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분방법에 따른 찰수수 가루의 품질 특성
Impact of Milling Method on Quality Parameters of Waxy Sorghum Flour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9 no.2, 2013년, pp.129 - 135  

류복미 (창원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김창순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분쇄방법(핀밀, 초미분쇄)을 달리하여 제분한 찰수수가루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PS와 UFS에서 높았고, 조지방 함량은 핀밀분쇄보다 초미분쇄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조회분과 총 식이섬유소 함량은 도정하지 않고 핀밀분쇄한 PWS에서 가장 높았다. 겉보기 아밀로오스 함량은 핀밀분쇄한 수수가루가 초미분쇄한 수수가루보다 높았으며 껍질이 없는 경우(PS, UFS) 아밀로오스 함량이 더 낮게 나타났다. 수수가루의 평균입도크기는 도정하지 않은 수수가루에서 컸으며 핀밀분쇄한 것이 초미분쇄보다 평균입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수수가루의 색도는 초미분쇄 수수가루가 핀밀수수가루보다 밝았으며 UFS의 L값이 가장 높았고, 도정한 수수가루(PS, UFS)가 통곡수수(PWS, UFWS)보다 명도가 높았다. 수분결합력은 초미분쇄 시료 UFWS에서 가장 높았으며 핀밀분쇄 PWS보다 높았다. 용해도와 팽윤력은 초미분쇄한 시료가 핀밀분쇄 시료에 비해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도정한 수수가루에서 높게 나타났다. 수수가루의 손상전분 함량은 핀밀분쇄하여 도정한 경우 손상도가 컸다. 수수가루의 호화점도 특성에서 최고점도와 최종점도 PS와 PWS에서 높았고 UFS는 가장 낮은 점도를 나타내었다. 노화도를 나타내는 setback 점도 또한 PS와 PWS에서 높아 초미분쇄보다 노화도가 높게 나타났다. 핀밀분쇄한 통곡 수수가루(PWS)가 전체적으로 높은 호화점도곡선을 보였다. 총 페놀 함량은 핀밀분쇄 수수가루가 초미분쇄 수수가루보다 높았으며 통곡 수수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수수는 도정 여부와 분쇄 방법에 따라 가루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달라지므로 수수가루를 이용한 제품 개발 시 각 제품의 특성에 따른 적절한 제분방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axy sorghum flours by different milling methods (pin mill and ultra fine mill). Four different sorghum flours were used for the experiments ; PWS (pin milled whole sorghum flour), PS (pin milled sorghum flour without b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제분과정에서 가루의 입자가 클 경우 최종 제품의 조직감이 거칠어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어 저온초미분쇄 방법을 이용하여 제분한 가루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로 보아 곡류는 분쇄방법에 따라 최종 제품의 물성과 조리 특성이 달라지므로 본 연구에서는 수수의 도정여부와 분쇄방법을 달리하여 제분한 수수가루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수의 효능은? 수수에는 tannins, anthocyanins, phytosterol, phenolic compounds 등의 유효성분이 다량 함유되어(Awika JM와 Rooney LW 2004),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Cho SH와 Ha TY 2003), 항산화 활성(Choi YM 등 2006), HMG-CoA reductase 저해 활성(Ha TY 등 1998), 항돌연변이성(Kwak CS 등 2004) 등의 생리적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수의 분쇄가 개선이 필요한 이유는? Han MR 등(2009)은 초미세분쇄 처리한 옥수수전분의 경우 평균직경이 감소하였고 겔(gel)을 형성하였으나 분쇄과정에서 전분입자의 파괴와 옥수수전분의 분자량이 저분자화 되면서 겔 형성능력이 크게 저하되었다고 하였다. Seo MC 등 (2011)의 연구에서도 분쇄방법이 수수의 항산화 활성에 영향을 주며, 일반적인 분쇄방법은 분쇄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 열에 불안전한 성분의 파괴가 일어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제분과정에서 가루의 입자가 클 경우 최종 제품의 조직감이 거칠어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어 저온초미분쇄 방법을 이용하여 제분한 가루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로 보아 곡류는 분쇄방법에 따라 최종 제품의 물성과 조리 특성이 달라지므로 본 연구에서는 수수의 도정여부와 분쇄방법을 달리 하여 제분한 수수가루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수는 어떤 식물인가? 수수(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는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로 열대아프리카가 원산지로 건조지대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으며, 아시아, 아프리카 및 중미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주요 식량자원이다(Chang HG와 Park YS 2005). 다른 곡물보다 가뭄이나 척박한 환경을 잘 견디어 수확량이 우수한 대표적 곡류이며 쌀, 보리, 밀, 옥수수에 이어 중요한 곡류로서(Suhendro EL 등 1998) 아프리카나아시아 일부 국가의 많은 인구에게는 절대 필요한 곡물이지만 개발도상국가에서는 식품으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주로 사료나 공업용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ACC. 2000. International Approved Methods. 10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2. Abd Allah MA, Mahmoud RM, El-Kalyoubi MH, Abou Arab AA. 1987. Physical properties of starches isolated from yellow corn, sorghum, sordan and pearl millet. Starch 39(1):9-12 

  3. Afify AMR, El-Beltagi HS, Abd El-Salam SM, Omran AA. 2012. Biochemical changes in phenols, flavonoids, tannins, vitamin E, $\beta$ -carotene and antioxidant activity during soaking of three white sorghum varieties. Asian Pac J Trop Biomed 2(3):203-209 

  4. AOAC. 1996. Official Method of Analysis of AOAC. International.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5. Arisaka M, Nakamura K, Yoshii Y. 1992. Properties of rice flour prepared by different milling methods. J Japanese Soc Starch Sci 39:155-163 

  6. Awika JM, Rooney LW. 2004. Sorghum phytochemical and their potential impact on human health. Phytochem 65(9):1199-1221 

  7. Awika JM, McDonough CM, Rooney LW. 2005. Decorticating sorghum to concentrate healthy phytochemicals. J Agric Food Chem 53(16):6230-6234 

  8. Chang HG, Park YS. 2005. Effects of waxy and normal sorghum flours on sponge cake properties. Food Eng Prog 9(3):199-207 

  9. Cho SH, Ha TY. 2003. In vitro and in vivo effects of prosomillet and sorghum on cholesterol metabolism. Food Sci Biotechnol 12(5):485-490 

  10. Choi BK, Kum JS, Lee HY, Park JD. 200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lack rice flours (BRFs) affected by milling condition. Korean J Sci Food Technol 38(6):751-755 

  11. Choi YM, Jeong HS, Lee JS.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ome grains consumed in Korea. Food Chem 103(1):130-138 

  12. Dykes L, Rooney LW. 2006. Sorghum and millet phenols and antioxidants. J Cereal Sci 44(3):236-251 

  13. Evers AD, Stevens DJ. 1985. Starch damage, in "Advances in cere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VII (Pomeranz, Y.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Inc. St. Paul. Minnesota. pp 321-349 

  14.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s. J Am Oil Chem Soc 58: 966-968 

  15. Ha TY, Cho IJ, Lee SH. 1998. Screening of HMG-CoA reductase inhibitory activity of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from cereals and legum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1):224-229 

  16. Han MR, Chang MJ, Kim MH. 2007. Investigation of physical property change in modified rice starch by ultra fine pulverization.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4):160-166 

  17. Han MR, Kim AJ, Chang MJ, Lee SJ, Kim HS, Kim MH. 2009. Investigation of physical property change in modified corn starch by ultra fine pulverization. Food Eng Prog 13(4): 335-340 

  18. Juliano BO. 1971. A simplified assay for milled rice-amylose. Cereal Sci Today 16: 334-338 

  19. Kim RY, Kim CS, Kim HI. 2009.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on-waxy rice flour affected by grinding methods and steeping ti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8): 1076-1083 

  20. Kim EM. 2010. The properties of rice flours prepared by dry and wet milling method. Korean J Food Cookery Sci 26(6):727-736 

  21. Kum JS, Lee SH, Lee HY, Kim KH, Kim YI. 1993. Effects of different milling metho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5(5):546-551 

  22. Kum JS, Lee SH, Lee HY, Lee C. 1996. Retrogradation behavior of rice starches differing in amylose content and gel consistency. Korean J Food Tech 28(6):1052-1058 

  23. Kwak CS, Lim SJ, Kim SA, Park SC, Lee MS. 2004.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Korean buckwheat, sorghum, millet and job's te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6):921-929 

  24. Lee MK, Kim JO, Shin MS. 2004. Properties of nonwaxy rice flours with different soaking time and particle siz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2):268-275 

  25. Lee YH, Moon TW. 1994. Composition water-holding capacity and effects of starch retrogradation of rice bran dietary fiber. Korean J Food Sci Technol 26(3):288-294 

  26. Lee YT, Kim YU(2011). 2011.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own rice flours differing in amylose content prepared by different mill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2):1797-1801 

  27. Nishita KD, Bean MM. 1982. Grinding methods-their impact on rice flour properties. Cereal Chem 59(1):46-49 

  28. Park YK, Seog HM, Nam YJ, Shin DH. 198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arious milled flour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4):504-510 

  29. Schoch TJ. 1964. Swelling power and solubility of granular starches. In methods in carbohydrate chemistry. Whistler RL (ed). Academic Press. NY. pp 106-108 

  30. Seo MC, Ko JY, Song SB, Lee JS, Kang JR, Kwak DY, Oh BG, Yoon YN, Nam MH, Jeong HD, Woo KS. 2011.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ie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with different pulverizing methods. Korean Soc Food Sci Nutr 40(6): 790-797 

  31. Subramanian V, Sambasiva Rao N, Jambunathan R, Murty DS, Reddy BVS. 1995. The effect of malting on the extractability of proteins and its relationship to diastatic activity in sorghum. J Cereal Sci 21(3):283-289 

  32. Suhendro EL, Kunetz CF, McDonough CM, Rooney LW, Waniska RD. 2000. Cooking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noodles from food sorghum. Cereal Chem 77(2):96-100 

  33. Yamamori M, Quynh NT. 2000. Differential effects of Wx-A1,-B1, and-D1 protein deficiencies on apparent amylose content and starch pasting properties in common wheat. Theor Appl Genet 100(1):32-38 

  34. Yanagisawa T, Kiribuchi-Otobe C, Fujita M. 2004. Increase in apparent amylose content and change in starch pasting properties at cool growth temperatures in mutant wheat. Cereal Chem 81(1):26-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