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희귀식물로 지정되어 있는 애기송이풀의 자생지 환경을 조사하여 보전 및 복원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결과 애기송이풀의 자생지는 해발고도 107~494m 범위와 경사 $5{\sim}20^{\circ}$의 계곡부에 주로 생육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생 및 관속식물 조사결과 6개 지역의 18개 방형구 내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총 243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각 조사구 내 초본층의 피도와 빈도를 기초로 한 애기송이풀의 중요치를 산출한 결과 평균 13%로 나타났다. NMS 분석결과, 애기송이풀 자생지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목본층의 종구성, 초본층의 종구성보다는 환경적 영향이 더 지배적이라는 말할 수 있다. 이에 자생지의 안정적인 유지를 위해서는 서식지 보전이 중요하며 서식지 주변에 보호구역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abitats characteristics of Pedicularis ishidoyana were investiga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The altitude ranged from 107m to 494m, with inclinations of $5{\sim}20^{\circ}$. As a result of vegetation survey within natural populations, a total of 243 ta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애기송이풀에 대한 연구로 최근 분류・분포학적 연구가 진행된바 있으나(Cho, 2010),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는 전혀 이루어진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애기송이풀 자생지의 식생구조 및 생육특성을 밝혀 앞으로 현지 내・외 보전과 복원을 위한 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희귀식물로 지정되어 있는 애기송이풀의 자생지 환경을 조사하여 보전 및 복원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결과 애기송이풀의 자생지는 해발고도 107∼494m 범위와 경사 5∼20°의 계곡부에 주로 생육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송이풀(Pedicularis L.)속 식물은 대부분 어디에 분포하는가? , 1998;Cho, 2010).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송이풀속 역시 대부분 아고산 및 고산지역에 분포며, Lee(1996a)은 10종, Lee(1996b)는 15종, Lee(2003)는 11종으로 정리하고 있어, 이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필요하다. 애기송이풀은 환경부 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Ⅴ등급) 및 IUCN 기준에 따라 재분석한 우리나라 희귀식물(CR등급) 및 특산식물로서 중요한 유전자원이다.
애기송이풀이란? 멸종위기 식물인 애기송이풀(Pedicularis ishidoyana Koidz. & Ohwi)은 현삼과(Scrophulariaceae) 송이풀(Pedicularis L.)속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세계적으로 400여 종 이상이 주로 북반구 혹한의 고산지역에서 주로 생육하며, 중국, 러시아 등 기온이 낮은 고산지역이나 건조한 초원지역에 분포한다(Shishkin and Bobrov, 1955;Yamzaki, 1993;Hong et al., 1998;Cho, 2010).
국내 멸종위기 식물의 서식지특성과 보전방향에 관한 연구 사례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멸종위기 식물의 서식지특성과 보전방향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Song et al.(2010)의 왕제비꽃의 식생구조와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 Han et al.(2010)의 모데미풀 자생지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Kim et al.(2010)의 줄댕강나무 자생지의 환경 및 생태특성에 관한 연구, Cho et al.(2011)의 섬잣나무-솔송나무림의 구조와 하층색생의 종다양성에 관한 연구, Seo et al.(2011)의 금강제비꽃 자생지의 환경특성에 관한 연구, Kwon et al.(2011)의 호랑가시나무개체군의 식생구조와 토양특성에 관한 연구, Song et al.(2012)의 만년콩 자생지의 식생구조와 보전에 관한 연구, Son et al.(2012)의 매미꽃의 분포와 자생지 식생특성 및 보전지위평가에 관한 연구, Cheon et al.(2012)의 미역고사리의 입지환경특성에 관한 연구, Cheon et al.(2012)의 너도밤나무림의 군집구조와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등 멸종위기 식물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raun-b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der Vegetation 3. Auf,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USA. p. 865. 

  2. Braun-banquet, 1965. Plant sociology. The Study of the Plant Communities. (Transl. by G.D. Fuller and H.S. Conard). New York, USA. p. 439. 

  3. Brower, J. E. and J. H. Zar.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Brown Company, WM. p. 194. 

  4. Cheon, K.S., J.S. Han., K.A. Kim., K.H. Ok and K.O. Yoo. 2012. Habitat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Polypodium vulgare L. in Ulleung-do. Kor. J. Env. Eco. 26(1):1-10 (in Korean). 

  5. Cheon, K.I., S.C. Jung., C.W. Lee., J.G. Byun., S.H. Joo., J.H. You., S.G. Lee., C.H. Choi and I.H. Park. 2012. Community structure and understory vegetation distribution pattern of Fagus engleriana Stand in Is. Ulleung. J. Korean Env. Res. Tech. 15(4):81-95 (in Korean). 

  6. Cho, W.B. 2010. Distribution of Korean Pedicularis and Taxonomic Position of P. ishidoyana. MA Thesis, Inha Univ. p. 51 (in Korean). 

  7. Cho, Y.C., J.K. Hong., H.J. Cho., K.H. Bae and J.S. Kim. 2011. Structure and understory species diversity of Pinus parviflora-Tsuga sieboldii forest in Ulleung Island. Jour. Korean For. Soc. 100(1):34-41 (in Korean). 

  8. Chung, G.Y., B.C. Yu., H.J. Jeong., M.S. Park., S.H. Lee., H.N. Choi and S.Y. Jung. 2007.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Geommasan(Yeongyang, Gyeongbuk). Korean J. Plant Res. 20(4):281-291 (in Korean). 

  9. Curtis and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3):476-496. 

  10. Dufrene, M. and P. Legendre. 1997. Species assemblages and indicator species: The need for a flexible asymmetrical approach. Ecological Monographs 67:345-366. 

  11. Han, J.W., G.H. Lee., S.G.Yang and S.H. Kang. 2010. Distribution of 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Ranunculaceae) in Mt. Halla, Jeju Island. Korean J. Plant Res. 23(2):179-286 (in Korean). 

  12. Hong, D.Y. Yang, C.L. Jin, M.A. Fischer, N.H. Holmgren and R.R. Mill. 1998. Scrophulariaceae. In Flora of China, Vol. 18. Wu, Z.Y. and P.H. Raven (eds.), Science Press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Beijing and St. Louis. pp. 1-212. 

  13. IUCN. 2001. IUCN Red list Categories : Version 3.1. Prepared by the IUCN Species Survival Commission. IUCN, Gland, Switzerland and Cambridge, UK. 

  14. Korea Forest Service.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332 (in Korean). 

  15. Korea National Arboretum. 2004.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 520 (in Korean). 

  16.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o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 534 (in Korean). 

  17. Korea National Arboretum Databases. 2003. Korea Diversity Informations System. Retrieved Dec. 3, 2011, from http://www.nature.go.kr. 

  18. Korean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Korea. p. 399 (in Korean). 

  19. Kim, K.A., S.K. Jang., K.S. Cheon., W.B. Seo and K.O. Yoo. 2010.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habitats of Abelia tyaihyoni Nakai. Korean J. Pl. Taxon. 40(3):135-144 (in Korean). 

  20. Kim, J.W. 2004. Vegetation Ecology. World Science, Seoul, Korea. p. 308 (in Korean). 

  21. Kim, J.W. and Y.K. Lee. 2006.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World Science. Seoul, Korea. p. 240 (in Korean). 

  22. Kwon, H.J., J.H. Lee., M.Y. Kim., J.H. Lee and H.K. Song. 2011.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of Ilex cornuta population in Jeju Island. Kor. J. Env. Eco. 25(1):10-16 (in Korean). 

  23.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onsa. Seoul, Korea. p. 914 (in Korean). 

  24.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1 volumes. Hyangmonsa. Seoul, Korea. p. 914 (in Korean). 

  25.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2 volumes. Hyangmonsa. Seoul, Korea. p. 910 (in Korean). 

  26. Lee, W.T. 1996a.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Korea. p. 1567 (in Korean). 

  27.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87-101 (in Korean). 

  28. Lee, Y.N. 1996b. Flora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Seoul, Korea. p. 1247 (in Korean). 

  29. McCune, B. and J.B. Grace. 2002. Analysis of Ecological Communities.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 USA. 

  30. McCune, B and M. J. Mefford. 2006.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5.17.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egon. USA. 

  31. Mielke, P. W. Jr. and K. J. Berry. 1982. An extended class of permutation techniques for matched pairs. Communities. Statist.-Theor. Meth. 11:1197-1207. 

  32.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The Investigation Guide for Specially Designated Species by Floristic Region.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Korea. (in Korean). 

  33. Oh, B.U., D.G. Cho., K.S. Kim and C.G. Jan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Daesin. Seoul, Korea. p. 205 (in Korean). 

  34.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p. 559 (in Korean). 

  35. Shishkin, B.K. and E.G. Bobrov. 1955. Pedicularis. In Flora of the U.S.S.R., Vol. 15. Komarov, B.L. (ed.), Academiae Scientiarum URSS. Leningrad, Russia. pp. 763-885. 

  36. Seo, W.B. and K.O. Yoo. 2011.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habitats of Viola diamantiaca Nakai and its RAPD analysis. Korean J. Pl. Taxon. 41(1):66-80 (in Korean). 

  37. Song, G.P., C.G. Jang and S.H. Kang. 2012. Conserva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of Euchresta japonica (Leguminosae) in Jeju Island. Korean J. Plant Res. 25(1):89-95 (in Korean). 

  38. Song, J.M., G.Y. Lee., N.Y. Kim and J.S. Yi. 2010. Vegetation structure and site environment of natural habitat of an endangered plant, Viola websteri. Jour. Korean For. Soc. 99(3):267-276 (in Korean). 

  39. Song, S.W., J.M. Chung., J.K. Shin., B.C. Lee., K.W. Park and S.J. Park. 2012. Distribution, vegetation characteristics and assessment off the conservation status of a rare and endemic plant, Coreanomecon hylomeconoides Nakai. Korean J. Pl. Taxon. 42(2):116-125 (in Korean). 

  40. Yamazaki, T. 1993. Pedicularis. In Iwatsuki, K., T. Yamazaki, D.E. Boufford and H. Ohba (eds.), Flora of Japan, Vol. IIIa. Kodansha, Tokyo, Japan. p. 364-37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