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MS 처리에 의한 풍산나물 콩 돌연변이 집단에서 지방산 조성 변이
Variation of Fatty Acid Composition in Soybean'Pungsannamul' Mutation Population from EMS Treatment 원문보기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경북대농학지, v.31 no.1, 2013년, pp.45 - 50  

채종현 (경북대학교응용생명과학부) ,  다칼크리쉬나하리 (경북대학교응용생명과학부) ,  아세코바소베툴 (경북대학교응용생명과학부) ,  송종태 (경북대학교응용생명과학부) ,  이정동 (경북대학교응용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새로운 유전자원을 창출하기 위해 풍산나물콩에 EMS를 처리한 후 돌연변이 집단을 육성하고, 돌연변이 계통 중 지방산 함량에 대한 변이체를 찾아 콩 유전육종 재료를 선발하고자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M2 3,744개체중 형태적 변이를 보이는 1,000개체를 선발하여 M4 세대에서 난쟁이형 (3.3%), 엽형변이 (2.6%), 엽록소결핍 (1.5%), 꽃색변이 (1.1%), 엽형변이를 보이는 난쟁이형 (0.2%)의 변이가 관찰되었다. 야생형인 풍산나물콩의 지방산 함량은 palmitic acid 11.6%, stearic acid 3.4%, oleic acid 25.3%, linoleic acid 52.0%, linolenic acid 8.1%를 나타내었다. M4 892 개체의 종자지방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함량은 각각 7.4~19.7%, 2.2~13.0%, 14.7~49.0%, 31.8~63.9%, 3.9~15.9%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10.8%, 3.8%, 25.3%, 52.0%, 8.1%의 평균을 보였다. 각각의 지방산 별로 선발된 돌연변이 개체들은 다음과 같다. 고 palmitic acid 함량을 나타내는 PE1542 (17.1%), PE3058 (17.0%), 고 stearic acid 함량을 나타내는 PE977 (12.7%)와 저 stearic acid 함량을 나타내는 PE2166 (1.9%), 고 oleic acid 함량을 나타내는 PE450 (44.4%), PE2742 (47.7%), PE3058 (33.4%), 저 linolenic acid 함량을 나타내는 PE594 (4.6%), PE1690 (3.7%)와 고 linolenic acid 함량을 나타내는 PE2166 (12.6%) 등이 선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utagenesis is used to study gene function and obtain new genetic resources for plant breeding. Soybean is an important oil crop in the world. Thus, to find new genetic resources, a mutation population was developed from the soybean cultivar Pungsannamul using 0.3% ethyl methane sulfonate. The var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새로운 유전자원을 창출하기 위해 풍산나물콩 (Suh et al. 1997)에 EMS를 처리한 후 돌연변이 집단을 육성하고, 돌연변이 계통 중 지방산 함량을 검정하여 콩 유전육종 재료를 선발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콩은 우리나라에서 어떻게 이용되어 왔는가? )은 한반도를 포함한 중국, 일본 등 동북아 지역이 원산지인 작물로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5곡중 하나로 널리 재배되어 왔고 쌀, 보리와 더불어 우리의 식생활에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식량작물이다. 콩은 우리 나라에서 수천년 동안 재배되면서 간장, 된장, 두부, 콩나물, 밥밑 콩 등 우리 국민의 전통식품으로 이용되어 왔다. 그리고 콩은 대표적인 식물성 단백질원으로서 약 40%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20% 내외의 지방을 함유하고 있다.
콩에는 어떤 건강기능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어떤 효능이 있는가? 그리고 콩은 대표적인 식물성 단백질원으로서 약 40%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20% 내외의 지방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이소플라본, 레시틴, 피틴산, 사포닌, 올리고당등 다양한 건강기능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항암, 항산화 능력 및 면역성 강화, 심혈관계 질병예방과 같은 생리활성 및 영양학적 중요성이 보고됨에 따라 이와 관련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Bae et al. 1997; Liu 1999; Lee and Sang 2001).
콩의 원산지는 어디인가? 콩(Glycine max L.)은 한반도를 포함한 중국, 일본 등 동북아 지역이 원산지인 작물로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5곡중 하나로 널리 재배되어 왔고 쌀, 보리와 더불어 우리의 식생활에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식량작물이다. 콩은 우리 나라에서 수천년 동안 재배되면서 간장, 된장, 두부, 콩나물, 밥밑 콩 등 우리 국민의 전통식품으로 이용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