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장소자산으로서 제주 돌담의 가치와 활용방안
Values and Utilization Measures of Stone Walls in Jeju Island as Place Assets 원문보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16 no.1, 2013년, pp.99 - 117  

정광중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초등사회과교육전공) ,  강성기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월랑초등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소자산으로서 제주 돌담의 가치와 더불어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논의는 그 동안 제주 돌담이 장소자산으로서 본질적인 가치가 부각되지 않고, 잠재적 가치만을 주장해온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돌파구가 될 수 있다. 더불어 제주 돌담의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통하여 제주의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을 모색하는 방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소자산으로 제주 돌담의 종류와 기능 및 가치를 논의한 후 제주 돌담의 지역별 분포현황을 토대로 현실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심층적으로 논의한 결과, 제주 돌담의 가치는 크게 다섯 가지를 부각시킬 수 있었고, 구체적인 활용방안에서는 일곱 가지로 요약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얻어진 연구결과는 앞으로 제주 지역발전의 새로운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values and utilization measures of the stone walls in Jeju Island as place assets. The discussion on this subject may serve as a breakthrough to resolve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stone walls in Jeju Island have been focused on for their potential value not for th...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의 지역정체성을 대표하는 가치는? 한 지역이나 국가의 문화가 한층 더 중요해지는 21C를 맞이하여 제주의 지역정체성을 대표하는 삼다(三多), 삼무(三無), 삼려(三麗), 삼보(三寶)2)의 가치는 점차 우리나라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제주에 분포하는 많은 장소자산의 특성을 살리는 기반이 되고 있다. 그렇지만 일부의 장소자산은 제주의 지역정체성과는 전혀 상관없이 인위적인 것들도 있는데 몇몇 사립박물관3)과 국제관악제가 그런 사례라 할 수 있다.
지방자치 부활 이전 장소자산의 유형 중 자연환경 부문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먼저 장소자산의 유형 중 자연환경 부문을 살펴보면, 지방자치 부활 이전에는 한라산, 해수욕장, 해안절경, 동굴, 폭포, 도서지역 등으로 대표되는 장소자산이 화산섬이라는 장소성을 배경으로 1960년대 이후 줄곧 제주 관광산업을 견인하는 관광자원으로 자리 잡아 왔다. 이들 장소자산과 더불어 지방자치 부활 이후∼정착 시기에 이르면, 여가시간의 증가와 건강한 삶이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등장하면서 기생화산인 오름이 중요한 장소자산으로 부각되기 시작한다.
문화와 장소 간 관련성이 중요해진 3가지 이유는? 그 이유는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정리하고 있다. 첫째로는 세계화·정보화·지방화 시대가 진전됨에 따라 지역의 개성과 역사성, 장소성이 지역발전의 주요 콘텐츠로 자리매김되고 있고, 둘째로는 문화적 삶과 자아정체성 확립의 수단으로서 문화와 장소성이 중요해졌으며, 셋째로는 지방자치시대를 맞이하여 여러 지방정부의 지역정책이 문화·환경 지향적으로 전환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이처럼 장소마케팅은 지역마다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지역문화 및 정체성 확립과 지역사회 통합을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지만, 정작 현재까지 진행된 장소마케팅의 사례를 살펴보면 장소자산에 대한 핵심적인 연구가 부족한 상태이기 때문에 장소마케팅의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지 못한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김현호, 2002: 71; 이용균, 2005: 56; 백선혜, 2005: 71-7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