(phrasal tone)이라고 한다(Lee 1990, Jun 1993).
한국어에서 말토막이란 무엇을 일컫는 말인가? 이 억양패턴은 말마디의 경계음절에 얹히기 때문에 경계억양(boundary tone)이라고 하고(Lee 1990, Jun 1993), 주로 종결어미와 같은 문법어에 얹히지만 문장 전체에 얹히는 억양의 가장 중요한 억양의미를 전달하므로 영어 억양체계에서와 마찬가지로 핵억양(nuclear tone)이라고도 한다(이호영 1996, 1997). 그리고 한국어에서는 말마디보다 작은 억양 및 리듬 단위가 있는데, Lee(1990), 이호영(1996, 1997)에서는 이를 말토막(rhythm unit)이라고 하고, Jun(1993, 2000)에서는 강세구(accentual phrase)라고 했다. 한국어에서는 말토막에 중요한 억양패턴이 얹히는데, 이를 말토막억양(phrasal tone)이라고 한다(Lee 1990, Jun 1993).
영어에서 핵억양이란 어떠한 패턴을 말하는가? 영어에서는 마지막 악센트(pitch accent)를 받는 음절부터 말마디(intonation phrase) 끝음절에 이르는 음절 연쇄에 중요한 억양패턴이 부과된다. 이 억양패턴을 핵억양(nuclear tone)이라고 하는데(O’Connor and Arnold 1973, Wells 2006 참조), 핵억양은 문장에 얹히는 억양이 전달하는 억양의미의 대부분을 전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oersma, P. and Weenink, D. (2008). Praat: doing phonetics by computer, version 5.0.40. [Computer program]. Retrieved November 20, 2008, from http://www.praat.org/. 

  2. Hirst, D. & Espesser, R. (1993). Automatic modelling of fundamental frequency using a quadratic spline function. Travaux de l'Institut de Phonetique d'Aix 15, 71-85. 

  3. Hirst, D., Di Cristo, A. & Espesser, R. (2000). Levels of representation and levels of analysis for intonation. In M. Horne (ed.), Prosody: Theory and Experiment. Dordrecht:Kluwer Academic Publishers. 51-87 

  4. Jun, S. A. (1993). The phonetics and phonology of Korean prosody: intonational phonology and prosodic structure. Ph.D. Dissertation, Ohio State University. 

  5. Jun, S. A. (1998). The accentual phrase in the Korean prosodic hierarchy. Phonology 15 (pp. 189-226).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Jun, S. A. (2000). K-ToBI (Korean ToBI) Labelling Conventions, version 3.1. ms. UCLA. 

  7. Lee, S. H. & Kim, J. J. (2005). A prosodic study of Korean using a large database.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Vol. 24(2), 117-126. (이숙향, 김종진 (2005). 대용량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한국어 운율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음향학회지, 24-2. 한국음향학회. 117-126.) 

  8. Lee, H. Y. (1990). The structure of Korean prosody. Ph.D. Dissertation, University College London. 

  9. Lee, H. Y. (1996). Korean phonetics. Seoul: Taehaksa. (이호영 (1996). 국어음성학. 태학사.) 

  10. Lee, H. Y. (1997). Korean prosody. Seoul: Korea Research Center. (이호영 (1997). 국어운율론. 한국연구원. ) 

  11. Lee, H. Y. (1999). An acoustic study of Korean nuclear tones. Malsori 38, The Phonetic Society of Korea. 25-39. (이호영 (1999). 국어 핵억양의 음향음성학적 연구, 말소리 38. 대한음성학회. 25-39.) 

  12. Lee, H. Y. (2000). Acoustic cues of Korean nuclear tones. Language Research 36-2, 325-338. 

  13. Lee, H. Y. (2004). H and L are not enough in intonational phonology. Eoneohak 39, 71-79. 

  14. Lee, H. Y. (2007). Conventions of the Sail (Semi-automatic intonation labelling) system for Korean. ms. Dept. of Linguis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15. Lee, H. Y. & Sohn, N. H. (2007). Perception of Korean phrasal tones. Hangeul 277, 5-45. (이호영, 손남호 (2007). 한국어 말토막 억양 패턴의 인지. 한글 277, 5-45.) 

  16. Lee, J. Y. (2010). An acoustic phonetic study on prosodic boundaries in Korean. MA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이지연 (2010). 한국어의 운율 레이블링을 위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석사학위 논문.) 

  17. Lee, S. H. (2002). A study of the description system of Korean prosodic structure: K-ToBI labelling system. Linguistics, Vol. 10(2), 1-18. (이숙향 (2002). 한국어 운율구조 기술 체계에 대한 연구:K-ToBI 기술 체계를 중심으로. 언어학 10권 2호, 1-18.) 

  18. Oh, J. H. (2011). A perceptual study of the grammatical function and phonetic features on the intonation of utterance final in Korean. Ph.D.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오재혁 (2011). 국어 종결 억양의 문법적 기능과 음성적 특징에 대한 지각적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 O'Connor, J. D. and Arnold, G. F. (1973). Intonation of colloquial English. London: Longman. 

  20. Wells, J. C. (2006). English Intona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Zhu, Xiaonong S. (1999). Shanghai Tonetics. Munchen: Lincom Europ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