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 폐쇄음 발음과 최근의 발음 변이: 발화 형태별 VOT와 f0를 중심으로
Korean stop pronunciation and current sound change: Focused on VOT and f0 in different pronunciation type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9 no.3, 2017년, pp.41 - 47  

김지은 (가톨릭관동대학교 영어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peakers use VOT and f0 to distinguish tense, lax, and aspirated stops in isolated sentence reading and paragraph readings. To do so, a total of 20 males between the ages of 20-25 years old were asked to read (1) isolated sentences, (2) information-orien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 틀문장의 경우, 10년 전 연구인 2006년의 Silva의 연구와 같은 방법으로 녹음을 한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여, Silva의 연구결과나[13] Lisker & Abramson의 연구 결과와[10]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아 최근 10년간 한국어 발음의 변이 실태를 살펴본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폐쇄음 발음 변이를 알아보기 위해 틀문 장과 문단읽기를 통한 자연스러운 발화에서의 폐쇄음 발화 시 VOT와 f0를 어떻게 사용하는 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총20명의 20-25세 남성을 대상으로 틀문장, 정보를 주는 글 읽기와 정서표현의 글 읽기에서의 폐쇄음 발음의 VOT 값과 f0를 측정하여 분석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쇄음 발화 시 VOT값과 f0를 측정한 결과 20대 초반 한국인 남성은 틀문장에서 평음, 격음, 경음을 어떻게 구분하는가? 주요 결과를 보면 틀문장에서는 모든 조음 위치의 평음, 격음, 경음 사이에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20 대 초반의 한국인 남성 화자들은 틀문장에서 평음과 격음, 경음을 VOT로 구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단, 평음과 격음의 VOT값의 차이를 보면, 평음 /ㄱ/과 격음 /ㅋ/을 제외하고는 1964 년의 Lisker & Abramson의 차이인 63ms 보다[10] 매우 작았다.
학교에서 발음 교육 추세는? 최근 음성학 분야에서의 연구를 보면, 한국인의 영어 발음에 대한 연구나 중국인이나 베트남인 등 외국인의 한국어 발음과 발음 교육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1],[2],[3],[4], 한국인의 한국어 발음에 대한 연구도 폐쇄음과 모음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5],[6],[7],[8]. 그러나 실제로 학교에서의 발음 교육을 보면, 1987년 제5차 교육 과정 이후 발음에 대한 내용이 점점 줄고 있으며 [9],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교과서의 뒤에 부록에 포함된 <우리말 꾸러미>에서만 다루고 있는 등 발음 교육 내용이 대폭적으로 줄어들었다. 한국어 발음에 대한 의견은 다양할 수 있는데, 크게 표준 발음을 따라야 한다는 의견과,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을 인정하고 개인적인 차이에 따른 발음의 차이를 인정해야 한다는 의견으로 나뉘고 표준 발음에 대한 기준 또한 다르다.
페쇄음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한국어 발음에 대한 의견은 다양할 수 있는데, 크게 표준 발음을 따라야 한다는 의견과,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을 인정하고 개인적인 차이에 따른 발음의 차이를 인정해야 한다는 의견으로 나뉘고 표준 발음에 대한 기준 또한 다르다. 페쇄음은 보통 성대진동개시시간(Voice Onset Time, 이하 VOT)과 f0(fundamental frequency)로 구분되는데, 한국어 폐쇄음의 경우 평음(lenis), 경음(fortis), 기음(aspirated)으로 구분되며, 예전에는 VOT 값의 차이로 구분이 된다고 알려져 있었다[10]. Lisker & Abramson에 의하면 한국어 경음 ‘ㅃ’, 평음 ‘ㅂ’, 격음 ‘ㅍ’의 VOT는 각각 7ms, 28ms, 91ms로 그 차이가 뚜렸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Lee, K., & Park, D. (2011). A Study of Chinese Learners' Pronunciation of Korean Monophthongs Based on Experimental Phonetics -Focused on "/ㅗ/" and "/ㅓ/". Korean Language Research, 28, 177-199. (이경.박동호 (2011).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발음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ㅗ/와 /ㅓ/를 중심으로. 한말연구, 28, 177-199.) 

  2. Kim, J. (2012).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Korean Speakers' English Stop Pronunciation Accuracy and Pronunciation Proficiency.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4(3), 51-58. (김지은 (2012). 한국인의 영어 폐쇄음 발화의 정확성과 발음 숙련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말소리와 음성과학, 4(3), 51-58.) 

  3. An, M. (2014). An Experimental Study of Korean Simple Vowel Acquisition of Indonesian Advanced Learners. The Language and Culture, 10(1), 177-205. (안미애 (2014). 인도네시아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의 실험음성학적 대조 분석. 언어와 문화, 10(1), 177-205.) 

  4. Jiang, P., Kim, J., & Lee, C. (2015). Korean plain plosive produced by Chinese female speakers : Sentence vs. Paragraph.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7(2), 111-117. (강반.김지은.이충우 (2015). 중국인 여성 화자의 한국어 평음 파열음 발음. 말소리와 음성과학, 7(2), 111-117.) 

  5. Kang, J., & Kong, E. (2014). The role of f0 cue in distinguishing a laryngeal contrast of word-initial stops in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and Linguistics, 62, 75-100. (강지은.공은정 (2014). 한국어와 일본어의 어두 폐쇄음 후두자질 구분에 있어 음향단서 f0 의 역할. 언어와 언어학, 62, 75-100.) 

  6. Sohn, I. (2014). The Acoustic Differences between Korean Tense and Tensed Stops When Reading a Sentence. The Journal of Linguistics Science, 68, 215-236. (손일권 (2014). 문장의 낭독에서 한국어 경음과 경음화된 폐쇄음의 음향적 차이. 언어과학연구, 68, 215-236.) 

  7. Kim, M. (2012). L1-L2 Transfer in VOT and f0 Production byKorean English Learners: L1 Sound Change and L2 Stop Production. Speech Sciences, 4(3), 31-41. 

  8. Kim, J. (2015). Reinterpretation of Stop Production in Korean Elderly Speaker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7(2), 139-145. (김지은 (2015). 노년층 파열음 발음의 재해석. 말소리와 음성과학, 7(2), 139-145.) 

  9. Lee, S., & Lee, B. (2009). A study on Consonants and Vowels in the Education of Pronunciation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39, 417-447. (이승왕.이병운 (2009). 초등학교 발음 교육 내용의 계열화: 자음과 모음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39, 417-447.) 

  10. Lisker, L., & Abramson, A. (1964). A cross -language study of voicing initial stops: acoustical measurement. Word, 20, 384-422. 

  11. Kim, W., & Byun, G. (2014). Variations in VOT, F0 and Burst Energy of Word-initial Voiceless Stops Produeced by Jeju Speakers in their 20's, 50's and 70's Respectively. Tamla Munhwa, 44, 123-143. (김원보.변길자 (2014). 제주방언 화자의 세대별(20 대/50 대/70 대) 어두 파열음의 VOT, F0 및 파열강도(burst energy) 변이양상. 탐라문화, 44, 123-143.) 

  12. Silva, D., Choi, Y., & Kim, J. (2004). Diachronic shift in VOT values for Korean stop consonants. Harvard Studies in Korean Linguistics, 10, 173-85. 

  13. Silva, D. (2006). Acoustic evidence for the emergence of tonal contrast in contemporary Korean. Phonology, 23, 287-308. 

  14. Baran, J., Laufer, M., & Daniloff, R. (1977). Phonological contrastivity in conversation: A comparative study of voice onset time. Journal of Phonetics, 5, 339-350. 

  15. Jo, M., & Shin, J. (2003). VOT comparison between Seoul and Kyungsang dialect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46, 1-11. (조민하.신지영 (2003). 경상방언과 서울방언의 VOT 지속시간에 대한 비교연구. 말소리와 음성과학, 46, 1-11.) 

  16. Kong, E., Beckman, M., & Edwards, J. (2011). Why are Korean tense stops acquired so early?: The role of acoustic properties. Journal of Phonetics, 29, 196-2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