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재배지역에 따른 수수 품종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내륙평야지인 경남 밀양과 산간지인 강원 원주, 해안지인 전남 신안에서 5개의 수수를 재배하여 수확된 수수를 메탄올로 추출하여 항산화성분 함량 분석 및 항산화활성을 검정하였다. 재배환경에 따른 수수 종자 메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강원 원주에서 재배한 메수수와 대풍수수가 19.64 및 19.32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경남 밀양에서 재배한 흰찰수수가 2.63 mg/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강원 원주에서 재배한 대풍수수가 7.54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경남 밀양에서 재배한 흰찰수수가 1.24 mg/g으로 가장 낮았다. 대체적으로 항산화성분의 함량은 산간지인 강원 원주에서 재배한 수수가 높은 함량을 보였고 품종에 따라서는 황금찰수수와 대풍수수, 메수수가 높은 항산화성분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배환경에 따른 수수 종자 상태의 메탄올 추출물의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대체적으로 radical 소거활성은 재배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품종에 따라서는 유색의 종피를 가진 황금찰수수, 대풍수수, 토종수수, 메수수가 높은 radical 소거활성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항산화성분의 함량과 항산화활성은 재배지역과 품종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ects of cultivated area on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orghum were determined. The cultivated areas were Miryang (plain area of interior), Wonju (mountainous territory), and Sinan (coastal area), and the cultivated varieties were Hwanggeumchal-susu (HGCS), Daepung-susu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검정콩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의 함량을 재배지역(9) 및 고도(10)에 따라 함량 변이가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륙평야지인 경남 밀양과 산간지인 강원 원주, 해안지인 전남 신안에서 5개의 수수를 재배하여 수확된 수수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검정하여 우수한 활성을 가진 수수 재배를 위한 각 지역에 적합한 수수 품종을 추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수란 무엇인가? 수수(Sorghum bicolor L. Moench, sorghum)는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1)로 열대아프리카가 원산지로 건조지대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용도에 따라서 곡용수수(grain sorghum), 단수수(sorgo), 소경수수(장목수수; broom-corn)가 재배되고 있으며, 아시아, 아프리카 및 중미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주요 식량자원이다(2). 수수는 쌀, 보리, 밀, 옥수수에 이어 중요한 잡곡으로 식이섬유, phenolic compounds 등의 유효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3), phenolic compounds의 대부분은 flavonoid로 알려져 있고(1) 최근 수수의 생리적 기능성에 관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수수의 항산화성분인 polyphenol의 생리적 기능성은 무엇인가? 수수는 쌀, 보리, 밀, 옥수수에 이어 중요한 잡곡으로 식이섬유, phenolic compounds 등의 유효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3), phenolic compounds의 대부분은 flavonoid로 알려져 있고(1) 최근 수수의 생리적 기능성에 관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수수의 polyphenol 추출물은 강한 항돌연변이성(4)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수수의 항산화활성(5)과 콜레스테롤 생합성 관련 효소인 HMG-Co A reductase 활성을 억제(6)시키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수수는 용도에 따라 어떻게 재배되고 있는가? 수수(Sorghum bicolor L. Moench, sorghum)는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1)로 열대아프리카가 원산지로 건조지대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용도에 따라서 곡용수수(grain sorghum), 단수수(sorgo), 소경수수(장목수수; broom-corn)가 재배되고 있으며, 아시아, 아프리카 및 중미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주요 식량자원이다(2). 수수는 쌀, 보리, 밀, 옥수수에 이어 중요한 잡곡으로 식이섬유, phenolic compounds 등의 유효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3), phenolic compounds의 대부분은 flavonoid로 알려져 있고(1) 최근 수수의 생리적 기능성에 관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im KO, Kim HS, Ryu HS. 2006. Effect of Sorghum bicolor L. Moench (sorghum, su-su) water extracts on mouse immune cell activation. J Korean Diet Assoc 12: 82-88. 

  2. Chang HG, Park YS. 2005. Effects of waxy and normal sorghum flours on sponge cake properties. Food Engine Prog 9: 199-207. 

  3. Chae KY, Hong J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different amounts of waxy sorghum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363-369. 

  4. Grimmer HR, Parbhoo V, Mcgrath RM. 1992. Antimutagenicity of polyphenol-rich fractions from Sorghum bicolor grain. J Sci Food Agr 59: 251-256. 

  5. Hahn DH, Rooney LW, Earp CF. 1984. Tannin and phenols of sorghum. Cereal Foods World 29: 776-779. 

  6. Ha TY, Cho IJ, Lee SH. 1998. Screening of HMG Co A reductase inhibitory activity of ethanol and methanol extract from cereal and regum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224-229. 

  7. Kim HS, Park KG, Baek SB, Son YK, Lee CW, Kim JG, Kim JC, Nam JH. 2003. Genotype and environment effects on barley grain $\beta$ -glucan content. Abstract page 240-241 presented at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Seoul, Korea. 

  8. Kim KJ, Lim KH. 1987.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grains harvested from different regions. Korean J Crop Sci 32: 234-242. 

  9. Yi MA, Kwon TW, Kim JS. 1997. Changes in isoflavone contents during maturation of soybean seed. J Food Sci 2: 255-258. 

  10. Shin SO, Shin SH, Ha TJ, Lim SG, Choi KJ, Baek IY, Lee SC, Park KY. 2009. Soybean ecological response and seed quality according to altitude and seeding dates. Korean J Crop Sci 54: 143-158. 

  11. Choi Y, Kim MH, Shin JJ, Park JM, Lee J.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23-727. 

  12. Zielinski H, Kozlowska H. 2000.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grains and their different morphological fractions. J Agric Food Chem 48: 2008-2016. 

  13. Dewanto V, Xianzhong W,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 

  14. Jia Z, Tang M,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y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5. Choi Y, Lee SM, Chun J, Lee HB, Lee J. 2006.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 381-387. 

  16. Rice-Evans CA, Miller NJ, Paganga G. 1997.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in Plant Sci 2: 152-159. 

  17. Middleton E, Kandaswami C. 1994. Potential health-promoting properties of citrus flavonoids. Food Technol 48: 115-119. 

  18. Seo MC, Ko JY, Song SB, Lee JS, Kang JR, Kwak DY, Oh BG, Yoon YN, Nam MH, Jeong HS, Woo KS. 2011.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ie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with different pulveriz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790-797. 

  19. Woo KS, Seo MC, Kang JR, Ko JY, Song SB, Lee JS, Oh BG, Park GD, Lee YH, Nam MH, Jeong HS. 2010.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milling fractions of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695-1699. 

  20. Wang CY, Ng CC, Lin HT, Shyu YT. 2011. Free radicalscavenging and tyrosinase-inhibiting activities of extracts from sorghum distillery residue. J Biosci Bioengin 111: 554-556. 

  21. Lee HK, Hwang IG, Kim HY, Woo KS, Lee SH, Woo SH, Lee J, Jeong HS.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ereals and legumes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399-1404. 

  22. Kim SM, Cho YS,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23. Nieva MM,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24. Kim JE, Joo SI, Seo JH, Lee SP. 2009. Antioxidant and $\alpha$ - 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tartary buckwheat extract obtained by the treatment of different solvents and enzy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989-995. 

  25.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624-6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