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수면 상승에 따른 경제적 피해 비용 및 최적 해안 방어 비율 추정 -제주도를 대상으로-
Economic Impacts of Sea-level Rise and Optimal Protection on Jeju Island 원문보기

자원·환경경제연구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v.22 no.1, 2013년, pp.127 - 145  

민동기 (건국대학교 경제학과) ,  조광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FUND모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제주도를 대상으로 해수면 상승에 따른 경제적 피해 비용 및 최적 해안 방어 비율을 도출하였다.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의 경제적 피해 및 이를 방어하기 위한 최적 해안 방어 비율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 대상을 전 세계나 대륙 중심으로 분석하여 개별 국가의 대응 정책에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해수면 상승에 따른 경제적 피해 비용 및 최적 해안 방어 비율을 분석하기 위한 시도로 FUND모형을 우리나라에 적용하기 위한 지표 값들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제주도를 대상으로 해수면 상승에 따른 경제적 피해 비용 및 최적 해안 방어 비율을 분석하였다. 2100년까지의 분석기간 동안 시나리오별로 해수면 상승에 따른 범람 면적은 약 2.01%~2.25%이고 토지 가치로는 6.4%~7.2%로 상대적으로 높아 범람 지역이 경제활동이 활발한 지역임을 보였다. 추정된 최적 해안 방어 비율을 보면 제주시가 87.16%~87.92%로 서귀포시 73.32%~75.47%보다 높다. 비록 제주시의 해안선의 길이가 서귀포시에 비하여 더 길어 해안 방어 비용이 더 필요하지만 제주시의 경제적 피해 규모가 더 크기 때문에 해안 방어 가치가 더 큼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stimates the economic impact of sea-level rise on Jeju island and suggests the optimal protection level based on the FUND model. There exist a number of studies that estimate the impacts of sea-level rise on global scale, but their results are of limited use for local scale such as Ko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에 대응하는 개별 국가들의 정책 방안을 도출할 경우에는 보다 구체적인 접근 방법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해안을 대상으로 금세기말까지의 예상되는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 하에서 해수면 상승에 따른 경제적 피해를 추정하기 위한 적용 방법론을 제시하고 제주도 지역을 사례로 해수면 상승에 따른 경제적 피해규모 및 최적 해안 방어 수준을 추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FUND모형을 토대로 우리나라에 적용할 수 있는 해수면 상승에 따른 경제적 피해 규모 및 최적 해안 방어 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제주도를 대상으로 해수면 상승에 따른 경제적 피해 규모 및 최적 해안 방어 수준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를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이 제주도 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피해 규모 및 최적 해안 방어 수준을 분석한다. 해수면 상승에 따른 육지 지역의 연도별 범람 범위는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향후 100년간 해수면 상승에 따른 육지의 범람 과정을 분석한 김태윤·​​​​​​​ 조광우(2013)의 연구 결과를 이용한다.

가설 설정

  • 5) 시나리오별로 각 연도별 예상 해수면 상승은 과 같다.
  • 92백만원이다. 국민소득의 연간 증가율은 한국개발원(2007)에서 제시한 2100년까지의 1인당 GDP 증가율과 같은 비율로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와 같은 사회·​​​​​​​ 경제 지표의 변화 추이를 토대로 분석기간 중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별 경제적 피해 규모 및 해안 방어 비용을 추정하였다.
  • 셋째, 이주민을 받아들이는 지역에서 발생하는 정착지원 등 추가비용(DLi1)은 식 (9)와 같이 이주민 1인당 이주지역 주민 1인당 국민소득(G2)의 40%로 가정한다. 넷째, 이주지역의 인구증가로 발생하는 비용(DLi2)은 식 (10)과 같이 식 (9)의 이주비용에서 매년 33%씩 감소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마지막으로 침수된 토지의 가치(DLp)는 본 연구에서는 실제 토지 감정가격을 이용하여 추계한다.
  • 첫째, 침수 지역 주민의 재산상 피해비용(DLe1)은 식 (7)과 같이 주민(P) 1인당 연간소득(G)의 3배로 한다. 둘째, 침수지역 주민의 이주 비용(DLe2)은 식 (8)과이 이주 첫 해에는 개인소득의 30%의 비용이 발생하고 그후 정착 과정에서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만 비용이 점차 감소(연 7%)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셋째, 이주민을 받아들이는 지역에서 발생하는 정착지원 등 추가비용(DLi1)은 식 (9)와 같이 이주민 1인당 이주지역 주민 1인당 국민소득(G2)의 40%로 가정한다.
  • (2009)에서는 건설시 기계화된 시설의 경우 연간 유지비용이 2%~4% 수준이고 기계화되지 않은 방어시설의 경우 5%~15%로 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토해양부(2011)과 같이 방어시설의 연간 유지비용을 4%로 가정하여 방어비용을 추정한다.
  • 5m의 친수형 옹벽식 방어시설을 설치하는 경우로 가정하여 해안 방어시설 건설비용을 길이 1m당 199만원으로 산정하여 해안 방어 비용을 산정하였다. 분석 대상 기간이 약 100년 정도이므로 방어시설의 내구연수를 일반 사회 간접자본 시설의 내구연수와 같이 40년~50년으로 가정하는 경우 방어시설 건설은 분석 기간 중 2회하는 것으로 하여 연간 건설비용을 산정하였으며 방어시설의 연간 유지 비용은 4%로 가정하여 추계하였다.9)
  • 둘째, 침수지역 주민의 이주 비용(DLe2)은 식 (8)과이 이주 첫 해에는 개인소득의 30%의 비용이 발생하고 그후 정착 과정에서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만 비용이 점차 감소(연 7%)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셋째, 이주민을 받아들이는 지역에서 발생하는 정착지원 등 추가비용(DLi1)은 식 (9)와 같이 이주민 1인당 이주지역 주민 1인당 국민소득(G2)의 40%로 가정한다. 넷째, 이주지역의 인구증가로 발생하는 비용(DLi2)은 식 (10)과 같이 식 (9)의 이주비용에서 매년 33%씩 감소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 이 분석에서 사용되는 할인율 중 시간 선호율 ρ는 연 1%로 가정하여 실제 할인율은 시간 선호율(1%)에 1인당 소득 증가율(g)을 합한 값으로 현재가치화 하였다.
  • FUND 모형에서 각 세부 항목에 대한 연도별 추정 값의 현재가치를 도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안방어 비용(PC)은 매년 필요한 해안 방어비용이 일정하다는 가정 하에 계산되었다. 이 분석에서 사용되는 할인율 중 시간 선호율 ρ는 연 1%로 가정하여 실제 할인율은 시간 선호율(1%)에 1인당 소득 증가율(g)을 합한 값으로 현재가치화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의 현황은?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은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 4차 보고서(IPCC, 2007a)의 예측치 2.0mm/yr를 초과하여 최근 지구 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약 3.2mm/yr이고 여러 연구들에 의하면 앞으로 해수면 상승률은 급격히 증가하여 금세기 말에는 해수면 상승이 1m를 초과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Vermeer and Rahmstorf, 2009; Rahmstorf et al., 2007), 우리나라의 경우 지구 평균치보다 높은 4.0mm/yr이상을 기록하고 있다(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2009). 그러나 경제적 효율성 측면에서 해안이 활발히 개발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지자체의 해안 개발 수요를 반영하여 ‘연안역개발특별법’을 제정하는 등 해안의 사회·​​​​​​​ 경제적 이용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환경부, 2011).
IPCC RCP 시나리오에 대해 설명하라. 36m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예상하였다. IPCC RCP 4개 시나리오 숫자는 온실가스 농도 증가에 의한 태양복사 강제력의 변화를 의미하며, 각각의 시나리오는 미래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를 420 ppm, 540ppm, 670ppm, 940ppm으로 설정하고 있다. 준경험적방법에 의한 해수면 시나리오 계산은 해양 및 빙하 시스템의 높은 관성으로 기온 상승에 대하여 누적적으로 반응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연산가능 일반균형 모형이란 무엇인가? 이 경우에 사용되는 한 방법은 연산가능 일반균형 모형(CGE: Computablle General Equilibrium)이다.1) 전 세계의 경제 구조를 한 모형에 포함하여 해수면 상승이 피해지역을 포함한 전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 경우 장기 분석 기간(약 100년)에 이루어질 경제성장, 산업 구조 및 무역 구조 등에 관한 여러 가정들의 미세한 변화가 추정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어 추정 결과의 신뢰도에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김태윤.조광우, "반경험식법을 이용한 미래 해수면 상승 예측", 해양환경안전학회지, 2013. 

  2. 국토해양부, , 2011. 

  3.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2009. 

  4. 환경부, , 2011. 

  5. 환경부, , 2009. 

  6. 한국개발원, , 2007. 

  7. Anthoff, D., S. Richard, and J. Tol, "The Climate Framework for Uncertainty, Negotiation and Distribution (FUND), Technical Description, Version 3.5," 2010, downloaded from www.fund-model.org (17 August 2012). 

  8. Bosello, F., R. J. Nicholls, J. Richards, R. Roson, and R. Tol, "Economic Impacts of Climating Change in Europe:sea-level rise," Climatic Change, 112: 63-81, 2012. 

  9. Fankhauser, "Protection versus retreat: Estimating the Costs of Sea Level Rise," CSERGE Working Paper GEC., 1994. 

  10. IPCC, 2007a,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Solomon, S. et al. Ed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11. IPCC, 2007b,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Solomon, S. et al. Ed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12. Matthew Heberger et. al., , California Climate Change Center, 2009. 

  13. Rahmstorf, S. et al., "Recent climate observations compared to projections," Science, 316: 709, 2007. 

  14. Vermeer, M. and S. Rahmstorf, "Global sea level linked to global temperature," PNAS, 106(51),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